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레보비르' 복용환자 큰 영향 없다"
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부광, 초기대응 부적절"

[단박인터뷰]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

만성B형간염치료제 ‘레보비르’ 부작용 사건과 관련해 부광약품이 초기부터 부적절히 대응해 스스로 애매한 상황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간사랑동우회’ 윤구현(36) 총무는 최근 데일리팜과의 인터뷰에서 “레보비르는 애매한 상황에 놓여졌다. 부광약품의 성급하고 부적절한 대응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파마셋사가 임상을 중단했어도 식약청과 관련 학회, 전문가들과 사전 협의한 뒤 판매중단 조치 등을 내렸어야 한다는 것이다.

윤 총무는 그러나 “신규 처방은 급감할 수 있지만 기존에 레보비르를 복용해왔던 환자에게 큰 영향은 없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근무력증’ 부작용은 이미 알려져 있었던 데다, 의사들도 성급히 처방약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게 그 이유다.

다음은 윤 총무와의 일문일답.

-'간사랑동우회'는 뭔가.
=간염환자들의 인터넷 커뮤니티다. 10년 가까이 운영돼 왔고, 회원은 3만4000여명 규모다. 의사와 환자들이 이 공간에서 만나 애로점을 공유하고 약물 관련 정보도 교환한다. 그동안 게시된 글만 20만 건에 달한다.

-'레보비르' 자진 시판중단 이후 달라진 게 있나.
=몇몇 게시글에서 ‘레보비르’를 다른 약으로 바꿨다는 환자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많지는 않다. 만성질환이다 보니 의사들의 의견이 많이 개입되는 게 사실이고, ‘근무력증’ 부작용은 이미 알려진 내용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근무력 관련 부작용이나 증상을 호소하거나 질의하는 게시글은 폭증했다. 특히 소비자고발 보도 이후에 하루 이틀만에 증상에 대해 묻는 글이 30건이 넘게 올라왔다.

-이번 사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나.
=부광약품이 성급했다. 식약청이나 간학회와 상의도 안했고 다음날 있을 진료현장과 환자들의 혼란을 전혀 감안하지 않았다. 무상공급 얘기도 나왔지만 일주일이 지나서야 개시됐다. 갖은 혼란만 부추겼다.

-환자들의 반응은 어떤가.
=의약품은 신뢰가 중요하다. 의사들과 환자들의 불신이 증폭될까 우려된다. 사실 의약품은 기대되는 치료효과에 비해 부작용이 심각하지 않다면 그 자체가 크게 문제될 게 없다는 게 통념 아닌가. 오히려 부작용을 적극적으로 알려 미리 대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부광약품은 이 부분을 게을리 한 듯하다.

-이번 일로 '레보비르'가 퇴출될 수도 있다고 보나.
=앞서 언급했듯이 기존 복용자의 동요는 크지 않은 듯하다. 퇴출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퇴출은 또한 바람직하지도 않다. 하지만 ‘레보비르’는 현재 일주일 이상 애매한 상황에 놓여져 있다. 지속된다면 어찌될 지 누가 알겠나.

-'근무력증' 관련 다른 이슈는 없었나.
=경험이 많은 의사들은 미리 알고 대처했다. 약을 끊으면 부작용은 없어진다. 하지만 이런 사실을 잘 모르는 의사나 환자들은 원인을 몰라 불필요한 검진비를 지출해야 했다.

지난해부터 게시된 글을 보며 적게는 100만원에서 많게는 500만원까지 추가비용을 사용했다고 한다. 부광이 부작용을 적극 알리고 근무력 증상발현 여부를 모니터링 할 것을 초기부터 적극 권고했다면 어땠을까. 회사 측이 환자들이 지출한 비용 중 일부라도 보상해야 할 이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 <b>[KBS] 간염 환자 보험 사각 지대 방치 2003.8.11.</b> [1] 윤구현 2007.04.05 1416
131 [서울경제] B형간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좌담회 2003.10.7. [1] 윤구현 2007.04.05 1418
130 [파이낸셜뉴스]만성B형 간염 환자 한 달 약값 17만9000원.2009-10-15. [8] 윤구현 2009.10.22 1418
129 [국민일보] 독자의 목소리 - 간염치료제 보험연장 환영할 일 2006.1.3. [1] 윤구현 2007.04.18 1423
128 [청년의사] B형 간염 보유자 '부당한 취업제한 철폐' 마땅 2004.2.17. [1] 윤구현 2007.04.07 1424
127 [데일리팜] 전문의 상담가능 간염전문사이트 오픈 2005.9.21. [1] 윤구현 2007.04.12 1427
126 [한겨레] 질병정보 보호법안 정보유출 ‘구멍’ 2006.11.8. [1] 윤구현 2007.04.19 1435
125 [데일리메디] 13일 B형간염 보균자 취업차별금지 공청회 2005.4.8. [1] 윤구현 2007.04.12 1442
124 [시사저널] 술잔 돌리면 간염 걸린다고? 간 녹는 까닭 따로 있다네 2003.1.23. [1] file 윤구현 2007.04.04 1451
123 [국민일보] B형 간염 보유자들 취업차별 실태 “기업들 색안경…흡사 죄인” 2005.03.09. [1] 윤구현 2007.04.12 1462
122 [한겨레] 간염보균자 ‘두번 죽이는’ 사회적 편견 2004.2.18. [1] 윤구현 2007.04.07 1465
121 [청년의사]“B형 간염은 기숙사 오지마”…모 외고, 학생 차별 논란.2011-09-08. 윤구현 2011.09.18 1473
120 [중앙일보] 꼭 필요한 약` 건보 적용 제외 우려 2006.9.15. [1] 윤구현 2007.04.19 1488
119 [연합뉴스] 만성 간염환자 대정부 시위 2002.10.20. [1] 윤구현 2007.04.03 1494
118 [서울경제] B형 감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① 건보…무엇이 문제인가(하) 2003.8.17. [1] 윤구현 2007.04.05 1497
117 [한겨레21] “술잔을 돌리거나 밥을 같이 먹으면 전염이 된다고?” 2002.10.23. [1] 윤구현 2007.04.04 1500
116 [한겨레] ‘간염 보균자’ 애써부은 보험에 ‘울분’ 2005.7.12. [1] 윤구현 2007.04.12 1505
115 [데일리메디] "약제비 적정화 방안, 국민적 합의 우선돼야" 2006.9.18. [1] 윤구현 2007.04.19 1518
114 [메디팜뉴스] B형 간염 환자, A형 간염 위험에 노출 2006.8.23. [1] 윤구현 2007.04.18 1520
113 [메디컬투데이]낮은 가격, 높은 내성률…세비보 안착 어려워.2009-11-23. 윤구현 2009.11.23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