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등 간질환


B형간염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2008.01.09 05:45

윤구현 조회 수:53766 추천:1

 바라크루드(Baraclude®)는 2007년부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먹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 일반명은 엔테카비어(Entecavir)이고 BMS(Bristol-Myers Squibb)에서 개발, 판매하고 있습니다.
 바라크루드는 2005년 3월 29일 미국에서 만성B형간염치료제로 허가를 받았고 우리나라 허가는 2006년 5월 29일에 받았습니다. 보험은 2007년 1월 1일부터 적용받고 있습니다.

 바라크루드는 두 가지 제품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 전에 먹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환자를 위한 0.5mg과 제픽스 내성환자를 위한 1mg입니다. 제픽스 내성이 없다면 다른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다 약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고 보험적용도 됩니다.



효능효과, 용법용량, 부작용
○ 효과 : 만성B형간염의 B형간염바이러스 억제, 염증개선.(만 16세이상)

○ 용법용량 : 1일 1회, 0.5mg을 먹습니다. 제픽스 내성 만성B형간염환자는 1일 1회 1mg을 먹습니다.
 16세 미만의 소아 환자에 대한 바라크루드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바라크루드는 공복(식사 2시간 후 또는 최소 2시간 전)에 먹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약의 흡수가 떨어집니다. 먹는 항바이러스 가운데 유일하게 공복에 복용해야 하는 약입니다.

○ 부작용 : 일반적인 부작용은 보고된 것이 거의 없습니다. 기타 부작용은 가짜약(위약)을 먹는 환자와 차이가 없었습니다(바라크루드와는 관계 없어 보인다는 뜻입니다). 다만 두통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일부 있습니다. 자세한 효능,효과,부작용 정보는 아래에 있는 '상세정보'를 보시기 바랍니다.



바라크루드의 보험기준
 바라크루드0.5mg은 제픽스, 레보비르와 보험기준이 거의 같고 바라크루드1mg은 헵세라와 보험기준이 거의 같습니다.

2013년 6월 1일부터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의 급여 기준이 통합 개정되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경구용 만성B형간염 치료제 급여 기준
바라크루드0.5mg  과거 보험급여 기준(2013년 5월 31일까지)
바라크루드1mg 과거 보험급여 기준(2013년 5월 31일까지)




바라크루드의 가격
<바라크루드0.5mg>

1정 - 5,878원(2010년 10월 1일부터)

30정 비급여 - 176,340원

30정 보험적용 - 52,902원


<바라크루드1mg>
1정 - 6,497원(2010년 10월 1일부터)
30정 비급여 - 194,910원

30정 보험적용 - 58,473원


※ 바라크루드 0.5mg, 1mg은 1병 30정 포장입니다.
※ 실재로 구입할 때는 조제료가 추가됩니다. 



바라크루드의 장단점
 바라크루드의 갖장 큰 장점은 내성률이 낮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항바이러스제의 내성'을 보시기 바랍니다. 바라크루드는 먹는 만성B형간염치료제 중 내성률이 가장 낮습니다. 바이러스 억제 효과도 제픽스나 헵세라보다 좋습니다. 내성은 항바이러스제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받고 있기 때문에 거의 안 생기는 내성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바라크루드 3상 시험결과 내성은 4년에 1%이하에서 나타났습니다.
 바라크루드의 내성은 기존에 제픽스에서 내성이 생긴 환자에서 훨씬 더 잘 생깁니다. 이건 바라크루드에 아주 큰 잇점이 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처음에 다른 약을 쓰지 말고 바라크루드를 먼저써라'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되었구요. 그 덕분에 미국간학회와 일본간학회는 처음 시작은 바라크루드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라크루드에도 약점은 있습니다. 발암성 동물시험결과 고용량의 바라크루드를 투여받은 마우스에서 폐암, 간세포암, 간선종, 난소와 자욱의 혈관종, 비장혈관육종, 뇌신경교종, 피부섬유종 등 다양한 종양이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함께 실험한 랫트, 개, 원숭이에서는 발생하지 않아 특정한 종에 국한된 문제라고 판단되어 출시될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미국 FDA는 10년간 대규모 시판후임상시험(PMS ; post-marketting surveillance)을 전제로 허가했습니다.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라크루드 임상시험도 이 PMS의 일환입니다.
 동물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해서 사람에게도 같은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동물에서 효과가 있다고 사람에게 효과가 있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암은 꽤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관심은 가져야 합니다.
 바라크루드는 약 3년간 사용되고 있는데요. 아직 바라크루드로 인해 사람에서 암이 새롭게 나타났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 암이 사람에게 흔한 것들이기 때문에 바라크루드 복용자에게 폐암, 간암 등이 나타났을 때 논란이 될 여지는 있습니다.
 가격도 제픽스의 두 배 이상이라는 점도 좋지 않은 점이군요.

