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서 본 간사랑동우회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170508.html
질병정보 보호법안 정보유출 ‘구멍’
이용범위 제한 없어…환자 결정권 반영돼야
한겨레 김양중 기자
개인의 질병정보를 보호하려 정부가 마련한 입법안 곳곳에 정보 유출의 허점이 드러나, 법안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4일 개인의 동의 없이 질병 정보를 쓰지 못하게 하는 ‘건강정보 보호 및 관리·운영에 관한 법률’을 입법예고했다. 질병 및 치료 기록을 병·의원이 교류할 수 있도록 해, 환자가 굳이 진료 기록을 챙겨 다닐 필요가 없도록 하면서도 환자 건강 정보는 철저히 관리·보호하겠다는 게 이 법안의 취지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대한의사협회 등 관련단체, 전문가들은 정부의 입법안에 개인의 질병 정보를 이용하는 기관과 범위에 대한 명확한 제한이 없어 정보 유출의 우려가 크다는 지적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난 6일 복지부가 주최한 공청회에서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위원은 “이번 법안에서 건강 기록의 수집주체가 생성기관(예를 들면 병·의원)이라고만 밝히고 있을 뿐 해당 기록의 수집목적 및 이용범위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고 있다”며 “환자 정보가 진료 이외의 다른 용도로 쓰일 가능성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상임위원은 또 “하지만 현재 여러 법률에 의해 환자의 진료 정보가 이용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법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주한 대한의사협회 정보통신이사(서울의대 의료정보학 교수) 역시 “정신 질환이나 성병 진료 기록이 병원을 벗어나 다른 곳으로 퍼진다면 환자의 인권은 완전히 망가지는 것”이라며 “이번 법안에서 손놓고 있는 환자의 자기 정보 결정권이 확보되야 하고, 진료 정보 폐기도 결정할 수 있어야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번 법안은 진료 정보 관리를 위한 기구를 두도록 했다”며 “이는 기존 조직과 업무가 충돌돼 혈세 낭비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의료인들 역시 진료 정보 교류의 이익보다는 유출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한편 일부 의료인은 “진료 정보가 교류된다면 의사들의 처방이나 영상자료 판독 능력 등도 환자들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들은 또 “영상 자료 판독에서 새로운 진단을 해 내는 경우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의사들에게도 돌아오는 것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기도 했다. 병원 경영자들은 정보 인프라 확충을 위해 비용이 들어가는 만큼 정부가 이를 지원하거나, 병원이 얻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병·의원 사이의 교류를 위해서는 통합 시스템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준비가 너무 덜 돼 있다며 반대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환자 단체의 관심은 진료 정보 유출 방지에 모아졌다. 비(B)형 간염 환자들의 모임인 간사랑동우회 윤구현 총무는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들은 학교, 직장에서 유출된 질병 정보로 교우 관계의 어려움이나 취업 제한을 겪고 있다”며 “정보 유출에 대한 엄격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으면 이런 문제점을 막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 교수는 “질병 정보 보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아 이번 법을 보완하애 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현재 국정감사 제출용으로 환자의 진료정보가 쓰이는 등 진료정보 남용의 현실을 고칠 법이 없는 것도 역시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병·의원 사이에 진료 정보가 교류돼 환자들에게 돌아가는 편리함도 고려돼야 하며, 병원을 옮겼을 때 받는 일부 불필요한 이중 검사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소윤 복지부 보건의료정보화사업추진단 서기관은 “앞으로 각계 의견을 받아들여 환자 진료 정보 보호에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 [국민일보]의사협회, 급증하는 ‘급성 A형간염’에 적극 대책 마련.2009-6-15. 윤구현 2012.06.12 544
191 [중앙일보] 독자칼럼-보험적용 안되는 B형간염 신약, 환자는 속탄다.2012-04-30 [6] 윤구현 2012.05.01 1757
190 [라포르시안] B형간염 병용요법 - "치료 인정하되 보험 안되는 해괴한 급여기준". 2012-03-26. 윤구현 2012.03.27 5190
189 [시사저널]B형 간염에 오염된 혈액 수혈되었다 한마음혈액원 내부 자료 단독 입수 / 새 장비로 2차 검사한 결과 30건에서 양성 반응 나와…감염 혈액 역추적 조사 진행 중. 2012-03-21. [8] 윤구현 2012.03.26 2314
188 [메디컬투데이]만성B형간염 치료제시장 뜨겁다, 보험급여 문제는 여전. 2012-03-17. [17] 윤구현 2012.03.23 3608
187 [연합뉴스]"B형간염 병용요법, 보험적용 확대해야" 대한간학회·환자단체 한 목소리 요구.2012-03-08. [3] 윤구현 2012.03.10 1131
186 [데일리메디]'환자권리' 논(論)하다 환자·보호자 모임 급증, 병원도 '권리장전' 제정 등 발빠른 행보.2011-10-16. [15] 윤구현 2011.10.26 32837
185 [청년의사]“B형 간염은 기숙사 오지마”…모 외고, 학생 차별 논란.2011-09-08. 윤구현 2011.09.18 1491
184 [데일리메디]잇단 간(肝) 광고에 상처 받은 간 질환자들 '혐오감' 주는 공익광고 이어 '피로 누적' 시사 제약사 광고 등.2011-04-14. [3] 윤구현 2011.04.27 2243
183 [동아일보]아직까지 춘곤증?…“C형 간염 의심해야”. 2011-04-23. [1] 윤구현 2011.04.25 1713
182 [KBS]말기 간질환 환자 모습 광고 논란.2011-03-28. [1] 윤구현 2011.04.04 2572
181 [SBS]취재파일 - B형간염 공익광고 교체된 까닭은?. 2011-03-29. 윤구현 2011.04.04 1907
180 [연합뉴스]말기환자 모습 그대로..간염 광고 '논란'.2011-03-28. 윤구현 2011.04.04 1212
179 [헬스코리아뉴스]한국GSK 정말 안풀린다 ‘아반디아’ 이어 ‘제픽스’도 퇴출되나? … 식약청 "사용제한 여부 학회 의견 수렴 중". 2010-12-23. [2] 윤구현 2010.12.24 1581
178 [메디파냐]하루 약값 10만원 `넥사바`, 급여 적용 받을까? 복지부 보장성 확대안에 포함…바이엘, 기대감 표명.2010-11-04.ㅣ [34] 윤구현 2010.11.17 23948
177 [메디파냐]복지부-바이엘, 넥사바정 약가협상 성사되나 현 약가 10% 인하 추진…"건정심서 확정 후 협상 돌입" .2010-11-09. [20] 윤구현 2010.11.17 9985
176 [청년의사]특집인터뷰 - 그들은 왜 간암을 두려워하는가? 2010-10-19. [2] 윤구현 2010.10.19 1793
175 [매일경제]간질환 환자 87% "간암 걸릴까 두렵다" 2010.10.11. 윤구현 2010.10.17 1793
174 [서울경제]이제 A형 간염 퇴치할 때. 2010-10-15. 윤구현 2010.10.17 1864
173 [의약뉴스]B형간염ㆍ류마티스 환자, 처지 갈려 기간제한 두고 희비 교차... 일부 직원, 교수 찾아 읍소 '촌극'. 2010-10-04. [1] 윤구현 2010.10.05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