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간CT 문의드립니다
2020.07.04 16:14
저는 55세 남자로 만성B형 간염환자이며 비리어드를 복용중입니다.
지난달 아산병원에서 6.22일 혈액검사와 CT촬영을 하였는데요
혈액검사 결과는 괜찮았는데.. CT에서 몇개의 흰색 종양으로 보이는게 있었는데..
의사선생님께서 이게 조형제때문인지..암종인지 분별하기가 어렵다고 1개월후에 MRI검사 일정을 잡았습니다.
검사날까지 아직 날짜도 많이 남아있고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CT에 조형제가 나올수가있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댓글 2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24 | 비리어드와 베믈리디정 | 청이멍 | 2020.09.04 | 2949 |
223 | 참으로 기분이 묘하네요~~ [2] | 펜사콜라 | 2020.09.03 | 679 |
222 | 엔테카비르 복제약 | 임지훈 | 2020.09.02 | 384 |
221 | B형간염 신약 임상결과 발표후.... [5] | 들녘 | 2020.09.02 | 1287 |
220 | 나의 간염 인생 | 까삐딴초이 | 2020.09.02 | 470 |
219 | 안녕하세요 | 아수라발발 | 2020.08.13 | 679 |
218 | 미국에 사시는 분들 보세요 [5] | Centerville | 2020.08.13 | 658 |
217 | 미국에 사시는 분들 보세요 | Centerville | 2020.08.13 | 114 |
216 | dna수치가 12500정도라면.. [1] | 나도.. | 2020.08.12 | 444 |
215 | 부산 간염 전문의 추천 좀 바랍니다~ [1] | 늘지금처럼 | 2020.08.10 | 342 |
214 | 병원소개부탁합니다 | 하이든 | 2020.08.09 | 1109 |
213 | 항바이러스제 처방 [1] | 521185 | 2020.07.26 | 817 |
212 | 면역관용기 오는 나이 문의 | guesun58 | 2020.07.26 | 329 |
211 | 간섬유화 검사문의 | gueim | 2020.07.20 | 358 |
210 | 히망을 잃지말자 | 손오공 | 2020.07.16 | 399 |
209 | 실크팹타이드 복용 문의 | 뚱이맘 | 2020.07.15 | 78 |
208 | 간섬유화 정도 문의 [2] | gueim | 2020.07.11 | 628 |
207 | 헵세라 복용 크레아틴 수치 증가 [2] | 김 한 | 2020.07.11 | 234 |
206 | 직장인건강검진대상 파일에 간염검진대상자라는표시 [2] | 김수희 | 2020.07.09 | 947 |
205 | 직장인건강검진대상 파일에 간염검진대상자라는표시 | 김수희 | 2020.07.09 | 111 |
204 | 직장인건강검진대상 파일에 간염검진대상자라는표시 | 김수희 | 2020.07.09 | 55 |
203 | 직장인건강검진대상 파일에 간염검진대상자라는표시 | 김수희 | 2020.07.09 | 100 |
202 | 간초음파 결과 등에코 결절이 나왔는데 간암인가요? | 정현석 | 2020.07.08 | 407 |
201 | 깜짝 놀랐어요~ | 미혀니 | 2020.07.06 | 13045 |
» | 간CT 문의드립니다 [2] | 일어서 | 2020.07.04 | 506 |
199 |
엔테카비르(Entecavir 0.5mg) 문의
[1] ![]() | 월출 | 2020.07.04 | 301 |
198 | 간 섬유화 정도 [1] | 임규gue | 2020.07.03 | 1010 |
197 | 간세포암 발생 기전 문의 [1] | gue111 | 2020.07.02 | 313 |
196 | e항원 수치문의 [1] | sun5811 | 2020.06.30 | 409 |
195 | 코로나 때문에 큰일이네요.. | 김순자 | 2020.06.27 | 342 |
참고로, 조형제.. 가 아니라, 조영제(contrast enhancing material)입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CT에 조영제가 나올 수 있다...가 아니라
CT 촬영시 사용된 조영제가 CT 소견상 간에 남아 있을 수 있다...이고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부연 설명하면...
조영제는 혈관을 타고 지나가서, 신장 (= 콩팥) 등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CT 촬영에서 조영제는, 혈관의 영상을 잘 만들어내는 것이 주요 역할입니다.
혈관을 통해 주입된 조영제는, 동맥을 거쳐, 정맥을 지나고 빠져나가는데
이렇게 시간의 차이를 두고 빠져나가는 것을 이용해서
간세포암 진단에 써먹는 겁니다.
종양이나 혈관들은 각각 자기만의 특징들이 있는 편입니다.
간세포암 내에는 혈액/혈관이 풍부하면서
특정 조영제들이 동맥을 통과할 때 (동맥기, arterial phase), 간세포암 내에도 조영제들이 들어가고
조영제들이 정맥을 통과할 시간 (정맥기, venous phase)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지날때 (지연기, delayed phase)
간세포암 내에 들어 있던 조영제들도 대체로 빠져나갑니다(wash-out).
간에서 발생되는 종양들 중에는
혈관종(hemangioma)이 흔하고
간혹 혈관종과 간세포암를 초음파로 구별하기 힘들 때가 있는데
대체로 조영제를 사용해서 CT 촬영을 하면 (three phase CT 또는 dynamic CT 등)
간세포암을 동맥기에는 조영제가 차고 (filling),
지연기 (delayed phase) 에서는 조영제가 빠져 나갑니다(wash-out).
혈관종은 delayed phase 에까지도 조영제가 서서히 계속 차는 모습을 보이곤 하죠.
이런 방식의 촬영이기에
CT 촬영 이후에도 간(liver) 내에 조영제가 남아 있는 것이 보일 수 있는 겁니다.
다만, 위에 설명드린 내용은 대략적인 것이고
실제 현실에서는
각 환자들마다 또는 종양마다
이런 특징적인 소견이 다 보이는 것은 아닌데다가
서로 반대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냥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로 드린 설명...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