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일



지난 번 메일에서 말씀 드렸듯이 간사랑동우회는 인터넷에서 꽤 오랫동안 활동해왔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간사랑동우회라는 모임이 처음 제안된 것은 1999년 12월 
간사랑동우회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한 것은 2001년 4월부터입니다. (간사랑동우회 연혁)

그런데 간사랑동우회가 알려져서인지 간사랑동우회와 비슷한 이름을 쓰는 곳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그런 곳들을 소개(?)하겠습니다. 


네이버 카페 – 간사랑동호회

많은 분들이 잘 구분을 못 하셔서 다른 글자를 표시하겠습니다. "간사랑동회"와 "간사랑동회"입니다. 

네이버_간사랑동호회.gif



오늘 소개하는 곳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큽니다. 그만큼 영향도 크죠. 네이버에서 가장 큰 간질환 관련 카페입니다. 
이 카페는 2007년 7월 16일에 만들어졌습니다. 카페 운영자는 "간사랑동회"에서 강퇴 당해 만들었다고 "간사랑동회"를 소개하는 글에 적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름은 잘 구분이 되지 않게 만들었습니다. "간사랑동회"와 "간사랑동회"는 발음이나 의미상 잘 구분이 되지 않아 기자들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기자들이 "간사랑동회"에 대해 기사를 쓴 적이 없기 때문에 기사에서 검색되는 "간사랑동회"에 대한 내용은 모두 "간사랑동회"를 뜻합니다. 

2009년에는 사람들에게 혼동을 줄 우려가 있으니 이름을 바꿔달라고 했으나 거절 당했습니다. 



다음 카페 – 간사랑 동우회

다음 카페인 "간사랑 동우회"는 네이버의 "간사랑동회"보다는 규모가 무척 작습니다. 
"간사랑동우회"와는 띄어쓰기 하나만 다릅니다.  

간사랑-동우회.gif





다음 카페에는 제가 운영자로 있는 “만성간염에 걸린 사람들”과 “만성B형간염환우회”가 먼저 만들어졌기 때문에 간질환을 검색하는 분들은 보통 이 두 카페를 먼저 방문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이 두 곳 이외에 활동이 활발한 카페가 없습니다(활발히 활동중인 C형간염과 간이식에 대한 카페는 각각 하나씩 있습니다)

"간사랑 동우회"는 2003년 8월에 만들어졌습니다(‘카페 프로필 – 연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처음 쓴 이름은 “체질 한의학 카페”이었습니다. 그러다 2007년 “간사랑 동우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이후 “간사랑(정혈) 동우회”라는 이름을 잠시 쓰다 다시 “간사랑 동우회”라고 카페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저는 이 카페에서 강퇴 되어 제가 다음에서 보통 쓰는 아이디로는 접근하지 못합니다. 
2010년부터는 거의 활동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다음 카페 –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는 2004년 5월 만들어졌습니다. 
처음에는 “간사랑동우회”라는 이름을 썼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이름을 바꿔달라고 요청해 2005년 경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로 카페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2008년 이후에는 거의 활동이 없습니다. 

간을사랑하는동우회.gif




네이버 카페 –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는 네이버에도 있습니다. 2004년 8월에 만들어졌습니다. 
이곳도 처음에는 "간사랑동우회"라는 이름을 썼습니다. 2005년 이름을 바꿔달라고 요청해 현재의 이름을 쓰는 것으로 기억납니다. 

간을사랑하는동우회1.gif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 자료실에 올라온 글 대부분은 제가 쓴 글입니다.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의 공지사항은 현재 12개가 올라와 있는데 이중 8개가 제가 썼거나 간사랑동우회 운영자로 참여하는 의사선생님이 쓰신 글입니다. 
"간사랑동우회"의 일부 글은 CCL(크리에이티브 커먼스 라이선스)표시를 달고 있습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을 조건으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을 사랑하는 동우회"에서 퍼간 글의 일부는 CCL 표시가 없는 글들입니다. 또 출처를 명기하지 않은 글들도 있습니다. 



 그래도 여기는 민간요법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기 타

네이버에는 "간사랑커뮤니티"라는 카페도 있습니다. "간사랑동회"에 활동하던 분이 만든 카페입니다. 

