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2008.01.09 05:45
바라크루드(Baraclude®)는 2007년부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먹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 일반명은 엔테카비어(Entecavir)이고 BMS(Bristol-Myers Squibb)에서 개발, 판매하고 있습니다.
바라크루드는 2005년 3월 29일 미국에서 만성B형간염치료제로 허가를 받았고 우리나라 허가는 2006년 5월 29일에 받았습니다. 보험은 2007년 1월 1일부터 적용받고 있습니다.
바라크루드는 두 가지 제품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 전에 먹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환자를 위한 0.5mg과 제픽스 내성환자를 위한 1mg입니다. 제픽스 내성이 없다면 다른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다 약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고 보험적용도 됩니다.
▣ 효능효과, 용법용량, 부작용
○ 효과 : 만성B형간염의 B형간염바이러스 억제, 염증개선.(만 16세이상)
○ 용법용량 : 1일 1회, 0.5mg을 먹습니다. 제픽스 내성 만성B형간염환자는 1일 1회 1mg을 먹습니다.
16세 미만의 소아 환자에 대한 바라크루드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바라크루드는 공복(식사 2시간 후 또는 최소 2시간 전)에 먹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약의 흡수가 떨어집니다. 먹는 항바이러스 가운데 유일하게 공복에 복용해야 하는 약입니다.
○ 부작용 : 일반적인 부작용은 보고된 것이 거의 없습니다. 기타 부작용은 가짜약(위약)을 먹는 환자와 차이가 없었습니다(바라크루드와는 관계 없어 보인다는 뜻입니다). 다만 두통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일부 있습니다. 자세한 효능,효과,부작용 정보는 아래에 있는 '상세정보'를 보시기 바랍니다.
▣ 바라크루드의 보험기준
바라크루드0.5mg은 제픽스, 레보비르와 보험기준이 거의 같고 바라크루드1mg은 헵세라와 보험기준이 거의 같습니다.
2013년 6월 1일부터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의 급여 기준이 통합 개정되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경구용 만성B형간염 치료제 급여 기준
바라크루드0.5mg 과거 보험급여 기준(2013년 5월 31일까지)
바라크루드1mg 과거 보험급여 기준(2013년 5월 31일까지)
▣ 바라크루드의 가격
<바라크루드0.5mg>
1정 - 5,878원(2010년 10월 1일부터)
30정 비급여 - 176,340원
30정 보험적용 - 52,902원
<바라크루드1mg>
1정 - 6,497원(2010년 10월 1일부터)
30정 비급여 - 194,910원
30정 보험적용 - 58,473원
※ 실재로 구입할 때는 조제료가 추가됩니다.
▣ 바라크루드의 장단점
바라크루드의 갖장 큰 장점은 내성률이 낮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항바이러스제의 내성'을 보시기 바랍니다. 바라크루드는 먹는 만성B형간염치료제 중 내성률이 가장 낮습니다. 바이러스 억제 효과도 제픽스나 헵세라보다 좋습니다. 내성은 항바이러스제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받고 있기 때문에 거의 안 생기는 내성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바라크루드 3상 시험결과 내성은 4년에 1%이하에서 나타났습니다.
바라크루드의 내성은 기존에 제픽스에서 내성이 생긴 환자에서 훨씬 더 잘 생깁니다. 이건 바라크루드에 아주 큰 잇점이 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처음에 다른 약을 쓰지 말고 바라크루드를 먼저써라'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되었구요. 그 덕분에 미국간학회와 일본간학회는 처음 시작은 바라크루드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라크루드에도 약점은 있습니다. 발암성 동물시험결과 고용량의 바라크루드를 투여받은 마우스에서 폐암, 간세포암, 간선종, 난소와 자욱의 혈관종, 비장혈관육종, 뇌신경교종, 피부섬유종 등 다양한 종양이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함께 실험한 랫트, 개, 원숭이에서는 발생하지 않아 특정한 종에 국한된 문제라고 판단되어 출시될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미국 FDA는 10년간 대규모 시판후임상시험(PMS ; post-marketting surveillance)을 전제로 허가했습니다.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라크루드 임상시험도 이 PMS의 일환입니다.
