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최근 간 질환 환자들의 모임인 간사랑동우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간 질환 환자들의 간 질환 환자의 87%가 간암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환자들의 63%는 정작 간암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에 본지에서는 간 질환 치료 분야의 전문가를 통해 최신 치료 트렌드에 대해 듣고, 관련 환자단체 대표를 만나 이러한 조사결과가 나온 이유와 앞으로 바라는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들어봤다.


“가능성 있는 환자에게 기회 줄 수 있어야”

한광협 교수(연대의대 소화기내과)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최근 간 질환 환자들이 간암에 대한 걱정이 많다는 환자단체의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국내 간암 환자들의 유병 실태는 어떠한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간암의 조기 진단 비율이 향상 추세에 있고 전체적으로 치료를 (어떤 형태로든) 받는 그룹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생존율은 15년간 꾸준히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은 환자의 1/3 정도만이 완치가 가능하고(비교적 적극적인 수술이 가능한), 2/3 정도는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암이 진행된 환자들이다. 

또한 BCLC(Barcelona Clinic Liver Cancer staging)에 따라 환자를 A, B, C로 나눠(진행단계에 따라) 살펴보면, 한국 간암 환자들은 말기 환자인 C그룹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국립암센터나 대한간암연구학회의 관련 자료를 보면 환자의 약 40%가 C 그룹에 해당됐으며, 본원의 간암전문클리닉 자료에서도 1/3 가량의 환자가 C그룹에 포함됐다.

Q. 암 검진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중증 간암 환자들이 여전히 많은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는가.

국가적으로 2003년부터 암 조기검진 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왔고, 간의 날 캠페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조기검진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음에도 C단계의 환자가 이렇게 많은지 대해  조사가 진행됐었다. 

조사 결과 본인이 간암 위험군에 속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조기검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거나 자신의 증상에 대해 무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과 같이 우리나라도 조기 간암 환자군이 늘어나고 예방 백신, 항바이러스의 효과적인 치료가 진행되면서 간암 발생이 줄어들 것은 분명하다. 일례로 과거에 비해 간경변에 대한 관리를 통해 간암 발생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Q. 간암에 대한 조기검진이 잘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암 검진 관련 다양한 캠페인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간암의 경우) 아직 파급 효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음이 안타깝다. 국민건강관리공단에서 무료 검진을 하고 있지만, 검사를 받지 않거나 이상이 있어서 검사를 권해도 무시하는 경우가 적잖다. 

그러다 보니 제때 관리를 하지 못해서 결국 진행이 많이 된 상태로 병원을 찾게 된다. 암 조기검진 사업부에서 영세민, 보험대상자 중 비교적 저소득층에 해당되는 사람들에게 무료 조기검진을 권장하고 있으나 당사자들이 귀찮아하는 경우가 있다. 

국민의 간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중류층에 있어서는 인지도는 높으나(오랜 국가적 캠페인으로 인해) 관리가 오래 걸리는 병이다 보니, 환자들이 6개월마다의 조기검진에 대해 부담스러워하고 지치는 경향도 있다.

Q. 간암 수술 및 치료 트렌드는.

전체 간암환자의 50%가 간동맥 색전술을 1차로 시술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유는 중기에 해당되는 환자가 많고, 비교적 보험혜택이 많은 편이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은 조기 발견이 많아 고주파 시술이 많고 있다. 

색전술이 많은 것은 할 수 있는 시술이 마땅치 않고 수술은 다소 부담이 되는 환자들에게 비교적 무난하고 적당한 치료 방법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Q. 경구용 제제도 출시돼 사용되고 있는데, 이 제제 적용에 대한 견해는.

경구제는 보통 진행된 간암 환자들을 타깃으로, 색전술을 시술했음에도 계속 진행된 환자들에게 권유하는 편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제제가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하여 보험적용에 의문을 품는 경우가 있다. 

과거 나 역시도 의대생 시절 암 전문의 교수에게 강의를 들으며 “항암치료를 했더니 생존기간이 2개월 늘어났다”는 내용을 듣고 치료의 가치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었다. 하지만 여기서의 2개월은 전체 평균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응을 보이는 환자군이 대상 환자의 30~40%가 되며 평균을 상회하는 경우도 많다. 환자 중 마땅한 치료 대안이 없어 경구제제를 복용케 했는데 최대 4년까지 생존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이 환자는 약물 반응이 좋았고, 약제비를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복용이 가능한 경우였다.
부작용이나 비용 부담 때문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나, 2.8개월이라는 생존기간의 증가는 종양 연구자 사이에서는 상당히 의미 있는 효과로 인식되고 있다.

Q. 그렇다면 경구제를 언제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에게 3개월간 치료를 한 후, 효과가 있으면 계속 복용토록 하고 효과가 없으면 무리하게 끌고 가지는 말자는 견해다. 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기회를 주는 것은 마땅한 일이 아닌가 싶다.

Q. 향후 국내에서의 간암 치료를 전망해 본다면.

자신하건데, 임상의들이 새로운 치료 방법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치료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의 간암 치료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환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큼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좋은 치료제가 국내에서 개발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간염치료제 보험 기간 해제 가장 의미있는 변화”
윤구현 총무(간사랑동우회)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최근 간 질환 환자들이 간암에 대한 걱정이 많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는데, 여기서 간암 검진율이 다른 암종에 비해 특히 낮았다. 환자 입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간암의 권장 검진 주기는 6개월에 1회 입이다(40세 이상). 2년에 1회, 5년에 1회 검진인 기타 암들에 비해 권고하는 검진주기가 짧다. 환자들이 정기적인 검진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비용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 

간암의 조기검진을 위해서는 복부초음파와 혈액검사로 AFP를 검사해야 하는데 복부초음파 검사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 

상급종합병원은 18만원, 의원에서는 7만원 정도이고 기타 다른 검사를 하면 상급종합병원에서는 30만원을 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국가암조기검진사업에 간암의 검진 주기를 6개월로 줄이는 것이 적절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간암과 위암의 검진비용은 차이가 크지 않지만 간암 검진대상은 위암 검진 대상의 6%에 불과하다. 