 
‘간사랑’이라는 단어가 꼭 저희만 쓰는 이름은 아닙니다만 네이버 카페에 ‘신장사랑’, ‘심장사랑’이라는 이름일 들어간 카페가 하나씩 밖에 없고, 두 곳 모두 회원수가 100명 이내의 작은 카페라는 것을 생각하면 환자 단체에 ‘장기이름 + 사랑’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유독 "간(肝)"에만 이런 이름을 쓰는 곳들이 많고 "간사랑동우회"이전에는 없었습니다. 


liverkorea.com

간사랑동우회는 liverkorea.org 라는 도메인을 쓰고 있고 이 밖에 liverkroea.or.kr, liverkorea.net, liverkorea.co.kr 등의 도메인으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여러 도메인을 등록해 놓은 이유는 liverkorea.com 을 광고 목적으로 쓰는 곳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liverkorea.com 은 접속은 되지 않습니다만 내년까지 도메인을 확보한 곳이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어떤 한의원이 liverkorea.com 을 쓰고 있었고 2년 전까지는 건강기능식품을 파는 곳에서 썼습니다. 


검색광고

다음, 네이트, 야후, 파란 등에서 "간사랑동우회"로 검색을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아시나요?
물론 "간사랑동우회"가 제일 먼저 나옵니다. 그 다음으로 나오는 결과는 이렇습니다. 

간사랑동우회_.gif

"엄용대한의원"이라는 곳에서 키워드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제 이름에도 키워드 광고를 하고 있다는 것이죠. 
물론 저의 허락이나 양해도 받지 않았습니다. 
이럴 때 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이 있나요??

윤구현.gif

간사랑동우회”라는 이름은 2005년부터 세무서에 등록을 해놓았습니다. ‘법인으로 보는 비영리 단체’와 ‘개인사업자’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표권을 등록하지 않아 다른 사람이 이 이름을 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앞에서 보았듯 여러 곳에서 "간사랑동우회"라는 이름을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Daum 고객 센터에 이 명칭을 쓰지 못하도록 문의를 했습니다만 그럴 수 없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다음고객센터.gif



인터넷에 간질환을 다루는 홈페이지, 카페가 "간사랑동우회"만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사람은 간질환에 대한 홈페이지와 카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 각각 자신의 주장을 마음대로 실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간사랑동우회"를 검색하다 자신들의 카페로 오도록 하는 것은 비겁한 행동입니다. 솔직히 저라면 창피해서 그렇게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간사랑동우회"와 반대 되는 의견이나 주장을 하는 곳에서 그런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정작 박카스는 없다는...)

의사선생님들 가운데는 진료 중에 환자분들에게 "간사랑동우회"를 소개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엉뚱한 곳에 갈 수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월간 주요 뉴스 2011-4-28~7-6. 2011-7013. 윤구현 2011.08.16 1020
170 누구를 위한 '간 전문 보험'인가. 2011-08-10. 윤구현 2011.08.10 1913
169 첫 진단. 2011-07-20. [1] 윤구현 2011.07.20 1438
168 많은 문제를 해결 해 줄 수 있는 "차별금지법" 2011-6-28. file 윤구현 2011.06.29 2189
167 B형간염 이유로 학교기숙사 입사 불허는 차별이다 ; 국가인권위원회. 2011-5-24 [4] file 윤구현 2011.05.24 3094
166 월간주요뉴스 2011-4-27. 윤구현 2011.04.27 1981
165 월간주요뉴스. 2011-4-5. 윤구현 2011.04.06 2425
164 간질환에 대한 두 개의 광고. 2011-3-30. [10] file 윤구현 2011.03.30 4429
163 간사랑동우회와 그 따라쟁이들 - 다음 이야기 윤구현 2011.03.27 2221
» 간사랑동우회와 그 따라쟁이들. 2011-3-15. [19] [22] file 윤구현 2011.03.15 4000
161 간에 좋은 음식이 없는 것이 가장 안타까운 사람은 접니다. 2011-3-9. [1] file 윤구현 2011.03.09 3366
160 B형간염보유자 산모는 태아보험을 가입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4] 윤구현 2011.03.07 6608
159 우루사연질캡슐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가 아니다. 2011-2-24. file 윤구현 2011.02.23 6758
158 제픽스 퇴출 논란에 대해... 2011-1-26. [4] file 윤구현 2011.01.26 2502
157 2011년 1월 1일 간암 표적항암제인 넥사바가 보험적용 되었습니다 (1)환자 부담은 얼마나 되나 file 윤구현 2011.01.10 5171
156 간사랑네트워크에 새롭게 참여하게 된 울산 편한내과 김대현 선생님. 2010-12-8. 윤구현 2011.01.10 3542
155 만성B형간염의 자연경과. 2010-11-16. [4] [1] file 윤구현 2010.11.16 5045
154 최선정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추모하며... 2010-11-3. [6] file 윤구현 2010.11.03 4368
153 '간질환 환자의 질환 관리 실태 및 간암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1) - 정기검진. 2010-10-14. file 윤구현 2010.10.14 3434
152 만성B형간염 치료제 보험급여 확대와 가격인하를 위해 노력한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0-10-6 윤구현 2010.10.07 3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