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출산후 고민..
2014.09.27 11:06
안녕하세요.
우선 많은 정보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출산한지 한달이라는 시간이 지났고..
간수치 상승에 따른 향후 약복용건으로 글 올립니다..
출산전 수직감염을 예방하고자 28주부터 비리어드복용했습니다.
출산후에는 헤바빅,헤파박스 투여했구요..
출산후 현재 간수치는 AST 87, ALT 78 IU/L 상승했고
댓글 4
-
황남철
2014.09.27 14:35
-
zu1223
2014.09.27 15:08
답변감사드립니다..
만약 3개월 정도 관찰했고 음전 또는 혈청전환이 되지않았는데도
간수치가 하락하여 정상범위라면 약복용하지 않아도 될런지,,?
또 단순 dna수치가 높다고해서 약복용하는건 아니죠?
그리고 3개월 동안 갑자기 간부전증이나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지는 않겠죠..?
질문 많이 드려서 죄송해요..
-
황남철
2014.09.27 15:47
만약 3(~6)개월 정도 관찰했고 음전 또는 혈청전환이 되지않았는데도
간수치가 하락하여 정상범위라면 약 복용하지 않아도 될런지...?
그럴 가능성은 적은 편인데다가
만에 하나라도 그렇게 - 간수치가 정상이 되거나, (정상은 아니고 약간만 상승되어 있는) 80 미만의 상태가 - 되면
오히려 지금 약 복용 시작 안 한 것을 후회하셔야 하는 거죠.
치료 필요성은 있는데도 보험 적용이 안 될 가능성도 있는 거니까요...
(물론, 당장 어떻게 되는 것은 아니니까 약을 안 드셔도 생활하는데에는 아무 문제가 없겠죠.
다만, 그런 식으로 상당기간 - 예, 몇 년에서 몇 십년 - 방치하게 될 수 밖에 없을테니
나중에 심각한 문제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또 단순 DNA 수치가 높다고해서 약 복용하는건 아니죠?
통상 관용기 상태에서는 그런 식으로 이해하셔도 되지만...
님은 현재 면역 제거기 또는 면역 반응기 상태로 보여지는데
향후에 음전 또는 혈청 전환이 되지 않으면
만성 B형 간염이라고 봐야 하기 때문에
약은 복용하셔야 하는 겁니다.
(임신 중 약 복용 여부와 관련 있든 없든 간에
언제간 생길 혈청 전환 시기가 오신 겁니다.
대개는 젊은 연령 대에 오는데, 그게 임신 및 출산 이후에 생기는 바람에
약간은 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지는 것 - 비슷하게 생각하셔야 할 겁니다.)
그리고 그런 - 향후 어떻게 될지 정확히 알 수 없고, 현실적/보험적 문제 등등을 안을 가능성이 있는 - 고민을 일일히 하기가 꺼려지니까
담당 의사 분께서 바로 약 복용 시작하자고 얘기하신 측면도 있을 수 있는 것이고요..
그리고 3개월 동안 갑자기 간부전증이나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지는 않겠죠..?
역시 그럴 확률은 적지만
만에 하나라도 그런 상황이 벌어지면
바로 항바이러스제 복용을 시작하셔야겠죠.
-
zu1223
2014.09.27 16:32
많이 배워갑니다..
즐거운 주말보내세요.
감사합니다..^^
항바이러스제 복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e항원이 (자연적으로) 음전 또는 혈청 전환되는지
3~6개월 정도를 기다려 보세요.
그 기간이 지났는데에도
음전 또는 혈청 전환되지 않으면
e항원 양성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됨과 동시에
그때는 정말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대개는 6개월까지 기다리게는 잘 하지 않으며,
통상 3개월 정도를 경과 관찰 - 즉, 정기적인 검사 - 하면
대략적인 치료 - 즉, 약을 복용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 윤곽이
잡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