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임신26주 DNA수치 의견부탁드려요
2020.11.25 16:02
안녕하세요. 오늘로 26주된 임산부입니다.
b형간염 비활동성이구요 지금까지 문제없이 살아왔는데
제 아기에게 물려주기 싫어서 이번에 처음으로 DNA검사를 하고 결과를 받았습니다.
약을 먹어야 하는 수치라고 하는데 한번만 확인 부탁드립니다
AST : 18
ALT : 14
HBe Ag : Postive
HBV DNA real-time PCR정량: 202,000,000 (2.02E+08) IU/ml
간수치는 정상이지만
dna수치가 너무 높아 약을 안먹으면 수직감염 가능성이 너무 높다고...
간수치가 정상이라 비리어드 약도 비급여로 비싸게 받아왔거든요
1. dna수치가 수직간염을 막으려면 약을 먹어야 할정도로 많이 높은건지
2. 먹어야 할정도면 출산후 12주까지만 먹으면 되는지
3. 간수치가 정상이면 출산후 dna수치도 다시 줄어드는지
4. 병원에서 모유수유는 상관없다고 하지만 아기입에 상처가 나거나, 혹시라도 피를 먹게될 가능성도 있기에 엄마가 선택하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어떻게 결정하시는지
미리 감사드립니다
댓글 3
-
Dr.황남철
2020.11.26 21:27
-
워니맘
2020.11.27 05:18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3번 질문은 제가 너무 다 짤라먹고 썼네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3. 만약 약을 복용하고 HBV DNA 수치가 낮아졌다면, 출산 후 약을 중단하면 HBV DNA 수치가 다시 올라가는지?
이것이 궁금했습니다.
사실 엄마가 비리어드를 복용하고 계신데 평생 복용해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임신,수유기에만 복용해도 된다고 설명을 들었기에 드린 질문이었습니다. 혹시 약을 중단한 이유에도 이상이 있다면 계속 복용해야하는지도 염두해두고 싶어서요. -
Dr.황남철
2020.11.30 20:28
출산 후 약을 중단하면 HBV DNA 수치가 다시 올라가는지?
예.
만성 B형 간염으로 약을 복용하기 시작해서 충분한 기간 복용한 뒤
면역 체계가 약의 도움없이도 바이러스 증식을 충분히 억제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상당수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나 B형 간염 보유자에게서 약을 중단하면
HBV DNA 수치는 다시 올라갑니다.
혹시 약을 중단한 이유에도(?) - 이후에(?), 이상이 있다면 계속 복용해야하는지도 염두해두고 싶어서요.
보유자인 임신부가 출산하게 되면
임신 중에 약(항바이러스제)을 복용하지 않았어도
대략 40%에서 출산 후 수 개월 이내에 간수치가 증가하게 되고
이런 분들 중 일부? 상당수?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하며
보유자인 임신부가 수직감염 예방 목적만을 위해
임신 후기에 약(항바이러스제)을 복용하면
출산 후 대략 60% 정도에서 간수치 상승 등으로
약(항바이러스제)을 다시 복용 시작해서 장기간 복용해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약 중단 후
만성 B형 간염에 합당하면서 보험 기준에 해당되는 소견이 보이면
항바이러스제 복용을 - 모친이 복용하듯이 - 해야 합니다.
약 중단 후 언제 만성 B형 간염이 발병할지..는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그게 출산 후 얼마 뒤이든, 한참 뒤이든 간에
언젠가는 간수치 상승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시기가 언제..이냐..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죠.
1. DNA 수치가 수직간염을 막으려면 약을 먹어야 할 정도로 많이 높은건지
예. 높습니다.
약을 복용해서나 자연(?)적으로 HBV DNA 수치가 낮아지지 않는 이상,
현 수준의 DNA 수치가 출산때에도 유지된다면
통상적인 예방 조치 (출산 직후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주사 및 B형 간염 백신 접종) 를 하더라도
수직 감염 확률은 20-30% 정도 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 (예, 비리어드) 같은 약 복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 먹어야 할 정도면 출산후 12주까지만 먹으면 되는지
저라면 보통 출산 직전이나 출산 직후 끊어도 된다고 얘기하는 편이긴 합니다...만
지침대로라면 출산 후 2-12주까지는 복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간수치가 정상이면 출산 후 DNA 수치도 다시 줄어드는지
질문의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간수치가 정상인 상태에서, HBV DNA 수치는 높을수도 있고 낮을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는 간수치가 정상임에도 HBV DNA 수치가 높은 상황에서
무슨 생각으로 "다시 줄어드는지.."라고 질문하시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약을 복용하고 HBV DNA 수치가 낮아졌는데, 출산 후 약을 중단하면 HBV DNA 수치가 다시 올라가는지?"
라고 질문을 하셔야 문맥/논리상 맞는 질문일텐데
느닷없이(?) "다시 줄어드는지?.."라고 물으니 당황스럽습니다.
4. 병원에서 모유수유는 상관없다고 하지만
아기 입에 상처가 나거나, 혹시라도 피를 먹게될 가능성도 있기에
엄마가 선택하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어떻게 결정하시는지
아래 링크는 5년 전에 정리한 글인데 참고하시고
http://www.liverkorea.org/pregnant/587717
그 이후 더 많은 임신부들이 경험한 예들이 있을텐데
검색하시거나
다른 경험자 분들이 글을 적어 주시길 바래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