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너무우울합니다..
2015.08.18 22:33
항원 양성 항체 음성나왓구요
주절주절 뭐라고하는지 제대로 기억은안나는데
내과가서 dna수치 검사를따로받아보라는데 ..
일단 활동성이면아예 모유수유생각도하면안되는건가요 ㅠ 정말 하고싶은데 방법이없을가요???
댓글 7
-
루나틱
2015.08.18 23:17
-
snrnil
2015.08.19 01:07
36주이고요 간수치는괜찮다고하셧어요 ㅠ
HBe Ag Pos(1.62)
HBe Ab Neg(1.03) 이걸보고 설명해주셧는데.. 뭐 수치가 애매해서? 내과가서 검사받아봐야한다
활동성이면 안먹이는게좋다 이런말해주셧어요 자기들은 산부인과입장이라서 왠만하면 염려스러워서 권라지않는다고 ㅠ
근데 다들 경험자분들보니깐 먹이신분들이많은거같아서 조금의희망은갖고잇네오 ㅜ
전 이상태에서 뭘어떻게 대처를해야하는걸가요 ㅠ
아예 무지식상태라서.. 혼란스럽기만하네요 ㅠ 모유수유한이될거같아요 ㅠ -
세라피나
2015.08.19 07:21
내과검진을 이때까지안받으신거예요? 오늘이라도 당장 가세요 요새는 비리어드인가 임신하고먹는약이 있어요.
진짜 저도 무지해서 산부인과말만믿고 모유수유도하고 ㅠ 아이 감염됐어요. 면역글루블린 맞으면된대서 ㅠ
저때는 비리어드 없었는데 ....내과 산부인과 둘다 상담하세요. 본인이 공부하셔야합니다. -
윤구현
2015.08.19 10:29
많이 잘못된 내용을 설명 들으신 겁니다.
이 글의 공지사항에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만 모유수유로는 B형간염이 전염되지 않습니다. 산모가 e항원이 양성이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 미국CDC 모두 출산후 면역글로불린과 백신 접종을 정상적으로 했다면 모유수유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고 권하고 있습니다.
수직감염과 관련 있는 것은 출산시 산모의 HBV DNA양입니다. HBV DNA가 천만copeis/mL를 넘으면 면역글로불린과 백신을 접종해도 20-30%정도 수직감염 됩니다. e항원이 양성이면 HBV DNA가 이정도로 높은 것이 대부분이고요.... 모유가 아니라 출산시 HBV DNA가 문제인 것입니다.
역시 공지글에 자세한 내용이 있지만 임신 28-32주부터 항바이러스제를 써서 이 가능성을 0%에 가깝게 낮추는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
snrnil
2015.08.19 21:52
궁금한게있어요 ㅠ 모유수유 희망갖고 할생각인데
출산직후에 아기도 예방주사맞고
저두 맞아야하는건가요? 약두먹구요? -
윤구현
2015.08.20 08:59
출산 과정에서 아이는 B형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됩니다. 태내에서는 감염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아주 일부가 노출된다고 하는데 이것도 요즘은 이견이 좀 있습니다)
당연히 엄마는 예방주사를 맞을 필요가 없고
출산 후 약을 드실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산모의 간염치료를 위해서 항바이러스제를 계속 드셔야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건 내과 선생님의 처방을 따르시면 됩니다. -
똘군
2015.08.19 12:51
저는 첫째, 둘째 모드 모유수유 했어요. 이항원 양성인데요. 괜찮았어요. 안심하고 모유수유 하세요. 저 담당 선생님은 모유수유 해도 된다고. 전 즐거운 맘으로 했답니다.
의학이 많이 발달 했습니다. 시기가 늦어버리지 않았다면 가능합니다. 정확한 검사지를 올려주시면 전문가분들께서 해석해주실거예요.
항원 항체도 종류가 있습니다. 활동성이란 말은 매우 모호하고 실체가 없는 표현입니다.
dna 검사 꼭 받으셔야 합니다. 전염성과 관련된 주요 지표입니다.
간수치가 높은 상태면 의료보험 적용해서 항바이러스제 먹으면 왠만하면 다 할 수 있습니다.
우울할 필요없습니다. 공부 열심히 하시고 잘 대응하시면 됩니다.
임신주차나 이런것도 다 알려주셔야 가능합니다. 간수치 낮아도 dna 높으면 먹어야 되는 시기가 있고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