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11주 임산부 입니다.
2020.04.21 19:36
먼저 저는 어머니의 수직감염에 의한 보유자입니다.
어려서부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았으며,
항상 비활동성에 정상수치를 유지 하며 살았습니다.
다른데는 많이 아파도 간에 대한 약은 한번도 복용해 본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결혼을 하니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임신 7주차에 산전검사를 하였구요.
(저희 산부인과는 내과가 같이 운영되고 있는 병원입니다.)
그때 피검사를 통해 갑성선 호르몬 수치가 높으며, 간 수치가 높다는 소견이 나왔습니다.
갑상선 기능은 정상이라 그냥 씬지로이드정0.05mg을 처방 받았습니다.
문제는 간 수치 였습니다.
제가 정확한 용어나 수치를 모르지만 병원에서 60/ 40이라고 하면서, 한 달 동안 지켜 보고 더 올라간다면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로 부터 4주 후인 어제 병원에 가서 다시 피검사를 했습니다.
근데 오늘 유선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활동성으로 변하려는 단계이며, 간수치가 200/150 정도 된다고 많이 올라가서...
약을 복용하여야 하니 빠른 시일 내로 병원에 내원하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또한 간에 관련된 약을 먹으면 출산 후에도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 말도 같이 하셨습니다.
그냥 다짜고짜 이제 약을 드셔야 하며,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 말에 너무 황당 하기도 하고 너무 서럽기도 합니다. ㅜㅜ
질문 드리겠습니다.
(제가 결과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며, 단위를 몰라 선생님이 불러주신 수치로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정확한 수치를 몰라서 앞에 불러준 수치만 정확하게 적었습니다. )
1. 저의 수치는 많이 높은 것인가요? 약을 먹어야 하는 수준이 맞나요?
2. 활동성이면 활동성, 비활동성이면 비활동성이지... 변하려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3. 임신으로 인해서 간수치가 올라간듯 한데.... 지금 약을 복용하면 출산 후에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건가요?
4. 대학병원이나 내과전문병원으로 가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하는 건가요?
5. 임신하면서 우울증이 왔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이 원인으로 간수치가 올라갈 수도 있나요?
6. 제 간수치가 높으면 아이에게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건가요? 아님 제 몸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건가요?
1. 저의 수치는 많이 높은 것인가요?
항바이러스제 복용을 고려해야 할 만큼은 높습니다.
약을 먹어야 하는 수준이 맞나요?
HBeAg (e항원) 결과, HBV DNA 수치도 확인해봐야
대답할 수 있는 성질의 질문입니다.
2. 활동성이면 활동성, 비활동성이면 비활동성이지... 변하려는 단계는 무엇인가요?
활동성 개념부터 이해하시고 질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활동..을 염두에 두고 질문을 하신 것이라면
예전에도 활동성, 지금도 활동성입니다.
좀더 중요한 의미로써, 면역 활동 개념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개념으로는 과거에는 비활동이었다가 지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자연경과 (<- 클릭) 을 읽어 보세요.
3. 임신으로 인해서 간수치가 올라간듯 한데....
임신 과정에서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일시적으로 생기는데
이 과정에서 면역 체계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를 드디어 안 좋은 것으로 인식하고
파괴하기 위해
간에 염증 반응이 생긴 것입니다.
지금 약을 복용하면 출산 후에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건가요?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대학병원이나 내과전문병원으로 가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하는 건가요?
아무래도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 를 잘 아는 내과 진료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긴 하죠.
5. 임신하면서 우울증이 왔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이 원인으로 간수치가 올라갈 수도 있나요?
아뇨.
6. 제 간수치가 높으면 아이에게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건가요?
줄 여지도 있긴 합니다.
아님 제 몸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건가요?
본인 몸에는 확실히 안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