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URL  
전국민의 7%, 과연 그들만의 문제인가?
"B형 간염환자, 1년으로 한정된 보험혜택에 울다"  


미디어다음 / 김진경 기자
media_jinkyoung@hanmail.net  


후진국형 질병 사회적 무관심이 '주범'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은 월 수십만원의 치료비를 부담해야 한다. 사진은 서울 한 병원의 소화기내과 대기실. ⓒ미디어다음 김준진  
  
아시아 등 일부 국가에서만 아직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후진국형 질병 가운데 하나인 B형 간염의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체감'은 그다지 높지 않다.

한국사회에서 B형 간염은 그저 직장생활을 하면서 술 마시고 스트레스를 받아 생기는 '영광의 상처' 쯤으로 여긴다. 하지만 간암, 간경변에 걸리는 환자의 70%는 B형 간염이 악화돼 발생하고, 간염은 10명 중 1~2명 꼴로만 치료가 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드물다.

통계청이 2001년 발표한 '한국인의 사망원인'을 보면 간질환이 사망원인 5위였다. 또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올해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간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무려 2조6200억원(2001년 기준)이며, 간질환으로 조기 사망해 발생하는 소득손실액은 2조 3,130억원이다. 간질환으로 무려 5조원에 달하는 사회비용이 날아가는 셈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간경변이나 간암의 발병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간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지적한다.


"하필 왜 1년인가?" … 치료중단 악화 초래



하지만 B형 간염에 대한 현행 건강보험 제도는 이런 지적을 무색케 한다. B형 만성 간염의 거의 유일한 치료제로 공인받아 1999년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인 라미부딘(상품명 제픽스)의 건강보험 혜택 기간을 평생 1년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보험 인정 기준 또한 까다롭기 그지 없어 실제로 혜택을 보는 환자의 수는 그보다 훨씬 적다. 이 때문에 '제픽스'의 보험적용을 둘러싸고 "보험기간을 연장해달라"는 환자, 의료계와 "약의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아 연장은 불가능하다"는 보건복지부의 입장이 4년째 팽팽히 맞서고 있다.

제픽스는 어떤 약인가. 의사들은 현재 제픽스는 B형간염의 유일한 치료제로 단언한다. 주사제인 인터페론이 있지만 발열 오한 등 부작용이 큰 반면 제픽스는 하루에 한알만 복용하는 편리함에다 치료효과 면에서도 인터페론을 훨씬 능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제픽스는 지난 4년간 국내 B형 간염 약 시장을 석권해왔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고광철 박사는 "제픽스를 먹기 시작하면 많은 환자들의 간염이 크게 호전된다"며 "이 때문에 환자들조차 제픽스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제픽스의 약값은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면 1달 3만6천원. 하지만 약을 최초 복용하기 시작한지 1년이 지나면 한달 11만8천원을 전액 본인 부담해야 한다.

더욱이 만성간염환자들은 제픽스를 장기 복용해야 하는데다 정기적으로 초음파 및 혈액검사비용(비보험, 22만원), 보조치료제비 등을 함께 부담해야 하는 탓에 연간 수백만원에 달하는 병원비와 약값을 고스란히 부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병원 소화기내과에서는 처음 처방을 낸 의사에게 항의하는 일이 잦고 제픽스 복용을 임의로 중단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을 정도다.

실제로 건강보험관리공단의 제픽스 보험청구액은 2001년 196억원에서 2002년 160억원으로, 비보험을 포함한 제픽스의 매출액도 2001년 427억원에서 2002년 329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이는 건강보험 1년 한시 적용으로 부담이 크게 늘어난 일부 환자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약의 복용을 포기한 것을 시사한다.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은 "건강보험료는 꼬박 내고 있는데, 아무런 보험혜택을 못받는 국민건강보험이 무슨 보험이냐"며 "간암을 키우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국민건강권 보장" "안전성의심" 팽팽한 줄다리기

  
지난해 간의 날을 맞아 만성간염 환자들이 포스터를 통해 보험연장을 호소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제픽스의 보험적용을 1년으로 제한한 이유는 ▲신약이므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았다 ▲약에 내성이 생긴다 ▲고가의 약제이다 ▲국내 제약회사를 보호한다는 등이 주요 근거. 그러나 이에 대해 의료계 등 전문가들은 보험재정의 구조적 문제를 호도하기 위한 것일 뿐 설득력이 약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대한간학회 관계자는 "제픽스 국내 시판 당시 심사 근거로 사용한 임상데이터가 1년에 근거한 것이었기 때문에 일단 1년으로 보험혜택 기간을 정했던 것이지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며 "그 뒤 2년, 3년에 대한 임상결과가 보고됐음에도 불구하고 보건재정 등을 이유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한간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에 수차례 공문을 통해 보험혜택 연장 및 복용조건 완화를 요구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내세우고 있는 제픽스의 내성에 따른 부작용도 과장된 것이라는 게 이들의 비판이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환자들에게 보낸 공문은 의료계와 환자들에게 큰 파문을 던졌다. B형 간염 치료제인 제픽스를 1년 이상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므로 복용을 자제해 달라는 내용. 대한간학회 총무(연세대) 한강협 교수는 "의사들이 유일한 치료제로 처방하고 있는 제픽스에 대해 보건복지부에서 '안전성' 운운하는 것은 환자와 의사간의 신뢰관계를 모독하는 것"이라며 "보건복지부에 항의서한을 보내 공식 사과를 받아낸 바 있다"고 밝혔다. 한교수는 이어 "공문의 내용대로 치료를 중단한 일부 환자들의 증상이 악화된 사례가 있었다"며 "보건복지부 등은 환자들의 건강권을 염두에 둔 정책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고광철 박사도 "유일한 치료제인 제픽스의 효과를 보고 있는 환자의 경우 복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현행 규정은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며 "학계에서도 수차례 건의했지만 칼자루를 쥐고 있는 보건복지부에서는 묵묵부답"이라고 말했다.

