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20개월아기 만성B형간염
2013.11.16 23:26
저희애기 수직감염되어
간염보유자인데 9개월에 보유자란걸 알고
돌때부터 간수치가높아서 병원다니며 쭉 지켜보는중이였는데
낮을땐 200부터해서 500까지올르고
20개월되서야 30 정상범위안으로 돌아왔습니다
약치료나 별다른 치료는하지않았구요
e항원 s항원 모두 양성이구요
항체도안생겼는데.. 면역제거기? 단계인거죠..
지금은 그래도 간수치가 정상범위라 그나마안심중인데
혹시 e항원이 음성 될 확률은...
항체생길확률은 얼마나될까요ㅠㅠ
간수치는 계속해서 지켜보는중이구요
간수치가 쭉나쁘다가 정상범위로와도 금방 또 오르락내리락할수있나요
안심할수있는게 아닌가요....
둘째는 임신30주짼데 며칠전부터 비리어드복용중입니다
제가 항체가없고 e항원s항원양성에 DNA가 9.89x10(8) 이에요
첫째때 모르고 약복용을못해서 이런 결과가났네요...
우리애기 간수치가 정상으로 오래가다보면 항체가생길까요???
면역제거기가 오래지속되면 간경변. 간암으로 갈 확률이 높아진다는데
우리애기 이제 두돌도안되서 ㅠㅠ 너무겁나고무섭습니다
제가.어떻게 해야할까요
나중에또 간수치가 자꾸오르면 약을 먹여야할지
내성 걱정때문에
일단병원에서 지켜보자고하셔서 기다리는중인데 너무 걱정되고 맘이아픕니다.. 조언좀주세요
그리고 지금 저 비리어드 처방해준 병원에서는
출산후 3개월까지는 약을먹자고하시는데
그럼 모유수유 하기가 불안해저서요...
출산후 바로 약 중단하면 안돼나요??
쟈는 면역관용기 이기때문에 수직감염 목적으로만 먹는건데
출산후 3개월까지 먹어야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출산후. DNA가 더 높아질수도있어서 그런건지..!
어떻게해야할까요~!?
댓글 6
-
황남철
2013.11.17 14:21
-
꾸꾸맘
2013.11.17 15:52
답변감사해요
더 노력하고 더공부해야겠어요.
그런데 좀이해안가는 부분이 있어서요
e항원양성이면서 간수치정상이면 면역관용기 잖아요
저희애기는 e항원양성이면서 간수치가 오르락내리락 햇었는데 그럼 면역제거기아닌가요?
지금 간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와서 면역제거기에서 관용기가 된건가요??
얼마안돼서 다시 간수치가 올라갈수도있나요.
간수치가 오르면 제거기가 되는거죠?
혈청전환이되지않으면 제거기관용기 계속 왔다갔다할수있나요??
애기다니는병원에서는 간수치는정상으로돌아왔다고 3개월후에지켜보자고만하시는데
가서 혈청전환됐나 확인해보는게좋을까요???
갈때마다 피검사로 간수치만 확인하고있는상태거든요...
아그리고 애기는 대학병원에 소아과로 쭉다니고있고
저는 같은병원에 간소화기내과로 다니는데 애기는 어느과로다녀야할까요???
답답하시겟지만... 궁금증을 풀어가며 이렇게 하나씩더알아가는 과정이고 생각해주세요 ㅠㅠ
-
황남철
2013.11.17 17:12
저희 애기는 e항원양성이면서 간수치가 오르락내리락 했었는데 그럼 면역제거기 아닌가요?
예, 면역 제거기 맞습니다.
간수치가 오르락내리락 했을 동안에는 면역제거(기) 과정이었겠죠...
지금 간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와서 면역제거기에서 관용기가 된건가요?
우연히 일시적으로 한 순간만 정상으로 나온 경우가 아니라면
즉, 지속적으로 간수치가 계속 정상을 보인다면, 관용기라고 봐야죠.
e항원이 음전 (또는 혈청전환) 되었다면
비증식기 (또는 낮은 증식기) 일 가능성도 있겠지만
그 경우에는 HBV DNA 수치도 확인해보셔야 할 수 있죠...
자연경과의 4단계 과정은
일종의 (기본적인) 모식도(?) 같은 겁니다.
일률적으로 무조건 1->2->3->4 로만 간다고 이해하시는 건 곤란할 수 있습니다.
얼마 안돼서 다시 간수치가 올라갈 수도 있나요.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는 말 못하지만
다른 이유로 간수치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
아마도 상당 기간 동안에는 정상 간수치를 유지할 겁니다.
간수치가 오르면 제거기가 되는거죠?
예
그 전에 간수치 상승을 초래할 만한, 다른 이유 - 예, 각종 (한)약이나 건강식품 및 기타 다른 요인 등 - 는 없는지
확인을 해야하겠지만서도요...
혈청 전환이 되지 않으면 제거기 관용기 계속 왔다갔다 할 수 있나요?
예
일생동안 제거기가 얼마나 올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한 번 제거기 상태에서 계속 쭈욱 제거기 - 즉, 만성 (B형) 간염 상태로 지속될 수도 있고
제거기 상태에서 혈청 전환되어 일생동안 문제없이 지낼 수도 있고
그런 과정이 반복될 수도 있는 등... 각각 개별 상황/환우마다 다 다릅니다.
