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간질환환자, ‘보험제한-내성으로 치료비 부담’
월평균 치료비, 내성 발생시 9.8만원, 보험 비적용 시 11만원 이상 증가

간질환 환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치료제 내성 발생과  ‘안정적 치료’로 나타났다.또 내성발생과 보험제한에 따른 치료비 증가를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간질환 환자들의 모임인 ‘간사랑 동우회’가 10월 20일 ‘간의 날’을 맞아, 회원 중 만성B형 간염 환자1065명을 대상으로 ‘만성 B형 간염 치료 및 관리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치료제 선택 기준과 관련, 조사 대상자의 53%가 ‘높은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이라고 답했다.

다음 기준으로 ‘치료제의 낮은 내성발생률(28.4%)’을 꼽았다. 반면, ‘치료제 가격’은 선택 기준에서 가장 낮은 비중(6.7%)을 차지하여, 환자들이 치료제를 선택할 때 단기적인 비용 절감 보다는 효과가 뛰어나 장기적으로 비용이 절감되는 치료제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또, 조사대상자의 71.4%가 치료 도중 약제 변경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변경 이유로는 응답자의 66.1%가 기존 약에 대한 내성이 생겼거나 기존 약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낮기 때문이라고 답해, 환자들이 치료제를 선택하는 기준은 본인이 치료 도중 치료제를 바꾸게 된 이유와 직결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실제로, 환자들이 처음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내성에 이르게 된 기간이 평균 2.35년으로 파악돼, 치료 초기에 약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약제를 변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만성B형 간염 환자들이 치료제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내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제의 효능에 대한 실질적 이해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제에 대한 내성발생과 관련, ‘하나의 약제에 내성이 생기면 다른 약의 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질문에 오답을 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67.3%에 달해, 초기 치료부터 내성 발생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내성발생과 보험제한으로 월 평균 치료비용 증가

이처럼 내성이 환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내성 발생과 치료비용 증가가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내성 발생으로 겪는 어려움으로 응답자의 36%가 ‘치료 비용의 증가’를 꼽았으며, ‘다른 약에 대한 내성 증가(20.2%)’, ‘치료 기간의 연장(15.8%)’, ‘기타 간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12.9%)’고 답했다. 

조사에서 만성B형 간염 환자들이 질환 치료 및 관리에 지출하는 비용을 월 평균 17.9만원이라고 답했으나, 내성이 발생할 경우에는 월 9.8만원의 치료 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료비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가 내성을 경험하지 않은 환자들의 경우 77.7%인 것에 비해, 내성을 경험한 환자들의 경우 응답자의 거의 대부분인 96.8%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해, 내성을 경험한 환자일수록 치료비에 대한 부담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료제에 대한 보험을 적용 받는 경우와 받지 못하거나 일부만 적용 받는 경우에도 치료 비용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 적용을 받을 경우, 월 평균 13.62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 보험을 적용 받지 못하거나 적용이 제한될 경우에는 월 평균 비용이 11만원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현재 보험 기준에서는 내성발생으로 인해 두 가지 이상의 약을 먹을 경우, 한 가지 치료제에 대해서만 3년만 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보험제한으로 인한 치료비용 증가로  만성B형 간염 환자들은 향후 치료 조건 가운데 개선되어야 하는 점으로 보험제한을 가장 많이(82%, 복수응답) 꼽았다.

실제로, 이번 조사대상자 중 항바이러스 치료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42.5%가 보험적용을 받지 못하거나 제한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3%가 약제 보험급여 허용범위 제한으로 인해 약제 사용을 제한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약제 투여기간을 제한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5.3%의 응답자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는  “지난 10년 동안 간질환에 대한 치료 방법이 개선되어 간질환 사망자, 간암 생존율이 많이 향상되었으나, 정작 대표적인 간질환인 만성B형 간염의 치료 여건은 별로 나아지지 않은 상황이다.” 며 “만성B형 간염은 모든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만성B형 간염 치료제가 만성질환 치료제 가운데 유일하게 보험기간을 제한 받고 있는 약이라는 점만 보아도 간질환자들에 대한 제도적 지원 개선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간염 치료의 목적을 ‘B형 간염이 다른 간질환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97%)’라고 답해, 만성B형 간염의 치료 목적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질환의 검진주기 치료시기 치료수칙 관리법에 대한 상식 정도 측정에서는 평균 77% 이상의 정답률을 보여, 현재 정기적으로 전문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B형 간염 환자들은 개별 질환 관리에 필요한 상당히 높은 수준의 기본 상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2 [한겨레] 일상에 묻힌 ‘색다른 차별’ 참지마세요 2003.5.12. [1] 윤구현 2007.04.04 1556
171 [청년의사] B형간염 환자들의 든든한 벗 2003.7.14. [1] 윤구현 2007.04.04 1592
170 [서울경제] B형 간염환자 건강권 외면 2003.8.3. [1] 윤구현 2007.04.05 1188
169 <b>[KBS] 간염 환자 보험 사각 지대 방치 2003.8.11.</b> [1] 윤구현 2007.04.05 1416
168 [라디오21] 2003.3.4. [1] file 윤구현 2007.04.05 1366
167 [서울경제] B형 감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① 건보…무엇이 문제인가(하) 2003.8.17. [1] 윤구현 2007.04.05 1497
166 [서울경제] B형 감염보균자 300만시대의 과제-치료제 어떤게 있나 2003.8.17. [1] 윤구현 2007.04.05 1644
165 [서울경제] "건보기간 제한 부적절 질병특성 맞게 늘려야" 2003.8.25. [1] 윤구현 2007.04.05 1214
164 [한국일보] 재래식 화장실 자세 변비개선 효과 2003.8.13. [1] 윤구현 2007.04.05 1565
163 [서울경제] "장기복용 효과 이미 검증"-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 2003.8.31. [1] 윤구현 2007.04.05 1163
162 [한국일보] "정체불명 건강식품 복용 간염 되레 악화시킬수도" 2003.9.8. [1] 윤구현 2007.04.05 1213
161 [미디어다음] "B형 간염환자, 1년으로 한정된 보험혜택에 울다" 2003.9.16. 윤구현 2007.04.05 1249
160 [미디어다음] B형 간염 환자들의 또 다른 고통 '취업차별' 2003.9.19. [1] 윤구현 2007.04.05 1208
159 [미디어다음] 1년 한정 보험혜택 … 환자들의 좌절, 울분 2003.9.17. [1] 윤구현 2007.04.05 1228
158 [미디어다음] B형 간염에 관한 5가지 오해 2003.9.17. [1] 윤구현 2007.04.05 1660
157 [미디어다음]"대체약품 없는데 건보 1년 제한 부당" 2003.9.18. [1] 윤구현 2007.04.05 1095
156 [B형감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 ⑥ 건보 추가재정 규모 논란 2003.9.21. 윤구현 2007.04.05 1090
155 [MBC] 질병이 죄인가? 간염 걸리면 '퇴짜' 2003.09.26 . [2] 윤구현 2007.04.05 1256
154 [서울경제] B형간염보균자 300만명시대의 과제-좌담회 2003.10.7. [1] 윤구현 2007.04.05 1418
153 [메디게이트] “의사의 전문성은 환자 진료하는 것" 2003.10.21. [1] 윤구현 2007.04.05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