간염등 간질환


간질환과 생활습관 간질환과 술

2008.02.13 14:46

윤구현 조회 수:33374 추천:1

술(알코올)이 간에 미치는 영향은 '지방간'의 내용을 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히 다시 말씀드리면 술은 간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술을 많이, 오래 마시게 되면 그 것만으로도 간염과 간경변증의 원인이 됩니다.

대부분의 간염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간염을 오래 앓으면 간경변증이 생기고 간경변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병입니다. 또 간경변증이 심할수록 간암의 위험도 높아집니다.

그래서 한 가지 이유로 간손상을 받는 사람들은 다른 이유를 최대한 배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성간염보유자들은 간염바이러스를 몸에서 몰아내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힘듭니다. 그러나 술은 본인의 노력으로 조절할수 있습니다. 

 

술이 간에 얼마나 나쁠까?


술에 의한 간손상을 알려주는 서양의 연구에서는

하루 80g의 알코올(소주 300-400cc, 양주 150cc, 맥주 1500-2000cc, 포도주 750cc)이상 15년 이상 마신 사람의 약 1/3에서 간경변이 발생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간경변 환자의 알코올 섭취량을 조사해보니 하루 160g의 알코올(소주 두병 정도)을 약 8년 동안 매일 마신 정도였다고 합니다.

서양인들은 보통 동양인보다 체격이 더 크기 때문에 동양인은 보다 주의해야 합니다.

 이것을 보면 '웬만큼 술을 마시지 않고서는 큰 문제는 없구나....'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성B, C형간염보유자는 더 적은 양의 알코올로도 보다 빨리 간경변에 이르게 됩니다. 그래서 만성B, C형간염보유자는 금주하거나 최대한 절주해야 합니다. 만성C형간염은 만성B형간염에 비해 술에 더 취약합니다. 만성C형간염보유자 간수치가 정상이라도 는 절주보다는 금주해야할 필요성이 더 큽니다.

사실 술로 사망하시는 분들의 상당수는 간염보유자이면서 술을 많이 마신 분들입니다.




상대적으로 건강에 해롭지 않은 음주량


 ‘상대적으로 건강에 해롭지 않은 음주량’은 발표하는 곳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국민건강지침
1회 막걸리 2홉(360cc) 또는 소주 2잔(100cc) 또는 맥주 3잔(600cc) 또는 포도주 2잔(240cc) 또는 양주 2잔(60cc) 
 
- 대한간학회
1회 소주 반 병 이내, 1주일에 1-2회

- 기 타
하루 40-80g의 알코올, 일주일 210g 이내

간에서 알코올을 해독하는 속도는 체중 1kg에 0.1g입니다. 체중이 70kg이라면 한 시간에 7g의 알코올을 대사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7g은 소주나 맥주 한잔에 조금 못 미치는 양입니다. 하루 기준으로 체중이 70kg인 사람은 170g을 대사할 수 있고 이것은 소주 두 병 반, 맥주 3,700cc입니다. 한 시간에 한 잔씩 하루에 이만큼 마시는 것은 큰 문제가 없는데 한두시간에 하루에 마실 양을 모두 마시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격이 작고 알코올 대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양의 2/3로 줄여야 합니다.

이런 기준의 기본은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간염을 앓고 있거나 간경변증, 간암 등 간질환 환자들은 금주해야 합니다.

간경변증과 간염이 없는(간수치가 정상인) 무증상 보유자는 위에서 말하는 약간의 음주는 괜찮습니다. 그러나 전혀 드시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같은 무증상보유자라고 하더라도 만성C형간염보유자는 더 적은 양을 드시거나 금주하셔야 합니다.




종류별로 술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




 

한 병

한 잔

40g

소주(20도 기준)

72cc

한병 360cc 10cc  

소주 반 병

맥주(4.5도 기준)

22.5cc

중간크기 500cc 9cc 맥주잔

맥주 1,000cc

15cc

작은병 330cc    

양주(40도 기준)
위스키, 브랜디 등

280cc

한병 700cc 14cc  

양주  3잔

막걸리(6도 기준)

45cc

한병 750cc    

막걸리 1병

 

와인과 청주(백세주 등 낮은 전통술들)류는 보통 13도입니다. 이것들은 병의 크기가 다양하네요.

 

술과 물은 비중이 달라 도수와 알코올 함유량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만 물리 시간이 아니니 그게 중요한 것은 아니구요.


'술의 양 × 알코올 도수'


하시면 대략적인 알코올의 양이 나옵니다.

 

술잔마다 잔의 크기가 달라 한 잔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은 10g정도로 비슷합니다. 

간이 건강한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3-4잔 정도는 간에 큰 무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폭탄주 한 잔은 두 잔으로 계산해야겠죠?)



ccl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1. 간에대해 [6] file 윤구현 2007.12.29 2017.08.09 25905
2. 간염 [8] 윤구현 2007.12.30 2018.02.12 62079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file 윤구현 2007.12.31 2014.08.13 42986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윤구현 2007.12.31 2017.09.04 53567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file 윤구현 2007.12.31 2019.07.12 105051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윤구현 2007.12.31 2019.05.13 61519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윤구현 2008.01.01 2012.10.02 42218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윤구현 2008.01.01 2014.10.06 40479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file 윤구현 2008.01.01 2011.11.18 26786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31445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윤구현 2008.01.10 2016.05.09 31237
3-9-2. 아데포비어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27899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file 윤구현 2008.01.07 2019.04.03 26464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file 윤구현 2008.01.09 2018.03.08 53766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file 윤구현 2008.01.09 2015.12.28 22165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윤구현 2010.10.08 2015.12.28 18576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file 윤구현 2008.01.10 2013.11.11 28279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윤구현 2008.01.10 2017.05.22 36051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윤구현 2008.01.10 2019.07.12 38608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윤구현 2008.01.10 2011.02.15 22321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file 윤구현 2008.01.02 2013.03.19 69231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윤구현 2007.12.30 2020.08.05 93338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윤구현 2008.01.10 2011.11.18 23180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윤구현 2008.01.11 2018.10.19 25491
4-3. C형간염의 치료 [2] 윤구현 2008.01.11 2021.10.27 30106
4. C형간염 [1] 윤구현 2008.01.10 2011.02.15 19284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file 윤구현 2008.01.17 2018.02.27 152770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file 윤구현 2008.01.13 2020.08.30 228320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file 윤구현 2011.10.25 2018.01.12 35255
6. 간암의 예방 윤구현 2011.10.25 2011.10.25 6188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6640
6. 간암의 치료 [1] 윤구현 2011.10.25 2018.12.24 18195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3636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윤구현 2011.10.25 2011.10.25 7344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27471
7. 간이식 [2] file 윤구현 2008.01.24 2017.05.15 37566
A형간염 [1] file 윤구현 2008.02.05 2011.02.15 29983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윤구현 2008.02.13 2018.02.25 36446
간질환과 술 [2] 윤구현 2008.02.13 2011.11.18 33374
간질환과 식생활 [2] 윤구현 2008.02.16 2016.06.25 39384
간질환과 운동 [2] 윤구현 2008.02.16 2013.11.02 35294
간질환과 흡연 [3] 윤구현 2008.02.16 2016.11.18 28079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윤구현 2008.02.11 2011.02.15 2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