동물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해서 사람에게도 같은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동물에서 효과가 있다고 사람에게 효과가 있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암은 꽤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관심은 가져야 합니다.
바라크루드는 약 3년간 사용되고 있는데요. 아직 바라크루드로 인해 사람에서 암이 새롭게 나타났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 암이 사람에게 흔한 것들이기 때문에 바라크루드 복용자에게 폐암, 간암 등이 나타났을 때 논란이 될 여지는 있습니다.
가격도 제픽스의 두 배 이상이라는 점도 좋지 않은 점이군요.
반드시 공복에(식사 2시간 후 또는 최소 2시간 전) 먹어야 하는 것도 다른 약에 비해 불편한 점입니다.
바라크루드는 제픽스나 헵세라에 비해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매우 뛰어난 편입니다. 그러나 만성B형간염치료에서 치료 종료시점을 결정하는 e항원소실이나 e항원혈청전환은 제픽스, 헵세라와 차이가 없습니다.
▣ 바라크루드 내성환자의 치료
아직은 바라크루드 내성환자가 국내에는 없어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자료가 적습니다. 바라크루드 장기투여로 내성이 발생해도 바라크루를 계속 투여했을 때 7%에서는 HBV DNA가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내성이후 간질환이 악화되거나 비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 이식 후 재발환자는 다른 약으로 바꿔야하는데 헵세라나 테노포비어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상세정보

댓글 59
-
침묵의장기
2011.12.19 19:58
-
윤구현
2011.12.20 11:43
약을 쓰면 보통 3개월 간격으로 검사합니다.
-
손영호
2012.01.12 11:11
이번달 부터 처방 받았습니다.
겁도 많이 나고요. 전 매달 검사하자고 하시던데, 병원 갈려니 주변에 눈치도 보이고, 돈도 많이 들고
-
윤구현
2012.01.12 14:55
복용 초기이기 때문에 경과를 보기 위해 한 달 간격으로 오라고 하셨을 겁니다.
보통 안정되면 간격이 더 벌어집니다.
-
홍성권
2012.04.10 19:10
제발 약값좀 내렸으면 하는데 언제시행이 될지 정확히는 모르시는지요
어디에다 건의해야하는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직업도 없이 이약만먹고있습니다. 저는 바라크루드와 헤파비르정을 복용하고 있는데
DNA바이러스 수치가 300수치까지 내려갔습니다.
의사 선생님이 3월달에 진료를해주시면서 4월달에약값인하가 될지 모르니
1달치만받고 2달치는 4월달에타가시라고
하길래 약국에가서 보니 약값인하는 없다고하더군요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윤구현
2012.04.10 20:01
많은 분들이 약값 인하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만
실제로 약값 인하는 피부에 크게 와닿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보험적용 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약값은 한 번에 20-30%내려가기 힘들지만
보험적용이 되면 부담하는 비용의 70%가 줄어들거든요...
두 가지를 병용하시면 헤파비르를 비급여로 드시고 있으실텐데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보험적용 해달라고 민원을 넣어보세요...
-
영필이
2014.11.14 13:36
저는 64세 여성으로 B 형 간염을 수직 감염으로 수십년간 앓고 있읍니다. 현재 검사 수치로는
HEP,B DNA PCR(LOG-10) 4.63 log-10
HEP,B DNA PCR(IU) 42462 IU/mL
HEP,BDNA,PCR(Copies) 247129 copies/mL
입니다
약을 수년간 Baraclude 1 mg 과 Viread 300mg 을 매일 먹었는데도 상기와 같은 수치가 나오고 있어 혹시 이약에 내성이 생긴게 아닌가 하고 의심도 있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몰라 전전 긍긍 하고 있읍니다.
좋은 충고의 말씀을 기다리겠읍니다.
-
뉴질사람
2018.03.07 06:58
안녕하세요 저는 뉴질랜드에서 바라쿠르드를 처방받아서 작년 12월 부터 먹고 있는데, 그때 의사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식사전,후,또는 식사중 언제라도 상관없다고 하셨는데.... 공복이 아니면 안되는 건가요? 반드시 공복에 먹어야 하는건가요? 그리고,먹는시간은 하루중 언제라도 상관없다고 하셨는데..... 기준이 나라별로 틀린건가요?
