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c형간염 문의드립니다
2010.07.23 16:06
임신초기에 혈액검사상
HCV항체검사 양성 역가(7.8) RNA정량검사에서 15iu 미만 간수치 정상
임신 7개월때 조기진통으로 입원당시 정량검사는 하지 않았구 항체검사에서 양성(3.8) 간수치는정상
막달검사에서도 정량검사 없이 항체검사에서 양성(4.4) 간수치는 정상
산부인과에서 말해주지 않아서 이것이 c형간염인줄 모르고 다른간염처럼 항체가 생긴걸로 착각했습니다
우연히 검사결과지를 내과에 가져갔다가 청천벽력같은소리를 듣게되었습니다
출산후 7개월때 현재입니다
모유수유 지속중이였습니다
그래서 다시 검사했는데 항체검사는 하지 않았구 현재 간수치 정상 정량검사에서 3.17×10(3)개 가량 균이 나왔어요
원래 수치가 이렇게 급격히 변동될수 있나요 간수치가 정상임에도 .....수치가 높은데 모유슈유로 전염될 가능성은 어떤지요
이것이 제가 결국 만성 간염으로 진행된 상태를 말해주는것인지요?
그리고 둘째 아이가 노출되었을 확률은 어떻게 되는겁니까
이렇게 균이 많은줄 모르고 모유수유를 지속했는데 어찌해야하죠
내과 선생님은 10월쯤 아이간검사랑(현재 7개월입니다) 저 초음파 검사를 같이해보자고 하시네요
아기 어떡하나요
정성검사 안해두 정량검사상 수치가 높게 나오면 정성검사도 양성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만약 아기가 c형간염에 걸린 상태라면 어떻게 해야하죠
저는 간수치가 정상이기때문에 내과샘은 치료의 의미가 없다고 하세요
참고로 제왕절개로 출산했어요
첫아이 제왕햇기때문에 첫째아이는 정상으로 나왓네요 다행이두 항체검사만 했습니다
정량검사는 하지 않아도 될까요?
유전자형 검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여기 다른글 보니까 수치가 6000이 넘지 않으면 유전자형을 알수 없다는 글도 있던데 맞는지요
치료를 하고 싶은데 내과샘은 치료효과가 거의 없을거라구 관찰만 하자고 하세요
B형간염과 C형간염은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많습니다. 수직감염이 드물다는 것이 대표적으로 다른 역학입니다.
4-1. C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을 클릭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