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임신계획중, 바라쿠르드 0.5mg 2년6개월째 복용중
2014.04.15 15:24
만성b형간염환자로 셋째계획중입니다.. 나이는 30대중반을넘어섰구요
처음으로 항바이러스제 바라쿠르드 0.5mg처방받고 3년가까이 내성없이 하루도 빠짐없이 약을복용하고있는중입니다.
임신계획을 하고 있다면 약을끊던지 다른약으로 처방을 받던지 하라는 글귀를 많이봅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1) 임신후 약을 끊을경우 dna수치가 높아지면 어떠한 대처를 해야하며, 바이러스 증식이 된다는걸로아는데 더 나뻐지는건가요?
2) 임신중에 다시약을먹어야 할 상황이 되면 세비보나 비리어드로로 먹어야되나요?
3) 임신때 먹은 세비보나 비리어드로 먹을시 출산후에도 세비보나 비리어드 같은약을 계속 복용해야되나요? 아님 처음에 먹었던 바라크루드로 다시 변경해서 먹어야되나요?(내성이 생길경우와 내성이 안생길경우로 자세히 말씀해주세요 ㅠㅠ)
4) 애가 수직간염이 안될려면 어떻게 해야되는건가요? 다행히 큰애 둘째는 태어났을때 주사맞고 2차3차까지 해서 별탈없는데요..
둘째까지갖았을때는 약을 먹지 않았던상태엿구요..
셋째는 약을복용중이라 어떻게 해야 수직간염이 안되는지요...
임신계획을 하고 있다면 약을 끊던지 다른 약으로 처방을 받던지 하라는 글귀를 많이 봅니다.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고 약을 끊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 다른 환우(?) 분들이 잘 몰라서(?) 글을 그리 쓰시는 겁니다.
임신이 확인되시면, 그때 다른 약 - 대개 비리어드 - 으로 교체하시면 됩니다.
1) 임신 후 약을 끊을경우 DNA 수치가 높아지면 어떠한 대처를 해야하며, 바이러스 증식이 된다는걸로 아는데 더 나뻐지는건가요?
(드문 상황이 생긴 것이 아니라면) 임신 중 DNA 가 높아진다고 장기적으로 간이 더 나빠진다고 하진 않습니다.
HBV DNA 가 높아지더라도
임신 주수나, 간수치 상승 여부, 담당 의사 선생님의 판단 등에 따라
대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임신이 되어 항바이러스제를 중단하시게 되면, 기본적으로 HBV DNA 검사를 정기적으로 임신 중 계속 받으셔야 합니다.
그래서 임신 후기 또는 출산 직전까지 HBV DNA 수치가 일정 기준 (통상, 107 copies/ml = 1천만 카피) 이상 되지 않으면
통상적인 출산 후 면역글로불린과 예방접종만 받아도 수직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임신 후기에 HBV DNA 수치가 일정 기준이상 상승되면
(간수치가 증가하지 않았더라도) 수직 감염 예방 목적을 위해서
항바이러스제 (통상, 비리어드 또는 세비보) 를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님의 경우는 이미 만성 B형 간염으로 임신 전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셨으니까
(보유자 상태에서 임신 하신 분들이 임신 후기에 2~3개월 단기적/일시적으로 항바이러스 사용하고, 출산 전후로 중단하는 경우와는 달리)
출산 후에도 계속 복용을 권유받게 되실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임신 중 HBV DNA 수치도 일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고 간수치도 상승하면
그냥 비리어드로 쭈욱 복용하시도록 권유받으실거고요...
물론, 위의 댓글 내용은 대략적이고 개인적으로 간략히 정리한 것일뿐
실제 상황과 담당 의사 선생님 및 님의 판단/가치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의 글이 진료실의 담당 의사 선생님 의견보다 (원칙적으로) 우선시 되지는 않으므로
모든 것은 진료실에서 담당 선생님과 잘 상당하세요.
2) 임신중에 다시 약을 먹어야 할 상황이 되면 세비보나 비리어드로로 먹어야되나요?
예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조금 다를 수도 있겠지만
아마 대개는 비리어드를 권유받게 되실 겁니다.
3) 임신때 먹은 세비보나 비리어드로 먹을시 출산후에도 세비보나 비리어드 같은 약을 계속 복용해야되나요? 아님 처음에 먹었던 바라크루드로 다시 변경해서 먹어야되나요? (내성이 생길 경우와 내성이 안 생길 경우로 자세히 말씀해주세요 ㅠㅠ)
위의 내용 및 답변처럼, 역시 경우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 내성도 없으셨고, 역시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판단되는 상황이므로
내성이 생길 경우와 안 생길 경우로 구분해서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4) 애가 수직 감염이 안 될려면 어떻게 해야되는건가요? 다행히 큰애 둘째는 태어났을때 주사맞고 2차3차까지 해서 별탈없는데요.. 둘째까지 가졌을때는 약을 먹지 않았던상태였구요.. 셋째는 약을 복용 중이라 어떻게 해야 수직 감염이 안 되는지요...
HBV DNA 가
항바이러스제로든 아니면 굳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지 않는 중 또는 중단한 이후에도
일정 기준 이상 상승되지 않으면
출산 후 통상적인 면역글로불린 접종 및 3차까지의 예방접종을 받기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용어 사용에 있어서) 수직 간염(hepatitis)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감염(infection)이라고 하는 겁니다.
요약하면, 임신 중 항바이러스제 사용은
case by case 인 경우가 많으므로
스스로 어느 정도의 지식은 갖고 계시거나, 담당 의사 선생님 판단을 믿으셔야 합니다.
읽어 보세요 -> http://www.liverkorea.org/zbxe/1707168
http://www.liverkorea.org/zbxe/1497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