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아름다운 사랑 나누기 - 헌혈 행사’에서 시민들이 헌혈에 나서고 있다. ⓒ 연합뉴스

B형 간염에 오염된 혈액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지난 5년간 B형 간염에 오염된 혈액이 최대 5천5백 봉지 출고되어 일반인에게 수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B형 간염 항체가 없는 수혈자에게 치명적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0년부터 B형 간염을 검출할 수 있는 신형 장비 도입을 추진했다. 우선적으로 2010년 6월 한마음혈액원에 2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2011년 1월에는 적십자사에 55억8천만원을 지원했다. 한마음혈액원은 지난해 5월 새로운 검사 장비인 NAT(핵산 증폭 검사)의 도입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적십자사는 1년3개월이 넘도록 장비조차 구입하지 못했다. 복지부는 다급해졌다. 오는 7월까지 장비 도입을 마무리하겠다고 입법 예고까지 했지만,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적십자사 내부에서조차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일정을 번복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장비 구입이 완료되어도 문제이다. 한마음혈액원의 경우 장비 도입부터 정상 가동까지 6개월이 걸렸다. 적십자사는 절반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수혈자의 입장에서는 불안감만 가중되는 형국이다. 

<시사저널>이 최근 입수한 한마음혈액원 내부 자료를 보면 사태의 심각성을 엿볼 수 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한마음혈액원을 통해 헌혈된 혈액 중 B형 간염에 오염된 혈액 기존 검사 음성은 모두 10건에 이른다. 헌혈 혈액 하나가 적혈구와 혈장, 혈소판으로 나눠지는 점을 감안할 때 NAT장비가 도입되지 않았더라면 30개의 오염 혈액이 유통될 뻔 했던 셈이 된다. 한마음혈액원의 한 관계자는 “이전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은 혈액이다. 새로운 장비를 통해 2차 검사를 한 결과 30건이 양성으로 나왔다”라고 귀띔했다. 한마음혈액원은 현재 새로 검출된 B형 간염 혈액을 통해 역추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의 관계자는 “B형 간염에 양성 반응이 나온 만큼 조사가 불가피하다. 보건복지부와 함께 감염 혈액의 역추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2009년에도 비슷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현행 B형 간염 검사법이 어느 정도 안전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적십자사는 렙지노믹스 의학연구소 서동희 박사팀에 용역을 의뢰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전국 15개 혈액원의 헌혈 혈액 1만2천4백61개를 무작위로 선택해 조사한 결과 0.016%가 기존 검사에서 걸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새로운 검사 장비를 도입함으로써 예방 가능한(유출을 막을 수 있었던) B형 간염 양성 혈액이 연간 1천1백17건에 달한다. 한국인의 60%가 B형 간염의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4백47명은 실제 간염을 유발시켰다고 볼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한마음혈액원의 내부 자료는 이전에 발표된 적십자사 조사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적십자사·복지부측 “수혈 부작용 사례 없어”

