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등 간질환


C형간염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2008.01.10 23:50

윤구현 조회 수:23180

 C형간염은 예방백신이 없습니다. 때문에 전염가능한 행동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C형간염의 전염경로는 B형간염과 유사합니다. 타액으로는 전염되지 않고 혈액을 통해 주로 감염됩니다. 91년 이전에는 수혈이나 혈액제제가 주된 감염경로였으며 피부를 뚫는 모든 행위(침술, 문신, 피어싱, 오염된 주사기)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손톱깍기, 칫솔, 면도기와 같이 혈액이 묻을 수 있고 피부에 상처를 줄 수 있는 것도 전염이 가능합니다.
 성관계로도 전염이 가능합니다만 부부간에는 거의 전염되지 않습니다. 부부간의 전염률은 5%이하(평균 1.5%)입니다. 그러나 성관계의 대상이 많은 사람들은 6%로 보다 높다고 합니다. 가족간의 전염은 거의 없다고 생각됩니다. 성관계 상대가 한 명인 경우 C형간염 감염 사실을 안 후 새롭게 콘돔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사용해도 좋습니다. 성관계 상대가 다수인 경우에는 콘돔을 사용해야 합니다.

 C형간염보유자인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감염될 가능성은 약 5%입니다. 그러나 모유수유로 감염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자연분만과 제왕절개수술의 감염률 차이도 없습니다.







ccl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1. 간에대해 [6] file 윤구현 2007.12.29 2017.08.09 25903
2. 간염 [8] 윤구현 2007.12.30 2018.02.12 62065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file 윤구현 2007.12.31 2014.08.13 42984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윤구현 2007.12.31 2017.09.04 53565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file 윤구현 2007.12.31 2019.07.12 105045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윤구현 2007.12.31 2019.05.13 61515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윤구현 2008.01.01 2012.10.02 42217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윤구현 2008.01.01 2014.10.06 40479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file 윤구현 2008.01.01 2011.11.18 26782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31445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윤구현 2008.01.10 2016.05.09 31237
3-9-2. 아데포비어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27899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file 윤구현 2008.01.07 2019.04.03 26464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file 윤구현 2008.01.09 2018.03.08 53755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file 윤구현 2008.01.09 2015.12.28 22165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윤구현 2010.10.08 2015.12.28 18572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file 윤구현 2008.01.10 2013.11.11 28279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윤구현 2008.01.10 2017.05.22 36049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윤구현 2008.01.10 2019.07.12 38607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윤구현 2008.01.10 2011.02.15 22321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file 윤구현 2008.01.02 2013.03.19 69229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윤구현 2007.12.30 2020.08.05 93336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윤구현 2008.01.10 2011.11.18 23180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윤구현 2008.01.11 2018.10.19 25491
4-3. C형간염의 치료 [2] 윤구현 2008.01.11 2021.10.27 30106
4. C형간염 [1] 윤구현 2008.01.10 2011.02.15 19284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file 윤구현 2008.01.17 2018.02.27 152755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file 윤구현 2008.01.13 2020.08.30 228282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file 윤구현 2011.10.25 2018.01.12 35241
6. 간암의 예방 윤구현 2011.10.25 2011.10.25 6187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6640
6. 간암의 치료 [1] 윤구현 2011.10.25 2018.12.24 18192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3636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윤구현 2011.10.25 2011.10.25 7340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27463
7. 간이식 [2] file 윤구현 2008.01.24 2017.05.15 37562
A형간염 [1] file 윤구현 2008.02.05 2011.02.15 29983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윤구현 2008.02.13 2018.02.25 36444
간질환과 술 [2] 윤구현 2008.02.13 2011.11.18 33374
간질환과 식생활 [2] 윤구현 2008.02.16 2016.06.25 39379
간질환과 운동 [2] 윤구현 2008.02.16 2013.11.02 35292
간질환과 흡연 [3] 윤구현 2008.02.16 2016.11.18 28077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윤구현 2008.02.11 2011.02.15 2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