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생후 10개월에 항체검사했는데 negative 떠서 재접종할때,
2022.01.05 16:59
태어날때 유박스와 헤파빅 모두 다 맞혔고
아기에게는 항체가 반드시 생길거라고 믿었는데,
10개월경 아기 피검사 한 결과, 항체가 없다고 나왔답니다. (negative)
그래서 다시 추가접종 1차를 일단 하였는데,
현재 다니고 있는 소아과 선생님 말씀으론 면역글로블린은 굳이 다시 맞을 필요없다고 하여서 그냥 유박스만 오늘 다시 1차로 추가접종했습니다.
추가접종때 면역글로블린 안맞히는게 정석인가요..?
너무 답답하고 걱정되는 마음에 문의드립니다.
댓글 4
-
Dr.황남철
2022.01.05 18:07
-
나라말
2022.01.05 20:50
그렇군요 선생님. 답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럼 추가접종 1차로 하였는데 다시 항체검사 하는 시기는 언제가좋을지요…? 1차 2차까지하고 항체가생겼는지 검사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3차까지 다 진행하고 항체검사하는게 맞는지도 잘 판단이 서지 않아 여쭙니다. 그리고 다음 항체검사때는 정밀검사를 해보는게 맞는건지도 궁금합니다. (혹 정밀검사가아니면 음성으로 나오는수도있는지 해서요..)
바쁘신 와중에 다시 한 번 더 감사합니다 선생님 ㅠㅠ -
Dr.황남철
2022.01.07 19:47
그럼 추가접종 1차로 하였는데 다시 항체검사 하는 시기는 언제가 좋을지요?
1차 2차까지 하고 항체가 생겼는지 검사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3차까지 다 진행하고 항체검사하는게 맞는지도 잘 판단이 서지 않아 여쭙니다.
선택의 문제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까요.
1차 접종 후 항체 검사를 하는 경우
장점은
검사 위해 채혈을 했는데 항체가 생겼으면, 이후 2차 및 3차 접종이 필요 없다는 것이지만
단점으로 고생해서 채혈했는데 항체가 안 생겼으면, 이후 2차/3차 접종 후 또 채혈을 해야 한다는 거죠.
3차까지 다 접종 후 항체 검사를 하는 경우
장점은
항체 형성율/가능성을 최대로 높인 상태에서 채혈을 하는 것이니까 1번만 채혈해도 되는 것이고
단점으로는 그때까지 총 3회까지 접종해야 하니깐, 기다려야 한다는 것 등이겠죠.
아이에게 항체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관해서 제일 큰 불편함..이 보통은 채혈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3차까지 다 접종하게 한 후에
그 마지막 3차 접종 후 1~3개월 뒤에 채혈해서 항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권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다음 항체검사때는 정밀검사를 해보는게 맞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면역)항체 검사는
일반 (또는 정성) 검사와 정밀 (또는 정량) 검사 중에 하나로 검사하는데
민감도를 감안하면
정밀(정량)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나라말
2022.01.08 17:52
선생님 말씀주신 부분 잘 새겨들었습니다. 진심으로 이렇게 답변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한 새해 보내시길 바라요!! 감사드립니다.
추가 접종때 면역글로블린 안 맞히는게 정석인가요?
예. 추가 접종 때에는 면역글로불린 맞추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