  
대한적십자사나 복지부측은 “단순 비교로는 무리가 있다”라는 입장이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당시 용역 보고서는 최악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치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비로 변수만 수정해도 B형 간염의 양성 비중은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한마음혈액원의 비교 대상이었던 구형 장비 역시 적십자사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단순한 수치 비교는 무의미하다”라고 말했다. 복지부측도 “2010년 이후 단 한 건도 수혈 부작용 사례가 없었다”라고 강조한다. 복지부 생명윤리안전과의 한 관계자는 “잔존 위험도를 모두 수혈 부작용과 연결 짓는 데는 무리가 있다. B형 간염에 오염된 혈액이 전혀 유통되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보고서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적십자사나 복지부도 현재 B형 간염 혈액이 시중에 어느 정도 유통되고 있는지, 이 혈액이 누구에게 수혈되었는지 등을 파악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신고가 들어오면 조사를 통해 수혈 부작용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전부이다. 매년 국정감사 때마다 B형 간염 혈액 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도 이 때문이다. 이애주 새누리당 의원은 “NAT 검사 도입을 미루면서 멀쩡한 국민들이 B형 간염에 전염되고 있다. 위험성을 뻔히 알면서도 예산 등을 이유로 장비 도입을 미루는 것은 직무유기이다”라고 꼬집었다.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혈로 인한 B형 간염 발생 위험도가 선진국에 비해 30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검사 방법 도입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NAT 검사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트렌드가 되고 있다. 독일·스페인·이탈리아 등 선진국뿐 아니라 말레이시아·인도·태국 등 후진국도 2005년을 전후해 B형 간염에 대한 NAT 검사 장비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05년 2월 혈액 안전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에이즈와 C형 간염의 NAT(핵산 증폭 검사) 검사법을 도입했다. 하지만 B형 간염은 검사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정부 지침상 5년 이내에는 장비를 바꿀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해도 2011년 3월에는 장비를 도입했어야 했다. 복지부는 예산 문제로 장비 도입을 미루었다. 익명을 요구한 적십자사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국민의 건강이 예산상의 이유로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정부와 적십자사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1년7개월을 소비했다”라고 지적했다. 윤구현 간사랑동우회 총무는 “동우회 회원들을 상대로 매년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3명 중 1명꼴로 채용을 거부당하는 등 취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는 정상적으로 직장 생활을 하다가 해고를 당하기도 하는 만큼 체계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적십자사가 지난 2011년 1월 56억원을 지원받고 장비를 도입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의문이 일고 있다. 국민권익위는 지난 2월7일 관련 내용을 공개하고 복지부에 송부했다. 강희은 공익심사정책과장은 “혈액원이 국고에서 56억원이나 지원받고도 장비 도입을 하지 않았다는 공익 신고가 접수되었다. 국민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수관 부처가 조속하게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라고 말했다. 대한적십자사측은 당시 “장비나 시약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예상외로 시간이 많이 걸렸다”라고 설명했다. 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당초는 1월부터 장비를 전면 교체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그동안 공산품으로 관리하던 검사 시약을 올해부터 의료 기기로 분류하면서 도입이 늦어졌다. 4월까지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한마음혈액원은 지난 2010년 1월 정부로부터 장비 도입 예산을 지원받아 1년4개월 동안 검토한 바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2011년 1월에 예산을 지원받은 만큼 늦은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서울 강서구 염창동 대한적십자사 중앙혈액원 직원이 헌혈된 혈액을 정리하고 있다. 지난 2월15일 경기도 성남 한국도로공사 본사에서 도로공사 직원들이 사랑의 헌혈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적십자사, 예산 배정받고도 장비 구입 못해

