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과 간염
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수직감염이 임신중에 생기는 경우
2011.05.24 16:04
얼마전 본 글인데 B형간염 보균자 산모가 출생시 예방조치에도 불구하고 수직감염이 되는 이유는
출생당시 수직감염될 확률도 있고, 임신중에 이미 수직감염이 된 경우도 있다라는 내용이였습니다.
임신중에 수직감염이 되면 출생직후 하는 예방조치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보균자가 된다고 하던데요..
임신중에 수직감염 되는 경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양수검사로 수직감염 될 수 있다는 건 여기 게시판에서 본것 같은데요...
혹시 그외 제대천자술 같은 시술에도 수직감염이 되나요?(아기가 심장이 좀 안좋다고 나와서 이런 검사를 하게 될 지도 몰라서요..)
그리고 임신중에 소량의 출혈이 계속 있었는데(절박유산) 이런 경우도 수직감염 위험이 있나요?
양수검사로는 수직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http://www.liverkorea.org/zbxe/326093
를 읽어보세요.
태내 감염이 매우 드물게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직감염예방조치를 했을 때 수직감염율이 4%정도이니 태내 감염이 이보다 높을 수는 없겠죠?
또 e항원이 음성인 산모(정확히는 HBV DNA가 4천만copeis/mL이하인 산모)는 예방조치를 했을 때 수직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때도 태내감염은 없다고 봐야 합니다.
다만 제대천자술로 감염이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