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임신30주 산모, DNA 1억 이상 E항원 양성 입니다.
2010.08.07 16:26
임신 30주이구요
2주전 검사결과는 HBV DNA 1억이상 이며 HBe항원 양성입니다. 기타 간기능 검사는 모두 정상범위입니다.
내과전문의와 상담한 결과 임신중 제일 안전한 항바이러스제제는 세비보라 말씀하셨고, 출산후 면역글로블린 접종하면 95%의이상의 항체가 생기고 이 수치는 아주 높은것이라고 하시면서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하셨습니다.
모든 엄마가 아이에게 간염을 감염시키고 싶지는 않겠지만 저희 아버지는 간암으로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지금 간암 투병중이십니다.
남동생도 면역관용기가 깨져서 지금 약물치료중에 있습니다.한가족이 다 B형간염으로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뱃속의 아이에게는 절대로 감염시키고 싶지않습니다.
이곳에서 많을 글을 검색해보고 공부하는데도 이것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제시 되지 않아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직 연구중이고 선택사항이면 1%라도 감염을 낯출수 있는것이 항바이러스 제제이면
보험이 되든 되지 않든 약을 복용하고 싶습니다.
1.저처럼 DNA높은 산모는 항바이러스제제를 복용하는게 조금이라도 도움이되나요?
2.도움이 된다면 어떤 종류의 항바이러스제제를 복용해야하나요?
3..30주라서 출산까지 2달 반 남았습니다. 약을 복용하는 시기는 지나지는 않았나요?
댓글 5
-
南道光州 한정렬
2010.08.07 23:05
-
내일은희망을
2010.08.08 21:01
나야님
쪽지 드렸어요^^
-
이쁜이남편2
2010.08.10 15:26
저도 쪽지 드렸구요... 제가 알기로 임신 4분기 이후 (30주 이후)에 라미부딘을 복용해서 바이러스 수치를 낮추는 방법은 꽤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바이러스 레벨이 2000만 정도보다 높은지 낮은지가 수직감염 여부에 중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비이79
2010.08.11 08:45
나야님~저랑 거의 상태가 같네요...저도 어찌해야 하는지 지금 고민중이랍니다..제가 다니는 병원은 조금 큰 병원임에도, 내과쌤이 간전문의가 아니라 저보다 더 모릅니다..그래서 저도 간전문의 쌤께 상담을 한번 해보려고 고려중입니다. 전 출산전까지 두달 하고 일주일 정도 남았고, 바이러스 수치 1억이상이며, 다른 수치는 모두 정상입니다...저도 늘 기도하고 있습니다...어떻게 하는게 옳은지 모르겠습니다..저에게도 쪽지좀 주세요~~~~^^
-
희망
2010.09.14 20:19
저두 님처럼 DNS 일억넘는 상황에서 32주부터 제픽스 복용해서 출산햇는데 아주 건강한 아가를 낳앗으며 아가는 항체가 생겻고 또래보다도 더 인지능력이나 소근육발달이 빠른편입니다 도움되셧으면 합니다 참고로 저는 그때 간기능도 100넘엇으면 그때 먹은 제픽스는 9개월후 내성이 생겨 현재 합세라 같이 복용하고 잇습니다 하지만 건강한 아기 태여난것으로 전 넘 만족합니다
나야님은 현재 면역관용기 산모이십니다.
어려운 질문인데요, 말씀하신데로 명확한 지침이 제시 되지 있지 않습니다.
보유자 산모가 출산 시 출생 12시간 이내에 아기에게는 면역글로불린 주사와 예방접종을 시키게 됩니다.
면역글로블린 접종과 비형간염 예방접종을 하면 95%정도에서 항체가 생기게 됩니다.
나야님처럼 보다 적극적으로 수직감염을 막기위해서 임신후반기에 항바이러스제제를 투여해서 HBVDNA 수치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본 것 같으나 말씀하신데로 명확한 지침이 없습니다.
어려운 내용이니 담당선생님과 더 잘 상의하셔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