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2007.12.31 17:48
사람의 간에서 복제된 새로운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계속하여 간세포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더 많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생산하고, 결국 환자의 간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됩니다. 그러나 간이 손상되는 것은 환자 자신의 면역계의 반응에 의해서입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혈액 내로 침입하게 되면, 간에 도달할 때까지 체내를 돌아다닙니다. 간에 도달한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 표면에 부착된 후, 간세포 내부로 들어갑니다. 세포 내부에 침입한 후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를 이용하여 자신을 복제합니다. 이렇게 복제된 수많은 새로운 바이러스는 혈액으로 방출됩니다.
이렇게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 내에서 자신을 복제하고 있을 때 인체의 면역계는 체내에 이상이 생긴 것을 감지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를 공격하기 시작합니다. 바로 이와 같은 상태가 간염입니다.
간은 자신의 세포를 회복시키려 하지만, 오랫동안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간세포는 새롭고 건강한 세포가 아닌 비정상적인 섬유조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섬유화)에 의해 결국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되어 간기능이 저하되고 생명을 위협하는 간질환으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사람의 간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아니라, 비정상적인 간세포를 끊임없이 제거하려고 하는 인체의 면역체계 자체입니다.
종종 인체의 면역계가 승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최소한 승리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면역계가 간에 큰 손상을 입히지 않고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완전히 박멸 되었다기보다는 대개 적은 수의 바이러스가 남아 있으나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댓글 14
-
러브러쉬
2011.02.15 19:10
-
윤구현
2011.02.16 10:45
바이러스가 억제된 상태에서는 면역제거기가 길어지지 않습니다.
-
달나그네
2011.03.22 18:41
e항체가 있는상태에서 생긴 변종바이러스는 인체 면역계가 아닌 그 자체만으로도 간손상이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이게 맞는 말인가요? 그러니깐 dna양성인 e항원음성만성간염 같은경우 면역반응이 없는데도 간손상이 되는건가요?
-
윤구현
2011.03.23 12:23
말씀하시는 변종바이러스라는 것은 precore mutant 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precore mutant가 야생형에 비해 간손상을 더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HBV DNA가 양성이고 간수치가 정상이라고 해서
간염보유자가 간염보유자가 아닌 사람만큼 간손상이 적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 보다는 약간 더 있다고 봐야하죠...
다만 그 정도 손상으로는 큰 문제가 안일어나기 때문에 문제를 삼지 않는 겁니다...
그러나 간경변이 매우 심한 분들에서는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나 황달 등이 있는 간경변 환자는
간수치가 정상이라고 해도 HBV DNA가 검출만 되면 약을 씁니다.
-
아기엄마
2017.04.27 14:25
간경변이 매우 심한 분들에서는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나 황달 등이 있는 간경변 환자는간수치가 정상이라고 해도 HBV DNA가 검출만 되면 약을 씁니다
->이 경우, 보험적용을 받을수있습니까?
그리고 간암환자의 경우, 간수치가 정상범위로 되더라도 약처방시 보험적용을 계속받을수있는지요?
-
윤구현
2017.04.27 15:06
심한 간경변(비대상성간경변), 간암에서는 HBV DNA가 검출만 되면 간수치에 상관없이 보험적용이 됩니다.
증상이 없는 간경변(대상성 간경변)에서는 HBV DNA가 10,000copies/mL를 넘으면 간수치에 상관없이 보험적용 됩니다.
간염이건, 간경변이건, 간암이건 처음 시작할 때 보험적용이 되면 이후 검사결과에 상관없이 계속 드셨을 때 보험적용이 됩니다. -
술멀리
2013.02.27 11:30
간이란 정말 우리 장기중에서 가장 소중한것입니다....사랑 합니다.
-
이바우
2013.05.13 21:31
인체의 면역체계가 간세포를 손상시킨다는 것을 알겠습니다. 그런데, 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저는 면역체계가 인체를 외부의 위험으로 부터 보호해서 생명유지에 도움이되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고 있는데 면역체계가 그렇게 간세포를 손상시켜버리면 인체에 도움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즉,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를 공격하는 것이 면역체계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그런 작용이 인체의 생명유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면역체계를 제어할 수 있는 어떤 시스템이 우리 몸에 있어야 하지 않는가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우리 몸이 이 정도의 시스템도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이 이상합니다.
또 하나 추가하자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와 정상적인 간세포는 세포의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바이러스 감염이 되어도 간의 정상적인 작동에 전혀 지장이 없다면 굳이 바이러스를 없애려고 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그렇다면 더더욱 우리의 면역체계가 바보같은 짓을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왜 우리 몸에는 이런 우둔한 면역체계를 control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을까요?
