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예전 간질환 뉴스는 구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길리어드, C형 간염 신약 부진 경영지표 ↓

2분기 매출 6% 가까이 감소..순이익 22% 감소


2016-07-27

길리어드 사이언스社가 매출과 순이익 모두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2/4분기 경영실적을 25일 공표했다.

매출이 77억7,600만 달러로 집계되어 2015년 같은 분기의 82억4,400만 달러에 비해 5.7% 감소한 데다 순이익 또한 34억9,7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동기의 44억9,200만 달러와 비교하면 22.1% 뒷걸음친 것으로 집계된 것.

매출 항목에서 로열티 수입 등을 배제한 순수 상품매출로 범위를 좁히더라도 76억5,100만 달러로 나타나 2015년 2/4분기의 81억2,600만 달러에 비하면 5.8%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분기실적이 하향세를 보인 것은 경쟁이 심화되면서 C형 간염 치료제 부문의 매출이 줄어든 것에 기인한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항바이러스제 부문 또한 총 71억 달러의 실적으로 한해 전 같은 분기의 76억 달러에 비해 6.6% 줄어든 통계치를 나타냈다.

실제로 C형 간염 치료제 ‘하보니’(소포스부비르+레디파스비르)를 보면 매출이 25억6,400만 달러에 머물러 지난해 같은 분기의 36억800만 달러에 비해 28.9%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발디’(소포스부비르)는 13억5,800만 달러의 성적표를 손에 쥐어 2015년 2/4분기의 12억9,100만 달러에 비해 5.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 이들 C형 간염 치료제들의 총 매출액은 39억2,200만 달러에 그쳐 전년동기의 48억9,900만 달러에 비하면 19.9%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어 확연하게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했다.

다른 제품들로 눈길을 돌려보면 AIDS 치료제 ‘트루바다’(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이 9억4,200만 달러로 10.9% 신장된 실적을 과시했고, ‘컴플레라’(엠트리시타빈+릴피비린+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도 3억6,800만 달러로 0.3% 소폭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간염 치료제 ‘비리어드’(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의 경우 2억8,700만 달러로 5.9%의 준수한 성장률을 내보였다.

이와 달리 AIDS 치료제 ‘아트리플라’(에파비렌즈+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은 6억7,300만 달러로 13.9%에 이르는 빠른 감소세를 드러냈고, ‘스트리빌드’(엘비테그라비르+코비시스타트+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역시 4억2,900만 달러로 4.0% 떨어진 실적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해 11월 FDA로부터 허가를 취득했던 AIDS 신약 ‘젠보야’(Genvoya: 엘비테그라비르+코비시스타트+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의 경우 3억200만 달러의 실적으로 ‘소발디’의 초반돌풍을 재현할 기세를 보여 주목됐다.

기타 제품들 가운데는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 ‘레타이리스’(Letairis: 암브리센탄)이 2억300만 달러로 15.3%, 만성 편두통 치료제 ‘라넥사’(라놀라진)이 1억5,300만 달러로 8.5% 성장한 실적으로 힘을 보탰다.

백혈병‧림프종 치료제 ‘자이델릭’(이델라리십)도 4,100만 달러로 36.7%에 달하는 고속성장세를 과시했다.

하지만 항진균제 ‘암비솜’(AmBisome: 암포테리신 B)는 8,500만 달러로 17.5% 주저앉은 것으로 집계됐다.

길리어드 사이언스측은 2016 회계연도 전체 예상매출액을 당초 제시했던 300억~310억 달러대에서 295억~305억 달러선으로 하향조정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3 <동정> 찬양사역자 박종호 전도사, 간암 투병 알려져 홍의현 기자l승인2016.03.22 윤구현 2016.05.16 298
682 [단독] C형간염환자, 국내 출시안된 신약 ‘소발디’ 해외서 직구? 윤구현 2015.10.05 298
681 [전문의 칼럼]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중단하면 큰코다쳐 윤구현 2015.08.04 298
680 한국인 적정 소주 음주량… 일주일에 남성은 2병 이하, 여성은 1병 이하 윤구현 2015.06.02 298
679 간암 고위험군 국가암검진 2회로 확대 복지부, 22일 질병예방 건강증진 대책 청와대 보고 2015-1-22 [1] 윤구현 2015.03.10 296
678 'C형 간염 유발' 다나의원 원장 부부 금고 4년·징역 1년 선고 [1] 윤구현 2016.11.24 295
677 바라크루드 제네릭, 비리어드까지 넘보긴 어렵다 윤구현 2015.10.09 295
676 간암 수술 100명 중1명만이 사망…외국의 1/3 수준 윤구현 2016.08.17 293
675 시메프레비르 추가 요법 완치율 90% [1] 윤구현 2015.03.23 293
674 韓 40대 간암환자 日보다 10배 많아 윤구현 2016.08.17 291
673 C형간염 전수감시로 전환한다…건강검진시 C형간염 검사 윤구현 2016.11.14 290
672 진료비 점유율 심상찮은 '만성질환' - 환자수 연평균 2.9% 증가, 지난해 급여비 18조8000억원 윤구현 2016.01.05 290
671 잘 쓰던 약도 바꿔버리는 길리어드표 신약 위엄 윤구현 2015.08.04 289
670 아주대병원, '간이식 수술 전·후 환자관리'(4/11) 윤구현 2015.04.06 288
669 국산 B형간염 신약, 의사 선택할까 윤구현 2016.11.14 287
668 “말기 중증 간경변, 조기에 항바이러스 치료해야” - 5년 생존율 13.7%p 높여…서울성모, 7년간 707명 환자 연구결과 발표 윤구현 2016.01.06 285
667 만성 간염이 간경변ㆍ간암 부른다 윤구현 2016.07.29 284
666 바라크루드, 만 2세 이상으로 급여 확대// 라미부딘, 모든 연령서 투여소견서…바헬바레스피멧·가드메트 급여 신설 윤구현 2016.05.16 284
665 “바라크루드 제네릭 10개만 살아남을 것” - 간사랑동우회 윤구현 대표 “빅5병원이 운명 좌우 … 가격, 원료, 임상데이터 중요” 윤구현 2015.11.06 281
664 DAA, C형간염 만능치료제 아니다[주목 이 약] C형간염치료제 DAA 올댓가이드 윤구현 2016.08.02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