참고로, 비증식기 - 다른 말로, 낮은 증식기 - 도
(면역 체계 관점에서는) 일종의 관용기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고요...
애기 다니는 병원에서는 간수치는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3개월 후에 지켜보자고만 하시는데
가서 혈청전환됐나 확인해보는게 좋을까요?
어차피 확인할 것이라면 굳이 지금 당장 확인할 필요가 있을까요?
3개월 후 간수치를 확인하면서 같이 e항원 (and/or e항체) 를 확인하시면 될텐데요...
애기는 어느 과로 다녀야 할까요?
당연히 소아(청소년)과죠.
대학병원에서는 엄연히 소아(청소년)과가 있는데
굳이 내과를 가실 이유가 없죠.
답답하시겠지만... 궁금증을 풀어가며 이렇게 하나씩 더 알아가는 과정이고 생각해주세요
알아가시려고 노력하는 것을 답답해하지는 않습니다. ^^;;;
알려고 노력을 안 하시거나 잘못 알고 계시는 것을 답답해하죠...
님은 님뿐만 아니라, 아이도 ... 그것도 어린 나이에 간수치가 상승되었기 때문에
기초적인 개념이 있어도 각종 혼란스러움이 올 수 밖에 없을겁니다.
즉, 기초 개념 이상의 많은 것들을 아셔야, 겨우 겨우 이해되시지 않을까 싶네요...
-
윤구현
2013.11.18 07:19
내년 2월 둘째주 토요일 서울에서 소아B형간염의 관리와 치료, 가임기 여성의 관리와 치료, 수직감염 예방 등을 주제로 강의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관련 전공 선생님들이 모여 할 예정이기 때문에 도움이 되실 거에요...
정식 공지는 시간과 장소가 확정되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
윤구현
2013.11.20 11:17
네. 결과는 요약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
꾸꾸맘
2013.11.19 21:58
꼭 참석해서 강의듣고싶은데... 제가 둘째출산예정일이 1월21일경이라ㅜㅜㅜㅜ
참석은 못할거같고 강의정보를 들을수있는 곳이 있으면 도움좀주세요...
저는 면역관용기이기 때문에 수직감염 목적으로만 먹는건데
출산 후 3개월까지 먹어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없는 뭔가를 담당 선생님이 생각하시는지도 모르겠지만, 통상적으로는 출산 후 중단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담당 의사 분과 상의 하에, 출산 직후 중단하는 쪽으로 얘기해보세요.
단, 정기적인 검사는 계속 하셔야 할테고
다시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할 만한 상황이시면, 다시 복용하시고요...
돌때부터 간수치가 높아서 병원 다니며 쭉 지켜보는 중이였는데
낮을땐 200부터 해서 500까지 오르고
20개월 되서야 30 정상 범위 안으로 돌아왔습니다
약 치료나 별다른 치료는 하지 않았구요
e항원 s항원 모두 양성이구요
항체도 안 생겼는데.. 면역제거기? 단계인거죠..
지금은 그래도 간수치가 정상범위라
(님과 마찬가지로) 현재 관용기 상태입니다.
아이 키우시느라 힘드시겠지만
시간 나실 때마다
B형 간염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대략적으로 알고 계셔야 합니다.
님 뿐이 아니라 아이를 위해서라도...
사전에 미리 알고 계셨더라면, 아이의 운명을 바꾸셨을 수도 있었듯이....
앞으로의 일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B형 간염이라는 문제에 대한 기초 지식/개념이 없으면
비록 이미 (첫째 아이가) 보유자 상태인 것만으로도 힘드시겠지만
그보다 더 큰 고통을 아이의 미래에 초래할 수도 있을테니까요...
틈날때마다 천천히 읽어 보세요.
1. B형 간염 기초 http://www.liverkorea.org/zbxe/1410285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우리 몸은 아래 3가지 중 하나의 상태로 됩니다.
1) 급성 B형 간염 or
2)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or
3) 만성 B형 간염 : 만성 B형 간염에서 더 "진행"하면 B형 간염으로 인한 간경화 등이 발생할 수 있음
2. B형 간염의 자연 경과 http://www.liverkorea.org/zbxe/1146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및 만성 B형 간염에 관한 내용임)
3.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http://www.liverkorea.org/zbxe/1139
(유전자형, HBcAg/HBcAb, DNA 의 각종 다양한 숫자들을 일일이 다 머리에 담아둘 필요는 없음)
4. 기본적인 정의 및 용어 http://www.liverkorea.org/zbxe/1453303
5. 활동성이란? http://www.liverkorea.org/zbxe/1402945
6. 만성 B형 간염 치료 (경구 항바이러스제) http://www.liverkorea.org/zbxe/1161 및 http://www.liverkorea.org/zbxe/1174
1) 경구 항바이러스제의 국내 보험 급여 기준 http://www.liverkorea.org/zbxe/1472641
2) 보험 급여 기준 변화 http://www.liverkorea.org/zbxe/1495644
7. e항원 음성 만성 B형 간염 (HBeAg negative chronic hepatitis B) (e항원 = HBeAg)
http://www.liverkorea.org/zbxe/1149
http://www.liverkorea.org/zbxe/1518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