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과 간염
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임신 16주 산모입니다
2014.09.23 11:24
간염보유자이고 수치는 정상이라 약은먹고있지않습니다
임신하고나서 피검사는 얼마나 자주해야하는지요?
올해4월에 검사했었구요..혹시수치가오름
28-32주 부터약복용시기라는데 그쯤 검사를해도될까요?
댓글 2
-
황남철
2014.09.23 12:21
-
evergreen2
2014.09.24 16:23
답변감사드립니다^^
일단 "수치"라고 표현을 한 부분에 대해서
명확히 구분을 하셔야 하는 것이...
간수치 (AST/ALT 또는 GOT/GPT) 를 얘기하시는 것인지, HBV DNA 수치를 얘기하시는 것인지를 구분할 줄 아셔야 합니다.
1. 산부인과적으로 산전 검사 항목/지침(guideline)에 간수치를 얼마만에 하도록 되어 있는지를 잘 모르므로, 이 부분은 담당 산부인과 선생님에게 문의하세요.
2. 간수치가 상당히 증가하면 생길 수 있는 증상 - 예, 피곤함, 소화불량이나 기타 위장 증상 등 - 이
있을 경우에는 한 번쯤 또는 가끔 간수치를 검사해보세요.
(단, 피곤이나 소화불량 등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간수치가 증가했다라는 뜻이 아님)
3.28~32 주쯤에는 간수치 검사를 했든 안 했든 간에, 일단 무조건 HBV DNA 수치를 검사하세요.
(간수치 검사를 안 했을 경우에는 HBV DNA 수치 검사를 할 때, 간수치 검사를 같이 받으시면 되고요.)
참고로,
보건소 같은 곳에서는 HBV DNA 검사 같은 것을 아마도 잘 안 할터이고,
산부인과 의사 선생님들도 HBV DNA 검사라는 것을 잘 모르시는 경우도 많을 터이니
가급적이면 내과 또는 내과 계열의 가까운 의원을 가시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