만성간염 환자들로 구성된 단체인 간사랑 동우회 회원이자 내과전문의인 김창섭 박사는 "치료 부작용에 대한 문제 자체가 환자의 증상이나 상태에 따라 전문의가 판단할 문제이지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사안이 아니다"고 잘라 말한다. 제픽스 제조사인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SK) 정정구 부장은 "보건복지부 관계자들에게 약의 안전성에 대해 수차례 설명하고 임상실험 결과 및 보고서를 제출한 바 있다"며 "국내에 1999년부터 시판된 이후 4-5년이 지났지만 B형 간염 환자들에게서 부작용이 보고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환자들과 전문가들의 비난에도 보건복지부는 요지부동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비용대비 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환자들이 1년 이상 복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공식적인' 입장만을 되풀이했다.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들 또한 보건복지부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에 반기를 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속내에는 자칫 다국적 제약회사인 GSK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지 않느냐는 부담감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백혈병의 유일한 치료제인 글리벡의 예를들면서 국내제약사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국민을 죽일 수는 없지 않느냐"고 항변하고 있다.

9년째 만성간염을 앓고 있는 김모씨(36)는 "국내에 제픽스를 대체할 의약품이 있다면 이렇게 억울하지는 않겠다. 그렇지도 않은 상황에서 무조건 다국적 제약회사의 이익 운운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려는 처사에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미디어다음 2003-9-1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미디어다음] "B형 간염환자, 1년으로 한정된 보험혜택에 울다" 2003.9.16. 윤구현 2007.04.05 1202
31 [한국일보] "정체불명 건강식품 복용 간염 되레 악화시킬수도" 2003.9.8. [1] 윤구현 2007.04.05 1147
30 [서울경제] "장기복용 효과 이미 검증"-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 2003.8.31. [1] 윤구현 2007.04.05 1103
29 [한국일보] 재래식 화장실 자세 변비개선 효과 2003.8.13. [1] 윤구현 2007.04.05 1477
28 [서울경제] "건보기간 제한 부적절 질병특성 맞게 늘려야" 2003.8.25. [1] 윤구현 2007.04.05 1117
27 [서울경제] B형 감염보균자 300만시대의 과제-치료제 어떤게 있나 2003.8.17. [1] 윤구현 2007.04.05 1559
26 [서울경제] B형 감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① 건보…무엇이 문제인가(하) 2003.8.17. [1] 윤구현 2007.04.05 1431
25 [라디오21] 2003.3.4. [1] file 윤구현 2007.04.05 1292
24 <b>[KBS] 간염 환자 보험 사각 지대 방치 2003.8.11.</b> [1] 윤구현 2007.04.05 1343
23 [서울경제] B형 간염환자 건강권 외면 2003.8.3. [1] 윤구현 2007.04.05 1120
22 [청년의사] B형간염 환자들의 든든한 벗 2003.7.14. [1] 윤구현 2007.04.04 1519
21 [한겨레] 일상에 묻힌 ‘색다른 차별’ 참지마세요 2003.5.12. [1] 윤구현 2007.04.04 1476
20 [한겨레신문] ‘간사랑 동우회’ 한상률·김창섭·윤구현씨 2003.4.14. [1] 윤구현 2007.04.04 2018
19 [시사저널] 술잔 돌리면 간염 걸린다고? 간 녹는 까닭 따로 있다네 2003.1.23. [1] file 윤구현 2007.04.04 1379
18 [한겨레21] “술잔을 돌리거나 밥을 같이 먹으면 전염이 된다고?” 2002.10.23. [1] 윤구현 2007.04.04 1427
17 [MBC] 생방송 화제집중 2002.10.22 [1] 윤구현 2007.04.04 1738
16 [청년의사] 보험이야기 - 제픽스 보험적용 제한 재정파탄 때문? 2002.10.21. [1] 윤구현 2007.04.04 1281
15 <B>[KBS] B형 간염 환자도 방치 2002.10.20.</b> [1] 윤구현 2007.04.03 1487
14 [연합뉴스] 만성 간염환자 대정부 시위 2002.10.20. [1] 윤구현 2007.04.03 1430
13 [부산일보] B형간염보유자 취업준비생의 절규 2002.10.19. [2] 윤구현 2007.04.03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