-
윤구현
2013.05.14 14:13
면역계는 종종 문제를 일으킵니다. 우리 몸의 정상조직을 공격해서 생기는 병들(류마티즘, 루푸스, 자가면역성 간염 등)도 있고 굳이 공격할 필요가 없는데 과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병들도 있습니다. 아토피, 알러지 등이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A형간염바이러스는 가만히 있어도 두세달이면 사람몸을 빠져나갑니다. 면역력이 미성숙한 아주 어렸을 때 걸리면 아무런 증상없이 사라집니다. 그러나 성인이 되어 A형간염에 걸리면 그냥 두어도 될 것을 없애느라 간염이 생깁니다. 심한 경우 간이 너무 많이 망가져 사망하게 됩니다. 빈대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우는 겪이죠... 요즘은 없어진 병이지만 소아마비도 비슷합니다...
꽃가루 같은 것은 몸에 그리 해롭지 않습니다. 그러나 면역계가 이를 굳이 빨리 내보내려고 하다가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사람이 있습니다. 독이 심하지 않은 벌에 쏘였을 때 사망하는 것도 보통은 과한 면역반응때문이죠...
우리 몸의 입장에서는 침입자가 몸에 해를 끼칠 것인지, 며칠있다 나갈 것인지까지는 구분하지 못하는 겁니다.
면역이라는 것은 너무 예민하거나 과해도 문제이고 너무 둔감해도 문제입니다.
부작용 없이 인위적으로 면역을 조절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면역력을 높인다고 광고하는 사람들은 사기나 거짓말 또는 무지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토피 환자에게 면역력을 높이라고 뭔가 파는 것을 보면 웃기는 일이죠....
아래 기사도 한 번 읽어보세요.
서울신문 인체 면역력 - 인체내 유해균에 맞서는 ‘생명 파수꾼’
-
가라산
2014.09.24 08:52
B형간염 보균자 입니다. 협세라 약을 2년간 복용해도 차도가 없어 대학병원에서 간 초음파 검사를 했더니 간에 500원 짜리크기의 구멍이 있다는데 이런경우도 있는지 걱정이 많이되는군요.혹시 알고계시는 멘토님이 계시면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윤구현
2014.09.25 18:14
간에 구멍이생기지는 않는데요....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확인해보세요.
-
Juny90
2017.05.10 11:0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푸디사랑
2017.08.30 20:44
B형 바이러스는 간세포를 이용해 증식하여 간을 손상시킨다고했는데요 관용기상태처럼 간이 정상인데 바이러스가 증식하는것은 어떻게 증삭하는 건가요??
그리고 위댓글을 보니 면역때문에 간이 공격당한다고 했는데요 저는 35년간 b형간염에 걸렸지만 관용기 상태로 간은 정상이고 바이러스만 증식하고 있습니다
어머니 말로는 어릴때 부터 면역력이 약하게 태어났다고 늘 말씀하셨는데 혹 그것때문에 저는 관용기 상태가 오래 지속되고 있는건지 갑자기 궁금증이 생기네요
-
윤구현
2017.09.04 10:58
간염바이러스가 간세포를 이용해 증식하는 것은 간이 정상인 것과 직접 관련은 없습니다. 간경변보다는 정상적인 간세포가 많으면 증식하기는 더 좋을 것 같습니다.
35년 간 매년 1-2차례 이상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면역제거기를 안 거쳤다고 자신할 수는 없습니다. 그 사이에 짧은 면역제거기는 겪었을 수 있습니다. 비증식기로 안 넘어가고요...
