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신생아 헤파빅(HBIG) 접종의 부작용이나 해가 되는 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2020.10.08 21:35
안녕하세요.
돌을 갓 지난 아기가 있는 엄마입니다.
저는 B형간염 항체가 있고, 남편이 비활동성 보유자입니다. 양가 어르신 중에도 보유자가 계시고요.
아기 출산 시 병원에서 아빠가 보유자이니 아기가 태어난 직후 헤파빅(HBIG)을 접종해 주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엄마가 보유자가 아닌 경우에는 헤파빅을 맞추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5세 첫째 아이는 맞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총 3회의 예방접종으로 항체가 생성될 때까지 혹시 모르는 위험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맞춰준 것 같아요.
(질문 1)
아기가 돌 지난 직후 항체검사를 했는데 항체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득...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은 아기가, 즉 굳이 헤파빅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아기가 헤파빅을
맞았을 때, 이로 인한 부작용이나 해가 되는 점은 없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검색을 하다가 "HBc-Ab(IgG)"라는 검사항목에 대해서도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헤파빅 접종과 이 검사항목 양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인가요? 산모가 보유자가 아니라면 HBc-Ab(IgG)가 양성이 나오는 경우는 없는 걸까요?
(질문 2)
검색하다 보니 헤파빅을 맞았을 경우 생백신 접종을 3개월 이후에 하라고 되어 있는데요.
이걸 지금 처음 알았네요. ㅜㅜ
아기가 BCG(생후 1개월 이내 접종), 로타텍(생후 2, 4, 6개월 접종)은 3개월 전에 이미 접종을 했는데... 괜찮을까요?
생후 3개월 이후에 맞는 게 맞았던 걸까요? 접종 효과가 떨어지는 건지 걱정이에요. ㅜㅜ
제가 친정아빠가 간암으로 돌아가셔서, 간 문제에 대해 예민하다보니,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4
-
Dr.황남철
2020.10.09 07:45
-
pianist
2020.10.09 10:41
선생님, 상세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안심이 되었어요.
그럼 헤파빅을 접종했다고 해서 HBc-Ab(IgG)가 양성으로 나올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지요?^^;; (즉, 누군가 HBc-Ab(IgG) 양성이라고 할 때, 그 ‘원인’이 헤파빅 접종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지요?) -
Dr.황남철
2020.10.09 15:00
예.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봅니다.
참고로, 헤파빅은 접종 후 6~8개월 지나면, 몸에서 없어집니다.
-
pianist
2020.10.09 17:07
빠른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질문 1)
아기가 돌 지난 직후 항체검사를 했는데 항체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득...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은 아기가, 즉 굳이 헤파빅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아기가 헤파빅을
맞았을 때, 이로 인한 부작용이나 해가 되는 점은 없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검색을 하다가 "IgG HBcAb"라는 검사항목에 대해서도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헤파빅 접종과 이 검사항목 양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인가요?
이론적으로는 관련 없습니다.
헤파빅은 IgG HBsAb 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산모가 보유자가 아니라면 HBc-Ab(IgG)가 양성이 나오는 경우는 없는 걸까요?
예
이론적으로는 없다고 하지만,
위양성 (false positive) 같은 것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습니다.
(질문 2)
검색하다 보니 헤파빅을 맞았을 경우 생백신 접종을 3개월 이후에 하라고 되어 있는데요.
이걸 지금 처음 알았네요.
아기가 BCG(생후 1개월 이내 접종), 로타텍(생후 2, 4, 6개월 접종)은 3개월 전에 이미 접종을 했는데... 괜찮을까요?
생후 3개월 이후에 맞는 게 맞았던 걸까요? 접종 효과가 떨어지는 건지 걱정이에요.
괜찮습니다.
오래 전에 님과 유사한 상황 및 관련 질문을 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당시 제가 설명한 내용..을 따로 정리해놓은
manual 을 복붙합니다. 참고하세요.
immunoglobulin
① human normal immunoglobulin
② specific immunoglobulin
③ live viral vaccines following immunoglobulin administration
⒜ (live) vaccine should be administered 3 weeks before or 3 months after immunoglobulin infusion (except yellow fever vaccination) (Royal Free Hampstead, NHS)
⒝ administration of blood or plasma transfusions, hepatitis B vaccine, hepatitis B immunoglobulin and normal immunoglobulin are thought not to reduce the effectiveness of BCG vaccine
⒞ 경구용 장티푸스(typhoid) 백신, 약독화 인플루엔자 생백신, 로타바이러스 생백신은 항체 함유제제에 의한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항체 함유제제와 접종 간격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참고로, 국내에서 경구용 장티푸스 백신은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