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안녕하세요~~문의드립니다.
2023.01.06 15:59
안녕하세요?
e항원 (+), DNA 40억대 copies/mL , GPT:200 으로 비리어드 시작한지 1달 좀 지났고 시험관시술예정입니다.
걱정이 참 많았는데 공지에 있는글 하나하나 읽어보니 궁금증도 많이 해결되고 안심이되네요.
출생 후 예방조치를 하면 e항원 양성시 수직감염은 20~30%, e항원 음성이면 0%에 가깝고, 정확히는 e항원보다 DNA수치가 높을수록 수직감염률이 올라간다고 했고, 바이러스는 태반으로 통과되지 않고 출산 시 체액으로 감염되기 때문에 출산 직전 DNA가 중요하며, 임신 중 간수치 상승으로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공지에서 보았습니다.
1. 그럼 임신초기~ 임신중기 DNA수치가 높은건 걱정하지 않아도될까요?
약먹은지 얼마 안되서 아직은 DNA수치가 높아서,, DNA가 다 떨어지고 LFT도 낮아지면 임신시도를 해야될까요?
수직감염은 막은다해도 혹시라도 간안좋은 유전자를 물려줄까바 ㅠㅠㅠㅠㅠ 몇달이라도 있다 해봐야할지..
AMH수치가 많이 낮아서 한달이라도 빨리 시도해바야하는데 마음이 조급하네요.
2. 모유수유시 전염이 안된다고 보고되고있다고 보았습니다. 항바이러스제가 소량있긴하지만 태내 노출량보다는 작다고,,,
혹시 항바이러스제를 잠시 중단하고 모유수유를 한다면 의미없는것 같긴하지만 ㅎㅎㅎ
언제부터 중단해야할까요? 그리고 중단했을때 혹시라도 수유시 상처나, 혈액으로 인한 감염도 걱정이 되는데 ,, 잠깐 항바이러스제 끊은다고
감염되거나 그러지는 않겠죠?
1. 그럼 임신초기~ 임신중기 DNA수치가 높은건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요?
예. 별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약 먹은지 얼마 안되서 아직은 DNA수치가 높아서, DNA가 다 떨어지고 LFT도 낮아지면 임신시도를 해야 될까요?
큰 상관 없습니다.
수직 감염은 막는다 해도 혹시라도 간 안 좋은 유전자를 물려줄까바 ㅠㅠㅠㅠㅠ 몇달이라도 있다 해봐야 할지..
간 안 좋은 유전자..라는 게 뭘 말씀하시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질문하시는 내용들 대부분 쓸데 없는 걱정이라는 것 하나는 얘기할 수 있겠네요.
2. 모유 수유시 전염이 안된다고 보고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항바이러스제가 소량 있긴 하지만 태내 노출량보다는 작다고,
혹시 항바이러스제를 잠시 중단하고 모유수유를 한다면 의미없는것 같긴하지만 ㅎㅎㅎ 언제부터 중단해야 할까요?
보통 출산 전후 또는 출산 후 12주 경에 중단합니다.
그리고 중단했을때 혹시라도 수유시 상처나, 혈액으로 인한 감염도 걱정이 되는데, 잠깐 항바이러스제 끊은다고
감염되거나 그러지는 않겠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