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舊) 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2015년 이후 간질환 뉴스는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extra_vars3
extra_vars4 ko 
URL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e=46111302 


서울성모병원, 간경변 5명 환자 간 기능 회복 효과 입증

[쿠키 건강] 국내 의료진이 간이식만이 근원적인 치료이자 희망인 간경변증을 자기몸속에 있는 골수줄기세포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의료진이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를 제거해 중간엽줄기세포만을 포함한 단핵구세포를 당일에 직접 환자의 간동맥에 주입하는 차별화된 새로운 세포치료법를 선보여 간 이식만이 희망인 중증 간경변증 환자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배시현(교신저자, 사진) 혈액내과 조석구, 부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박정화(제1저자)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만성 간염으로 간 기능이 소실된 간경변 환자 5명에게, 환자 자신의 골수에서 분리한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입해 간 기능을 회복시켰다.

임상결과는 세포치료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싸이토테라피(Cytotherapy) 7월호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논문에 따르면 남자 환자가 2명, 여자 환자가 3명이며, 환자들의 나이는 35세부터 51세로 평균나이가 47세였다. B형간염이 2명이고, C형 간염, 독성 간염, 윌슨병 환자가 각 1명씩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기능 악화로 황달과 복수가 차고, 간 독소가 제대로 해독되지 않아 의식이 혼탁해져 ‘간성혼수’가 발생하는 위독한 간경변 상태였다. 이번 연구는 이처럼 간이식이 시급하나 기증자를 찾지 못한 환자들이 이식 수술 전까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를 위해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세포분리장치인 클리니맥스를 이용해 중간엽줄기세포 치료효과를 보기위해 환자 자신의 골수를 채취한 뒤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후, 중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한 단핵구세포만을 분리했다. 이후 분리된 줄기세포가 간에 직접 도달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환자골수의 중간엽줄기세포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했다.

그 결과 간 기능 활성도를 보여주는 주요 수치인 ‘알부민’ 단백질 생성수치(정상 기준치 3.5g/dL 이상)가 2.8, 2.4, 2.7, 1.9 g/dL에서 3.3, 3.1, 2.8, 2.6g/dL로 향상됐다.

간의 탄력도의 경우 65, 33, 34.8kPa에서 46.4, 19.8, 29.1kPa로 탄력도가 낮아졌는데, 이는 간이 딱딱해지는 섬유화 현상이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희귀 만성 간 질환인 윌슨병 여성환자(35)는 복수와 간성혼수가 호전됐고, 작아졌던 간의 크기 역시 609.2ml에서 733.7ml로 20.4% 증가했다.

간경변증은 정상적인 간 조직이 염증반응의 결과로 섬유화가 되어 점점 굳어지고, 그 과정에서 재생결절이라 불리는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이렇게 되면 정상 간세포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간 기능의 저하가 뒤따르게 된다.

손상된 간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릴 만한 치료제는 현재까지 없다. 간경변증에서최선의 치료는 간이식이며,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통계에 따르면 현재 6000여명의 환자가 간 이식을 기다리고 있으나, 이식 기증자가 현저히 부족해 지난해 1200여명만의 환자만 이식 수술을 받았다.

배시현 교수는 “간경변증으로 이미 손상된 세포가 복구는 안 되지만 진행을 막을 수는 있기 때문에 늦었다고 포기하지 말고 간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빨리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배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이식이 시급하지만 당장 이식을 할 수 없는 위중한 환자들에게 8시간 내에 자가골수내 줄기세포를 채취해 직접 간에 주입하는 비교적 간단한 치료법으로 기증자를 찾지 못해 이식 수술을 기다리다 생명이 위독할 수 있는 중증 간 질환에게 가교적인 치료(Bridge Therapy)로 적극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임상연구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식약처에 허가임상 신청을 준비 중에 있으며, 허가가 나오면 환자치료에 들어갈 예정이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540 비리어드, 8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200억 돌파-점유율 20% 내외로 꾸준히 상승…올해 연 누적 400억원 달성 가능 2013.12.15 3825
2539 유한양행 '비리어드' 쾌속질주,B형간염시장 지각변동-출시 6개월 170억-절대강자 '바라크루드' 고공행진 '위협' 2013.12.15 3252
2538 제픽스 등 내성환자에 헵세라 단독요법 급여 삭제- 복지부, 급여기준 변경추진...소아, 초치료에 비리어드 인정 2013.12.15 1918
2537 FDA, 지방성 肝질환 치료제 심사 “빨리빨리”-갈렉틴 테라퓨틱스 신약후보물질 ‘패스트 트랙’ 지정 2013.12.15 1463
2536 경구용 B형 간염약 '아데포비어' 급여- 복지부, 소아 환자 치료시...인정 하기로 2013.12.15 1525
2535 [해외축구]아비달, 간질환 극복하고 프랑스대표팀 복귀 2013.12.15 829
2534 中 ‘비리어드’ 특허 폐기 - 혁신성 부족, 누구나 제네릭 제조 가능 [3] 2013.12.15 955
2533 간염 최대 적은 ‘무지’… 바로 알려야 바로 치료한다 2013.12.15 1763
2532 한국 의료진으로부터 '두번의 기적' 얻은 몽골여성-간 이식 후 체계적 관리 통해 17개월 만에 3.2kg의 건강한 딸 출산 2013.12.15 1139
2531 될성부른 떡잎, 블록버스터 신약후보는?-소포스부비어 1위...길리어드ㆍ릴리 '2개씩' [2] 2013.12.15 1046
2530 간암 조직검사 없이 '넥사바' 처방은 '인정불가'-심평원 "영상검사에서 간세포암 뒷받침하는 소견 없을 시, 확진위해 조직검사 필요" 2013.12.15 1714
2529 혈중 비타민D 수치 낮으면 B형 간염 감염률 ↑-독일 연구팀 반비례 상관관계 시사 조사결과 공개 2013.12.15 1281
2528 Refit MELD Score, 국내에는 안맞아 [30] 2013.12.15 5868
» 간경변증, 자기몸속 골수줄기세포 치료 성공 [2] 2013.12.15 1555
2526 거침 없던 '바라크루드', 2분기부터 '비틀'-원외처방 조제액 5월 이어 6월도 하락… 비리어드만 소폭 상승 2013.12.15 417
2525 FDA, 버텍스 경구형 C형간염 실험약 임상 중단-고용량 제제 투여 환자서 간효소 수치 증가 2013.12.15 744
2524 BMS 간염치료제 연구개발·질환인식 앞장 2013.12.15 624
2523 [대한간학회 칼럼] 세계 간염의 날에 즈음해 [2] 2013.12.15 686
2522 C형 간염, 예방백신 없어 더욱 주의 필요 2013.12.15 870
2521 갑자기 B형간염백신 접종비가 비싸진 까닭은?-LG생과·SK케미칼, 프리필드 제형 변경 따라 단가 상승 2013.12.15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