-
윤구현
2018.03.08 11:35
아래 글의 댓글을 보세요...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http://www.liverkorea.org/hepaboard/584877
제목 | 글쓴이 | 날짜 | 최근 수정일 | 조회 수 |
---|---|---|---|---|
1. 간에대해
[6] ![]() | 윤구현 | 2007.12.29 | 2017.08.09 | 25905 |
2. 간염 [8] | 윤구현 | 2007.12.30 | 2018.02.12 | 62079 |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 | 윤구현 | 2007.12.31 | 2014.08.13 | 42986 |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 윤구현 | 2007.12.31 | 2017.09.04 | 53567 |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 | 윤구현 | 2007.12.31 | 2019.07.12 | 105051 |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 윤구현 | 2007.12.31 | 2019.05.13 | 61519 |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 윤구현 | 2008.01.01 | 2012.10.02 | 42218 |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 윤구현 | 2008.01.01 | 2014.10.06 | 40479 |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 | 윤구현 | 2008.01.01 | 2011.11.18 | 26786 |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 | 윤구현 | 2008.01.07 | 2013.11.11 | 31445 |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 윤구현 | 2008.01.10 | 2016.05.09 | 31237 |
3-9-2. 아데포비어
[1] ![]() | 윤구현 | 2008.01.07 | 2013.11.11 | 27899 |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 | 윤구현 | 2008.01.07 | 2019.04.03 | 26464 |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 | 윤구현 | 2008.01.09 | 2018.03.08 | 53766 |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 | 윤구현 | 2008.01.09 | 2015.12.28 | 22165 |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 윤구현 | 2010.10.08 | 2015.12.28 | 18576 |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 | 윤구현 | 2008.01.10 | 2013.11.11 | 28279 |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 윤구현 | 2008.01.10 | 2017.05.22 | 36051 |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 윤구현 | 2008.01.10 | 2019.07.12 | 38608 |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 윤구현 | 2008.01.10 | 2011.02.15 | 22321 |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 | 윤구현 | 2008.01.02 | 2013.03.19 | 69231 |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 윤구현 | 2007.12.30 | 2020.08.05 | 93338 |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 윤구현 | 2008.01.10 | 2011.11.18 | 23180 |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 윤구현 | 2008.01.11 | 2018.10.19 | 25491 |
4-3. C형간염의 치료 [2] | 윤구현 | 2008.01.11 | 2021.10.27 | 30106 |
4. C형간염 [1] | 윤구현 | 2008.01.10 | 2011.02.15 | 19284 |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 | 윤구현 | 2008.01.17 | 2018.02.27 | 152770 |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 | 윤구현 | 2008.01.13 | 2020.08.30 | 228320 |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 | 윤구현 | 2011.10.25 | 2018.01.12 | 35255 |
6. 간암의 예방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6188 |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16640 |
6. 간암의 치료 [1] | 윤구현 | 2011.10.25 | 2018.12.24 | 18195 |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13636 |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7344 |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27471 |
7. 간이식
[2] ![]() | 윤구현 | 2008.01.24 | 2017.05.15 | 37566 |
A형간염
[1] ![]() | 윤구현 | 2008.02.05 | 2011.02.15 | 29983 |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 윤구현 | 2008.02.13 | 2018.02.25 | 36446 |
간질환과 술 [2] | 윤구현 | 2008.02.13 | 2011.11.18 | 33374 |
간질환과 식생활 [2] | 윤구현 | 2008.02.16 | 2016.06.25 | 39384 |
간질환과 운동 [2] | 윤구현 | 2008.02.16 | 2013.11.02 | 35294 |
간질환과 흡연 [3] | 윤구현 | 2008.02.16 | 2016.11.18 | 28079 |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 윤구현 | 2008.02.11 | 2011.02.15 | 29635 |
바라크루트를 어느정도 복용하고 다시 디앤에이 검사랑 이항원 이항체 검사를 해봐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