<시사저널> 취재 결과 이같은 해명은 일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마음혈액원이 예산을 지원받은 시기는 2010년 6월로 6개월이나 차이가 났다. 그나마 적십자사는 또다시 말을 바꿔 장비 도입 시기를 7월로 연기했다. 하지만 복지부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복지부는 지난 3월12일 “오는 7월부터 채혈한 혈액에 대한 선별 검사 항목에 B형 간염 NAT 검사법을 추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입법·행정 예고했다. 적십자사 안팎에서는 ‘적십자사 봐주기가 아니냐’라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적십자사의 한 관계자는 “적십자사가 55억8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고도 1년 이상 장비 도입을 연기한 것은 추가 예산을 기다렸다는 말이 있다. 이를 보다 못한 내부 관계자가 권익위에 제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혈액을 공급받는 병원에서조차 “이 경우 혈액 가격을 다르게 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기자가 만난 한 전문의는 “혈액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검사를 실시한 혈액과 기존 혈액을 같은 가격에 유통시킬 경우 소비자 권리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복지부와 적십자사는 여전히 ‘네 탓’ 공방만 벌이고 있다. 적십자사측은 “복지부의 예산이 늦게 배정되었기 때문에 2011년부터 장비를 도입하고 싶어도 그럴 수 없었다”라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일정이 늦어지기는 했지만 2011년 1월에 장비 구입가의 절반 정도를 이미 배정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장비 구입을 독촉했지만 말을 듣지 않는다”라고 토로한다. 이 관계자는 이어 “우선은 장비 도입이 우선이기 때문에 7월까지 장비가 도입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장비 도입이 지연된 문제는 연말 감사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양측이 ‘핑퐁 게임’을 벌이는 동안에도 국민들은 B형 간염 혈액에 노출되고 있다. 국민의 60%가 B형 간염의 항체가 있다고 해도, 나머지 40%는 아무런 방비책 없이 B형 간염에 걸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임산부나 신생아 등은 B형 간염 혈액에 치명적이다. 대한적십자사 수혈연구원은 지난 2007년 9월 기존 CLIA(화학발광면역측정법)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14건의 혈액에 대해 추가로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부산과 광주혈액원에서 B형 간염 양성 판정을 받은 혈액이 두 건이나 검출되었다. 문제의 혈액을 추적하자 이미 3명의 환자에게 수혈된 상태였다. 다행히 환자가 B형 간염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어 감염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언제든 이같은 상황이 재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 소송도 진행 중이다. 지난 2007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김 아무개씨는 적혈구 4개를 수혈받았다. 이후 간염에 걸려 대한적십자사와 복지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수혈받은 적혈구에 수혈 부적격 혈액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주장이다. 법원은 지난 2011년 6월 조정 결정을 내렸지만, 성사되지 않으면서 양측의 치열한 법정 다툼이 예상되고 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인사들은 B형 간염 혈액의 위험성에 대해 분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일부는 “현재 상황이 예상하는 만큼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강변한다. B형 간염 혈액이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NAT 검사법을 무리하게 도입할 정도로 시급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적십자와 복지부가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국민의 건강을 소홀하게 다루고 있다”라면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들은 오히려 주무부처인 복지부가 적십자의 장비 도입 일정에 맞게 ‘눈치 보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분명한 사실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도 모르게 B형 간염에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양측 모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단 한 명이라도 수혈을 통해 전염되었을 경우 치명적인 만큼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한결같은 목소리이다. 적십자와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이미 신형 장비를 도입하기로 칼을 빼든 상태이다. 빠른 일처리를 통해 국민들의 불안을 불식시키기를 기대해 본다.  


 전염병 병력 있는 환자 피는 왜 뽑았나 
적십자사, 한 해 평균 4건씩 헌혈 유보군 환자들 채혈한 것으로 드러나…
내부에서조차 “모럴해저드의 극치” 지적

 

B형 간염 혈액 유통과 관련해 또 한 가지 주목되는 사실이 있다. 적십자사가 한 해 평균 4건씩 헌혈 유보군으로 분류된 환자들을 채혈했음이 드러났다. <시사저널>이 이애주 새누리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적십자사의 ‘2007년 이후 헌혈 유보군 채혈 실적’ 자료를 살펴보니 문제가 심각했다. 적십자사는 지난 2007년부터 2011년 11월 말까지 7명의 B형 간염 환자에게서 채혈한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후천성면역결핍증(6건), C형 간염 및 말라리아(각 1건) 순이었다. 적십자사측은 “담당 직원의 실수로 채혈이 이루어졌지만 외부로 출고되지는 않았다”라고 강조한다. 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헌혈 유보군 혈액은 출고할 수 없도록 내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관련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수혈되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적십자사 내부의 의견은 달랐다. 내부 시스템이 이미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한다. 적십자사의 한 내부 관계자는 “헌혈 유보군이란, 말 그대로 전염병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일반 헌혈 등록자들과는 다르게 관리되기 때문에 헌혈 자체가 불가능하다. 헌혈 유보군을 채혈했다는 사실 자체가 모럴해저드의 극치를 보여준다”라고 꼬집었다.

