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양수검사로 인한 항바이러스제 복용 시기
2023.02.28 12:31
안녕하세요,
수직감염으로인한 B형간염 보균자입니다.
관용기라 간기능은 보통 정상인데 DNA 레벨이 수년동안 1억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관용기라 현재까지는 약 복용을 권고받지 않았고요. 현재 30대중반이고 첫째아이를 임신중인데 (13주째) 원래는 임신후기에 피검사를 해서 바이러스 수치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 19/20주쯤에 양수검사를 하게 되었는데, 병원에서 바이러스 레벨이 아주 높은 경우는 양수검사를 통한 수직감염의 확률이 바이러스가 낮은 경우보다 약간 높다고 하네요. 그래서 현재 Vemlidy 복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처방은 미국에서 받습니다). DNA 시작 레벨이 높아서 그 수치를 현저하게 낮추는데 최소 몇주 걸릴거라고 들었습니다.
제 질문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1. 원래 임신 후기에 처방받는 항바이러스제 (Vemlidy) 를 임신14주째에 복용하기 시작해도 태아에게 괜찮을까요?
2. 바이러스 수치가 1억대에서 100만밑으로 내려오는것이 4-5주안에 가능할까요? 아니면 가능한 빨리 약을 복용하는게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1. 원래 임신 후기에 처방받는 항바이러스제 (Vemlidy) 를 임신14주째에 복용하기 시작해도 태아에게 괜찮을까요?
일단 비리어드 (Viread;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300mg) 는 안전하다고 되어 있지만
베믈리디 (Vemlidy; tenofovir alafenamide hemifumarate 28.04 mg) 에 대해서는 뭐라 답하기가 좀 그렇네요.
사실상 성분으로는 같은 약이기에
이론적으론 복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에서는 임신부에게 베믈리디 처방은 잘 안 하는 편이어서 대답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미국에서/미국 의사께서 처방이 가능하다고 알고 계시고,
제도적으로나 의학적으로나 가능하다고 판단하시는 것이라면
복용해도 되지 않을까...싶습니다.
2. 바이러스 수치가 1억대에서 100만밑으로 내려오는것이 4-5주안에 가능할까요?
가능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치료 반응은 다소 다르니까요.
아니면 가능한 빨리 약을 복용하는게 좋을까요?
담당 의사 샘과 상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