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임신 16주 산모입니다..질문드려요..
2014.02.27 14:00
안녕하세요..
제목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임신중기를 맞이하고 있는 산모입니다.
아버지께서 비형간염보균자이시구요..
어렸을때 제가 보균자라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회사에서 일년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그때는 간수치가 정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임신이 되면서부터 점점 수치가 증가하더라구요..
현재 간수치는 AST 70, ALT 100 IU/L 이며
e항원 양성,e항체 양성.HBV DNA 3천만카피 입니다..
내과 내원시 간초음파 정상.수직감염방지를 위해 24~28주 사이
비리어드 복용을 권유받았습니다..
질문드립니다..
1) 임신중독증 검사를 했는데 고위험군으로 저용량아스피린을 처방받았습니다. 36주까지 복용해야한다는데 비리어드와 함께 복용해도 태아에게 영향이 없을지,그래도 비리어드 효과는 무관한지 궁금합니다..
2) 28주경에 비리어드를 복용하면 간수치정상, dna수치 116 아래로 내려갈수 있을까요..또 출산 후 약 중단후 모유수유하면 안되나요..
3) 태아보험을 가입했는데 만약 비보험으로 비리어드 복용해도 보험유지에 문제가 될까요..
여러가지 질문이지만 여쭤볼 곳이 이곳밖에 없습니다..ㅜㅜ
아이에게도, 남편에게도 미안해서 한동안 얼마나 울었는지 모르겠습니다..혹시 아시는 선생님,산모님들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3
-
윤구현
2014.02.27 14:49
-
zu1223
2014.02.27 17:16
바쁘실텐데 답변 감사합니다.^^
병원에서는 출산하고 바로 약을 끊을순 없을거라고..최소 5년은 복용해야한다고 하셨거든요..ㅜ
모유수유로 감염이 안된다고 들었기때문에
가급적이면 모유수유하고 싶은데..약 끊고 수유하면 큰일날까요ㅜ
-
윤구현
2014.02.27 18:45
앗. 그렇네요....
임신 중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산모의 B형간염 치료를 위해
2) 수직감염 예방을 위해....
산모의 B형간염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수직감염 예방도 함께 되기는 합니다....
산모가 B형간염이 발병하면 그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써야 하는데 여기에 해당되십니다. 이러면 출산 후에도 계속 복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약을 끊고 모유수유를 하실 수도 있기는 한데.... 약을 끊으면 바이러스가 다시 증가할 것입니다(수직감염 예방을 위해 복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이기는 합니다). 이후 간수치가 오를 수도 있고 안 오를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항바이러스제를 성급하게 끊었을 때 HBV DNA와 간수치가 매우 크게 올라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드물지만 있습니다.
약을 끊고 자주 검사를 하면서 다시 복용하는 시점을 보는 것도 방법이기는 합니다만 산모에게 좋을 것은 없습니다.
약을 계속 복용하면서 모유수유하는 것도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만 약 설명서에 가능하다고 되어있지 않아 의사가 '공식적으로' 권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 글과 댓글을 읽어보세요....
http://www.liverkorea.org/zbxe/1728315
참고로... 모유에서 약이 검출되기는 하지만 적은 양이고, 산모가 약을 먹으면 태내에서도 노출되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임신은 누가 대신해줄 수 없지만 모유는 분유라는 대안이 있다는 것이 둘의 큰 차이이죠...
1)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이건 다른 선생님의 답변을 기다리면 될 것이고...
2) 네. 그렇게 내려갈 것입니다. 바이러스가 기준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모유수유는 출산 후 약 중단하고 하시면 됩니다.
3) 간염보유자인 것을 고지하고 계약하셨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고지하지 않고 계약하셨다면 아래 글을 보세요.
http://www.liverkorea.org/zbxe/1178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