 반드시 공복에(식사 2시간 후 또는 최소 2시간 전) 먹어야 하는 것도 다른 약에 비해 불편한 점입니다.

 바라크루드는 제픽스나 헵세라에 비해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매우 뛰어난 편입니다. 그러나 만성B형간염치료에서 치료 종료시점을 결정하는 e항원소실이나 e항원혈청전환은 제픽스, 헵세라와 차이가 없습니다.



바라크루드 내성환자의 치료
 아직은 바라크루드 내성환자가 국내에는 없어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자료가 적습니다. 바라크루드 장기투여로 내성이 발생해도 바라크루를 계속 투여했을 때 7%에서는 HBV DNA가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내성이후 간질환이 악화되거나 비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 이식 후 재발환자는 다른 약으로 바꿔야하는데 헵세라나 테노포비어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상세정보





ccl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1. 간에대해 [6] file 윤구현 2007.12.29 2017.08.09 25905
2. 간염 [8] 윤구현 2007.12.30 2018.02.12 62079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file 윤구현 2007.12.31 2014.08.13 42986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윤구현 2007.12.31 2017.09.04 53567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file 윤구현 2007.12.31 2019.07.12 105051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윤구현 2007.12.31 2019.05.13 61519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윤구현 2008.01.01 2012.10.02 42218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윤구현 2008.01.01 2014.10.06 40479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file 윤구현 2008.01.01 2011.11.18 26786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31445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윤구현 2008.01.10 2016.05.09 31237
3-9-2. 아데포비어 [1] file 윤구현 2008.01.07 2013.11.11 27899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file 윤구현 2008.01.07 2019.04.03 26464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file 윤구현 2008.01.09 2018.03.08 53766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file 윤구현 2008.01.09 2015.12.28 22165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윤구현 2010.10.08 2015.12.28 18576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file 윤구현 2008.01.10 2013.11.11 28279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윤구현 2008.01.10 2017.05.22 36051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윤구현 2008.01.10 2019.07.12 38608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윤구현 2008.01.10 2011.02.15 22321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file 윤구현 2008.01.02 2013.03.19 69231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윤구현 2007.12.30 2020.08.05 93338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윤구현 2008.01.10 2011.11.18 23180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윤구현 2008.01.11 2018.10.19 25491
4-3. C형간염의 치료 [2] 윤구현 2008.01.11 2021.10.27 30106
4. C형간염 [1] 윤구현 2008.01.10 2011.02.15 19284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file 윤구현 2008.01.17 2018.02.27 152770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file 윤구현 2008.01.13 2020.08.30 228320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file 윤구현 2011.10.25 2018.01.12 35255
6. 간암의 예방 윤구현 2011.10.25 2011.10.25 6188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6640
6. 간암의 치료 [1] 윤구현 2011.10.25 2018.12.24 18195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13636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윤구현 2011.10.25 2011.10.25 7344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file 윤구현 2011.10.25 2011.10.25 27471
7. 간이식 [2] file 윤구현 2008.01.24 2017.05.15 37566
A형간염 [1] file 윤구현 2008.02.05 2011.02.15 29983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윤구현 2008.02.13 2018.02.25 36446
간질환과 술 [2] 윤구현 2008.02.13 2011.11.18 33374
간질환과 식생활 [2] 윤구현 2008.02.16 2016.06.25 39384
간질환과 운동 [2] 윤구현 2008.02.16 2013.11.02 35294
간질환과 흡연 [3] 윤구현 2008.02.16 2016.11.18 28079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윤구현 2008.02.11 2011.02.15 2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