6개월에 한 번 검진을 해도 전체 위암 검진 비용의 1/3정도에 불과한 셈이다. 때문에 환자들에게 정기검진의 필요성을 충분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는 간염보유자도 많으며,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왜 받아야 하는지 모르는 간염보유자도 많다.

Q. (조사 결과를 보면) 간암은 현재 치료제와 치료법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닌데, 그럼에도 민간요법 이용하는 환자들이 많다.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는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은 다 해보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자료들을 보면 65세 이후에 평생 의료비의 절반을 쓰고 그중 상당부분은 사망하기 6개월 전에 쓴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것들이 환자의 건강을 호전시킨다는 근거 없이 경제적 부담만 더 하고 올바른 치료를 방해하는 일도 안타깝다.

Q. 정부가 이달 들어 간염 치료에 대한 일부 약제 사용의 보험급여 제한을 풀며 보장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자들이 받아들이는 입장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보고 있다. 무엇보다 만성B형간염치료는 사용기간의 제한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기간이 지나 경제적인 부담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였지만 처음부터 보험기간의 제한 때문에 필요한 약제를 선택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있었다. 

지난 10년간의 보험급여 확대 가운데 가장 의미 있는 변화라고 생각된다. 다만 병용투여시 하나의 약제만 보험적용 되는 것과 중증 간경변과 간암환자도 ALT가 정상을 넘어야 급여를 인정받는 것, 그리고 페그인터페론의 보험급여 제한은 이후 개선되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Q. 이번 보장성 강화 정책 이외에 환자들에게 필요한 정책이 있다면.

정부의 보장성강화 정책이 중증환자들의 치료비를 경감시키는 지는 되돌아 봐야 한다. 산정특례는 급여적용 되는 항목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덕분에 대부분의 치료가 급여적용 되는 초기 암 환자는 몇 십만원으로 모든 치료가 끝나기도 합지만, 상대적으로 급여 등재가 안된 치료를 많이 받는 말기 암환자들은 여전히 수천만원 이상을 쓰고 있다. 

또 산정특례, 희귀난치성질환에 해당되지 않지만 고가의 진료비가 드는 질병은 혜택을 받을 수 없는데, 특정한 질병을 정해 경감해주는 것보다는 급여 대상을 확대하면서 본인부담상한제 적용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환자들이나 보험 재정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박기택 기자 pkt77@docdocdoc.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 [KBS] 수요기획 - '간염과의 두 가지 전쟁' 2001.1.17. [1] 윤구현 2007.04.03 1506
191 [주간동아] B형 간염 보균자, 억울한 '천형의 삶' 2001-02-21 [1] 윤구현 2007.04.03 1257
190 [KBS] 취재파일4321 - B형간염은 천형인가 2001.5.27. [1] 윤구현 2007.04.03 1609
189 [한겨레신문] B형 간염보균자 취업 '바늘구멍' 2001.6.20. [1] 윤구현 2007.04.03 1958
188 [한겨레신문] B형간염자 영양사 못따 피해자없게 법개정해야/한상율 2001.6.28. [1] 윤구현 2007.04.03 1746
187 [오마이뉴스] 군대는 가라, 취직은 안된다. B형간염 보균자, 그 억울한 차별 2001.8.9. [1] 윤구현 2007.04.03 2309
186 [데일리메디] 대한간학회 20일 '간의 날' 다양한 행사마련 2001.10.16. [1] 윤구현 2007.04.03 1485
185 [동아일보 ] 여론마당 - 한상율/B형 간염 환자 차별 없어져야 2002.2.24. [1] 윤구현 2007.04.03 1547
184 [미디어오늘] 잘못된 건강보도 바로잡는 한상율 내과의사 2002.6.13. [1] 윤구현 2007.04.03 1628
183 [매일경제] 먹는 간염치료제 한시적 보험적용 논란 2002.10.9. [1] 윤구현 2007.04.03 1290
182 [동아일보] 건보공단, 간염환자에 "간염약 복용 자제하라" 경고 2002.10.13. [1] 윤구현 2007.04.03 1337
181 [연합뉴스] 간염치료제 `장기복용 자제요청` 논란 2002.10.13. 윤구현 2007.04.03 1171
180 [부산일보] B형간염보유자 취업준비생의 절규 2002.10.19. [2] 윤구현 2007.04.03 1649
179 [연합뉴스] 만성 간염환자 대정부 시위 2002.10.20. [1] 윤구현 2007.04.03 1430
178 <B>[KBS] B형 간염 환자도 방치 2002.10.20.</b> [1] 윤구현 2007.04.03 1487
177 [청년의사] 보험이야기 - 제픽스 보험적용 제한 재정파탄 때문? 2002.10.21. [1] 윤구현 2007.04.04 1281
176 [MBC] 생방송 화제집중 2002.10.22 [1] 윤구현 2007.04.04 1738
175 [한겨레21] “술잔을 돌리거나 밥을 같이 먹으면 전염이 된다고?” 2002.10.23. [1] 윤구현 2007.04.04 1427
174 [시사저널] 술잔 돌리면 간염 걸린다고? 간 녹는 까닭 따로 있다네 2003.1.23. [1] file 윤구현 2007.04.04 1379
173 [한겨레신문] ‘간사랑 동우회’ 한상률·김창섭·윤구현씨 2003.4.14. [1] 윤구현 2007.04.0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