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舊) 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2015년 이후 간질환 뉴스는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extra_vars3
extra_vars4 ko 
URL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049 

7월 28일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정한 ‘세계 간염의 날(World Hepatitis Day)’이다. 간염은 A형부터 E형까지 5가지 유형의 간염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특히 B형과 C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을 거쳐 간경변증(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

2011년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간암에 의한 사망은 인구 10만명당 21.8명으로 암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수치는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으며 우리나라 다음으로 높은 국가인 일본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높다.

여기에 간경화를 포함한 간질환 사망 인구(10만명당 13.5명)를 더하면 만성 간질환은 40-50대에서 다른 모든 암을 합한 경우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 된다. B형 간염과 C형 간염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대한간학회에서는 2013년 세계 간염의 날 즈음하여 우리 국민들의 간 질환 이해도를 높이고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반인의 간질환에 대한 인식과 예방접종, 검진 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국내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한 결과(95% 신뢰수준에서 표본 오차 +/- 1.79%), 여전히 일반인의 상당수가 간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으며 간 건강을 위한 실제적인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45.4%가 B형 간염 감염 여부 조차 모르고, C형 간염 검진율은 10.4%에 불과
이번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B형 간염 항원 혹은 항체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한 적이 없거나 혹은 모르는 경우 포함)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45.4%에 이른다.

특히 10대와 20대에서는 각각 82.0%와 62.2%가 자신의 B형 간염 여부에 대하여 모르고 있다. B형 간염 예방 접종에 대해서는 접종을 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를 모르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고, 권장 접종횟수인 3회 이상을 접종한 경우는 19.5%로 매우 낮았다. 또한 B형 간염이 음식을 통해 전염된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63.1%로 매우 높아, 이러한 오해로 인한 간염 환자에 대한 부당한 사회적 차별이 우려된다.

최근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 원인으로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C형 감염의 검진율은 10.4%로 B형 간염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젊은 층의 검진율(10대 1.3%, 20대 6.1%)과 여성의 검진율(6.2%)이 더 낮은데, 이는 상대적으로 정기 검진 혜택을 받을 기회가 낮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C형 간염은 치료를 통해 완치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치가 가능함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17.7%에 달하여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보전달이 요구된다.

73.5%는 술을 간암의 주원인으로 오해, 54.3%는 올바른 정기 검진 방법조차 몰라 
한국인 간암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간염 바이러스이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의 73.5%가 술이 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잘못 인식하고 있었으며, 술과 담배만 피하면 간암 발생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오해하고 있는 비율도 22.8%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간염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인식 제고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이다.

바이러스 간염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인 간암은 상당히 진행하기 전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혈액 검사 결과도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문제는 조사 대상자의 54.3%가 증상과 혈액 검사만으로 간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고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이다.

만성 간질환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혈액 검사를 통해 간암을 조기 발견하여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염 인식 제고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정책 마련에 노력해야 
가장 심각한 간염 문제를 갖고 있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는 대한간학회를 포함한 관련 전문가 및 단체들이 아시아-태평양 바이러스성 간염 퇴치 연합기구(CEVHAP)를 결성하여 간염퇴치를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정부의 관련 정책 개선을 촉구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2013년 6월 아시아-태평양 간 주간(APASL Liver Week)에서는 간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WHO 글로벌 간염 네트워크(WHO Global Hepatitis Network)가 출범했다.

WHO 글로벌 간염 네트워크는 늘어나는 간염질환 사망률을 지켜볼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물로 새로운 임상 근거에 따른 치료 및 예방, 각 국가별 간염 예방 및 치료 정책 개발, 모니터링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WHO 글로벌 간염 네트워크는 B·C형 간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나아가 치료를 위한 정책 개발 및 예방에 참여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대한간학회는 창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 대국민 홍보와 교육이라는 학회의 목적과 사회적 사명의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 왔다. 국민에게 간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간재단과 공동으로 간질환 공개강좌, 간염바이러스 무료검진 캠페인, 외국인 근로자 무료 검진 행사, ‘간 질환 바로 알기’ 책자 간행 등의 사업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 이번 일반인의 간질환 인지도 조사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아직 국내에서는 간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 개선 및 간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아쉬운 형편이다. 이번에 시행된 간질환 인지도 조사가 향후 학회의 대국민 사업 방향 설정 및 정부의 정책 수립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금번 WHO 글로벌간염네트워크의 출범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간염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각화 된 노력을 강화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540 비리어드, 8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200억 돌파-점유율 20% 내외로 꾸준히 상승…올해 연 누적 400억원 달성 가능 2013.12.15 3825
2539 유한양행 '비리어드' 쾌속질주,B형간염시장 지각변동-출시 6개월 170억-절대강자 '바라크루드' 고공행진 '위협' 2013.12.15 3252
2538 제픽스 등 내성환자에 헵세라 단독요법 급여 삭제- 복지부, 급여기준 변경추진...소아, 초치료에 비리어드 인정 2013.12.15 1918
2537 FDA, 지방성 肝질환 치료제 심사 “빨리빨리”-갈렉틴 테라퓨틱스 신약후보물질 ‘패스트 트랙’ 지정 2013.12.15 1463
2536 경구용 B형 간염약 '아데포비어' 급여- 복지부, 소아 환자 치료시...인정 하기로 2013.12.15 1525
2535 [해외축구]아비달, 간질환 극복하고 프랑스대표팀 복귀 2013.12.15 829
2534 中 ‘비리어드’ 특허 폐기 - 혁신성 부족, 누구나 제네릭 제조 가능 [3] 2013.12.15 955
2533 간염 최대 적은 ‘무지’… 바로 알려야 바로 치료한다 2013.12.15 1763
2532 한국 의료진으로부터 '두번의 기적' 얻은 몽골여성-간 이식 후 체계적 관리 통해 17개월 만에 3.2kg의 건강한 딸 출산 2013.12.15 1139
2531 될성부른 떡잎, 블록버스터 신약후보는?-소포스부비어 1위...길리어드ㆍ릴리 '2개씩' [2] 2013.12.15 1046
2530 간암 조직검사 없이 '넥사바' 처방은 '인정불가'-심평원 "영상검사에서 간세포암 뒷받침하는 소견 없을 시, 확진위해 조직검사 필요" 2013.12.15 1714
2529 혈중 비타민D 수치 낮으면 B형 간염 감염률 ↑-독일 연구팀 반비례 상관관계 시사 조사결과 공개 2013.12.15 1281
2528 Refit MELD Score, 국내에는 안맞아 [30] 2013.12.15 5868
2527 간경변증, 자기몸속 골수줄기세포 치료 성공 [2] 2013.12.15 1555
2526 거침 없던 '바라크루드', 2분기부터 '비틀'-원외처방 조제액 5월 이어 6월도 하락… 비리어드만 소폭 상승 2013.12.15 417
2525 FDA, 버텍스 경구형 C형간염 실험약 임상 중단-고용량 제제 투여 환자서 간효소 수치 증가 2013.12.15 744
2524 BMS 간염치료제 연구개발·질환인식 앞장 2013.12.15 624
» [대한간학회 칼럼] 세계 간염의 날에 즈음해 [2] 2013.12.15 686
2522 C형 간염, 예방백신 없어 더욱 주의 필요 2013.12.15 870
2521 갑자기 B형간염백신 접종비가 비싸진 까닭은?-LG생과·SK케미칼, 프리필드 제형 변경 따라 단가 상승 2013.12.15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