'면역력이 약하게 태어났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사람의 면역시스템은 한 가지가 아닙니다. 세 가지 정도 서로 독립된 시스템이 있어요... 그리고 면역력은 약해도 문제이고 강하거나 예민해도 병이 생깁니다.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
제목 | 글쓴이 | 날짜 | 최근 수정일 | 조회 수 |
---|---|---|---|---|
1. 간에대해
[6] ![]() | 윤구현 | 2007.12.29 | 2017.08.09 | 25903 |
2. 간염 [8] | 윤구현 | 2007.12.30 | 2018.02.12 | 62065 |
3-1.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6] ![]() | 윤구현 | 2007.12.31 | 2014.08.13 | 42984 |
3-3.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상시킬까? [14] | 윤구현 | 2007.12.31 | 2017.09.04 | 53565 |
3-4. B형간염의 자연경과
[34] ![]() | 윤구현 | 2007.12.31 | 2019.07.12 | 105045 |
3-5. e항원음성 만성B형간염 [13] | 윤구현 | 2007.12.31 | 2019.05.13 | 61515 |
3-6.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1] | 윤구현 | 2008.01.01 | 2012.10.02 | 42217 |
3-7. 급/만성B형간염의 증상 [8] | 윤구현 | 2008.01.01 | 2014.10.06 | 40479 |
3-8. B형간염의 현황 -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인구
[1] ![]() | 윤구현 | 2008.01.01 | 2011.11.18 | 26782 |
3-9-1. 라미부딘(상품명-제픽스)
[1] ![]() | 윤구현 | 2008.01.07 | 2013.11.11 | 31445 |
3-9-10.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치료가이드라인 중 '치료대상' '치료약제' [4] | 윤구현 | 2008.01.10 | 2016.05.09 | 31237 |
3-9-2. 아데포비어
[1] ![]() | 윤구현 | 2008.01.07 | 2013.11.11 | 27899 |
3-9-3. 페그 인터페론(상품명-페가시스)
[9] ![]() | 윤구현 | 2008.01.07 | 2019.04.03 | 26464 |
3-9-4. 엔테카비어(상품명-바라크루드)
[59] ![]() | 윤구현 | 2008.01.09 | 2018.03.08 | 53755 |
3-9-5. 클레부딘(상품명-레보비르)
[2] ![]() | 윤구현 | 2008.01.09 | 2015.12.28 | 22165 |
3-9-6-1. 인터페론과 준비중인 신약들(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7] [4] | 윤구현 | 2010.10.08 | 2015.12.28 | 18572 |
3-9-6. 텔비부딘(상품명-세비보)
[3] ![]() | 윤구현 | 2008.01.10 | 2013.11.11 | 28279 |
3-9-7.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8] | 윤구현 | 2008.01.10 | 2017.05.22 | 36049 |
3-9-8. 항바이러스제의 치료 성적 비교 [1] | 윤구현 | 2008.01.10 | 2019.07.12 | 38607 |
3-9-9. 항바이러스제의 병용투여 [5] | 윤구현 | 2008.01.10 | 2011.02.15 | 22321 |
3-9. B형간염의 치료 : B형간염의 치료목표·치료시기, 간염치료제의 종류
[10] ![]() | 윤구현 | 2008.01.02 | 2013.03.19 | 69229 |
3.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23] | 윤구현 | 2007.12.30 | 2020.08.05 | 93336 |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 [1] | 윤구현 | 2008.01.10 | 2011.11.18 | 23180 |
4-2. C형간염의 진단과 검사 [5] | 윤구현 | 2008.01.11 | 2018.10.19 | 25491 |
4-3. C형간염의 치료 [2] | 윤구현 | 2008.01.11 | 2021.10.27 | 30106 |
4. C형간염 [1] | 윤구현 | 2008.01.10 | 2011.02.15 | 19284 |
5-1.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10] ![]() | 윤구현 | 2008.01.17 | 2018.02.27 | 152755 |
5. 간섬유화와 간경변증
[15] ![]() | 윤구현 | 2008.01.13 | 2020.08.30 | 228282 |
6. 간암의 5년 생존율
[5] [1] ![]() | 윤구현 | 2011.10.25 | 2018.01.12 | 35240 |
6. 간암의 예방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6187 |
6. 간암의 진단, 병기분류 [15]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16640 |
6. 간암의 치료 [1] | 윤구현 | 2011.10.25 | 2018.12.24 | 18192 |
6.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10] ![]()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13636 |
6. 간암조기진단을 위한 권고안(대한간학회, 국립암센터)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7340 |
6.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상품명-넥사바)
[46] ![]() | 윤구현 | 2011.10.25 | 2011.10.25 | 27463 |
7. 간이식
[2] ![]() | 윤구현 | 2008.01.24 | 2017.05.15 | 37562 |
A형간염
[1] ![]() | 윤구현 | 2008.02.05 | 2011.02.15 | 29983 |
간의 양성종양 - 간혈관종, 간낭종, 간선종 [3] | 윤구현 | 2008.02.13 | 2018.02.25 | 36444 |
간질환과 술 [2] | 윤구현 | 2008.02.13 | 2011.11.18 | 33374 |
간질환과 식생활 [2] | 윤구현 | 2008.02.16 | 2016.06.25 | 39379 |
간질환과 운동 [2] | 윤구현 | 2008.02.16 | 2013.11.02 | 35292 |
간질환과 흡연 [3] | 윤구현 | 2008.02.16 | 2016.11.18 | 28077 |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 [5] | 윤구현 | 2008.02.11 | 2011.02.15 | 29635 |
면역제거기는 사람마다 그 기간이 다른가보죠?
만약에 면역제거기가 길어지면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된 상태라도
간손상 정도가 심해져서 간경변이 될 확률이 높은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