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등 간질환


nexavar.gif
넥사바(Nexavar)는 간 세포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연장시킨 세계 최초의 경구용 간암 치료제로,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동시에 암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주변 혈관세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다중표적항암제입니다. 

간암은 다른 암에 비하여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률이 낮지만, 넥사바의 진행성 간세포성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면서 말기 간암 환자들을 위한 유일한 전신적 항암 요법으로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세계적 규모의 임상 연구 결과, 넥사바가 환자들의 생존기간 연장 및 진행기간 지연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100여개 이상의 임상시험에서 이와 같은 생존율에 유의성을 보인 치료제는 넥사바가 유일하며 향후 간암 치료에 있어 1차 치료제의 표준 요법으로 발전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넥사바는 2007년 美 FDA로부터 승인받은 뒤 국내에서는 2008년 3월에 간암에 대하여 적응증을 획득했으며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허가를 받았습니다. 또한 신장암에 대하여도 2006년 승인을 받아 적응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넥사바는 하루에 200mg 2정을 2회 복용하며, 담당 의사가 처방한 복용량을 반드시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용하다가 경미한 이상반응이 나타나더라도 임의로 복약을 중단해서는 안되며 담당의사와 상의해서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넥사바는 다른 항암제와 달리 별도의 투여주기나 휴약기가 없습니다.


효능효과, 용법용량, 이상반응

 효능효과: 간세포성암 / 이전의 cytokine 치료에 실패 경험이 있거나, 이러한 치료 요법이 적절치 않은 진행성 신장세포암
 용법용량: 1회 400mg으로 1일 2회, 공복상태(최소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합니다.
 이상반응: 넥사바는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에 있어서 넥사바 복용 환자와 위약 복용 환자들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암제로서 흔하게 발생하는 설사, 발진/박리, 손과 발에 나타나는 이상반응, 피로, 탈모증,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세포암 치료를 위한 넥사바 투여 초기에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처음 6주 동안에는 매주 혈압을 체크해야 합니다. 

※ 현재 바이엘에서는 간암 환자들을 위한 이상반응 관리 프로그램 ‘넥스컨넥’을 운영하며 환자들이 경험하는 부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넥사바 복용 환자 누구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적용 기준
  • 넥사바는 2011년 1월 1일부터 간암에 대한 보험 급여가 인정되어 약제비에 대한 환자 본인 부담률은 50%입니다.  

4.gif

2.gif



넥사바의 가격

3.jpg
※ 실재로 구입할 때는 조제료가 추가됩니다. 



장점 및 특징

넥사바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간암, 신장암 치료제입니다. 특히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SHARP 등의 연구를 통해 넥사바를 복용한 환자들이 위약을 복용한 환자들과 비교하여 전체 생존율이 40% 이상 연장되었음이 입증되었으며 이상반응에 있어서도 위약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전 세계에서 그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다중표적항암제인 넥사바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동시에 주변 혈관세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부작용이 비교적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 있습니다. 때문에 과거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에까지 무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기존 항암제와 비교하여 탈모, 구토 등의 이상반응에 대한 부담이 적어 내약성이 우수하다는 점 또한 장점입니다.

경구로 복용하는 약제이기 때문에 주사를 맞기 위해 병원을 내원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암 환자들이 병원비 등의 추가 치료비를 부담하지 않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른 항암제와 달리 휴약기가 없어서 일일이 치료 주기를 챙길 필요가 없다는 점 또한 환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합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1. 간에대해 [6] file 윤구현 2007.12.29 2017.08.09 25868
2. 간염 [8] 윤구현 2007.12.30 2018.02.12 57040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file 윤구현 2007.12.31 2014.08.13 42933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윤구현 2007.12.31 2017.09.04 53517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file 윤구현 2007.12.31 2019.07.12 104921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윤구현 2007.12.31 2019.05.13 61436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윤구현 2008.01.01 2012.10.02 42176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윤구현 2008.01.01 2014.10.06 40449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file 윤구현 2008.01.01 2011.11.18 26757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31431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윤구현 2008.01.10 2016.05.09 31210
3-9-2. 아데포비어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27896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file 윤구현 2008.01.07 2019.04.03 26448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file 윤구현 2008.01.09 2018.03.08 53649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file 윤구현 2008.01.09 2015.12.28 22163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윤구현 2010.10.08 2015.12.28 18535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file 윤구현 2008.01.10 2013.11.11 28277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윤구현 2008.01.10 2017.05.22 36026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윤구현 2008.01.10 2019.07.12 38589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윤구현 2008.01.10 2011.02.15 22318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file 윤구현 2008.01.02 2013.03.19 69135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윤구현 2007.12.30 2020.08.05 93180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윤구현 2008.01.10 2011.11.18 23175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윤구현 2008.01.11 2018.10.19 25478
4-3. C형간염의 치료 [2] 윤구현 2008.01.11 2021.10.27 30054
4. C형간염 [1] 윤구현 2008.01.10 2011.02.15 19276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file 윤구현 2008.01.17 2018.02.27 150645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file 윤구현 2008.01.13 2020.08.30 218211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file 윤구현 2011.10.25 2018.01.12 33991
6. 간암의 예방 윤구현 2011.10.25 2011.10.25 6163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6592
6. 간암의 치료 [1] 윤구현 2011.10.25 2018.12.24 18047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3562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윤구현 2011.10.25 2011.10.25 7222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27251
7. 간이식 [2] file 윤구현 2008.01.24 2017.05.15 37424
A형간염 [1] file 윤구현 2008.02.05 2011.02.15 29978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윤구현 2008.02.13 2018.02.25 36409
간질환과 술 [2] 윤구현 2008.02.13 2011.11.18 33331
간질환과 식생활 [2] 윤구현 2008.02.16 2016.06.25 39315
간질환과 운동 [2] 윤구현 2008.02.16 2013.11.02 35243
간질환과 흡연 [3] 윤구현 2008.02.16 2016.11.18 28034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윤구현 2008.02.11 2011.02.15 29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