특히 적십자사는 그동안 여러 차례 내부 사고가 발생했다. 직원 부주의로 폐기 처리되어야 할 혈액이 전산 조작을 통해 입고 처리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들 사건은 대부분 내부적으로 은폐를 시도했다가 뒤늦게 적발되는 경우가 많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부적격 혈액까지 포함하면 관련 사례는 더욱 늘어나게 된다. 지난해 7월 전북혈액원에서는 유효 기간이 8개월이나 지난 생리 식염수로 제조한 세척 적혈구(W-RBC)가 의료기관에 공급되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 쉬쉬하다가 내부 감사를 받았다(<시사저널> 제1140호 참조). 부산혈액원에서는 상온에서 두 시간 이상 방치된 혈액팩 1천8백개가 부산·경남 의료기관에 공급되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민원기 한국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장)은 “실제 수혈 여부를 떠나 헌혈 유보군의 혈액이나 부적격 혈액이 출고되었다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심각하다. 적십자사 내부의 자정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 [병원i신문] B형 간염환자 A형간염에 무방비 노출 2006.8.23. [1] 윤구현 2007.04.19 1242
91 [보건신문] B형 간염 환자·보유자, A형 간염 위험 무방비 노출 2006.8.23. [1] 윤구현 2007.04.19 1292
90 [메디팜뉴스] B형 간염 환자, A형 간염 위험에 노출 2006.8.23. [1] 윤구현 2007.04.18 1451
89 [메디게이트] 간염 환자군, "A형 간염 인식 불감" 2006.8.23. [1] 윤구현 2007.04.18 1049
88 [동아일보] B형간염 환자가 A형간염에 걸리면? 2006.8.23. [1] 윤구현 2007.04.18 1263
87 [메디컬투데이] B형 간염 환자 및 자녀, A형 간염에도 무방비 노출 2006.8.23. [1] 윤구현 2007.04.18 1162
86 [메디컬투데이] 편견뿐 아니라 약값에 우는 일부 B형 만성 간염 환자 2006.7.7. [1] 윤구현 2007.04.18 1544
85 [월간 건강보험] 사회적 편견에 맞서 싸우다-B형간염바이러스보유자 윤구현 2006.5. [1] file 윤구현 2007.04.18 1660
84 [주간동아] B형 간염 바이러스와의 불편한 동거 2006.4.11. [1] file 윤구현 2007.04.18 1310
83 [메디컬투데이] 편견은 혼혈인 편견 뿐? B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시선 2006.4.8. [1] 윤구현 2007.04.18 1616
82 [세계일보] 간암 ''제 1의 원인''…B형 간염 2006.04.05. [1] file 윤구현 2007.04.18 1941
81 [sbs] 라디오 - 이상벽 오영실의 세상만나기 2006.2.23. [1] 윤구현 2007.04.18 1765
80 [국민일보] ″장청소 시술 효과 있나?″ 2006.2.10. [1] 윤구현 2007.04.18 3111
79 [국민일보] 독자의 목소리 - 간염치료제 보험연장 환영할 일 2006.1.3. [1] 윤구현 2007.04.18 1329
78 [메디팜뉴스] 대한간학회 ‘간염 바로알기’ 캠페인 시작 2005.9.22. [1] 윤구현 2007.04.12 1547
77 [병원i신문] 간염 바로알기 캠페인 2005.9.21. [1] 윤구현 2007.04.12 1309
76 [메디게이트뉴스] 간학회, ‘간염 바로알기’ 캠페인 2005.9.21. [1] 윤구현 2007.04.12 1338
75 [데일리팜] 전문의 상담가능 간염전문사이트 오픈 2005.9.21. [1] 윤구현 2007.04.12 1354
74 [국민일보] B형간염환자 ‘病 주는’ 健保 2005.9.2. [1] 윤구현 2007.04.12 1329
73 [CBS] FM 뉴스메거진 오늘 2005.7.14. [1] 윤구현 2007.04.12 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