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상처낫을때대일밴드
2020.06.12 07:55
선생님 손에 상처낫을때 대일밴드 붙이고 지혈은 한상태구요 비닐장갑을 끼고 잇어야 되나요? 아니면 상처부위에피가멈추면
대일밴드를 붙이지않아도 되는지요? 장갑도 끼지않아도되는지? 그리고모유수유 할때 엄마 유두에서 피가 나고 아기입에도
상처가 잇을시 피를 먹어도 크게 전염력이 없다고 여기 글에서 읽엇는데
일반 생활상처가 나서 그피가 아기 상처부위에 들어가면 왜 위험한건가요?
똑같은 피인데? 그리고 상처부위 피는 멈추고 피딱지가 잇는 상태에서 모르고 상처부위를 만지면 전염이 가능한가요? 피는 흐르지 않는상태에서요? 그리고 제가피부가예민해서 저도 모르게 다리나 얼굴에 긁으면 피가나서 피딱지가 생기는데 이런것들도 이불이나 옷등 아기한테 묻어도 괜찮은지요? 피딱지가생길때마다
이불빨래를 계속할수도없고..그렇다고 계속 대일밴드를붙이는것도한게가잇더라구요..혹시 피딱지가 생길때마다 대일밴드를계속붙여야 되나요?
피는흐르지 않는 상태구요
그리고상처난 손으로 아기분유타기랑 아기돌봐도 괜찮겟죠? 장갑 끼지않고요? 자주 질문드려서 정말죄송합니다
댓글 3
-
Dr.황남철
2020.07.03 09:21
-
긍정의힘
2020.07.03 11:04
답변감사합니다
한가지만더여쭤볼께요 아기도자기몸에상처를내고 피는흐르지않은 피닥지가않은상태이고 엄마인저도 손에상처가 나서 피는 흐르지 않는
상태에 제가 대일밴드를 붙이지못한상태에서 아기 상처부위를 만졋을때 전염가능능성은
큰가요? 아기낳고 3개월쯤 한번 살짝 만진거같아서요? 걱정이됩니다
그리고 여드름피딱지나 뽀로지가 한번씩나는데 피만흐리지않으면 감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되는지요?
그리고대일밴드는일반대일밴드를사용해도 괜찮은지? 아니면 방수가되는 대일밴드를사용해야되는지요? 매번 친절한 답변감사합니댜
-
Dr.황남철
2020.07.04 07:49
아기도 자기 몸에 상처를 내고 피는 흐르지 않은 피딱지가 않은 상태이고
엄마인 저도 손에 상처가 나서 피는 흐르지 않는 상태에
제가 대일밴드를 붙이지 못한 상태에서 아기 상처부위를 만졌을때 전염 가능성은 큰가요?
아뇨. 거의 없어요.
여드름 피딱지나 뽀로지가 한번씩 나는데 피만 흐리지 않으면 감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되는지요?
예. 혈액이 제일 중요해요.
그리고 대일밴드는 일반 대일밴드를 사용해도 괜찮은지?
괜찮습니다.
방수가 되는 대일밴드를 사용해야 되는지요?
뭐 그렇게까지 굳이 할 필요가 있나요?
손에 상처 났을때 대일밴드 붙이고 지혈은 한 상태구요 비닐장갑을 끼고 있어야 되나요?
아뇨
상처부위에 피가 멈추면 대일밴드를 붙이지 않아도 되는지요?
피가 굳어 있고, 그 굳은 피딱지가 상대방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굳이 밴드를 붙이지 않아도 되긴 합니다.
장갑도 끼지 않아도 되는지?
장갑까진 굳이 필요없어요. 밴드만 붙여도 됩니다.
모유수유할때 엄마 유두에서 피가 나고 아기 입에도 상처가 있을시 피를 먹어도 크게 전염력이 없다고
대체로 그렇다고 봅니다...만
이왕이면 아기 입에 상처가 없는 것이 좋겠죠.
일반 생활상처가 나서 그 피가 아기 상처부위에 들어가면 왜 위험한건가요?
그 상처부위를 통해 어머니의 혈액이 아기의 신체 내부 (위장이 아닌) 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어서죠.
똑같은 피인데?
아기를 포함해서 상대방 인간의, 상처없는 피부..는 단순히 피부가 아니라
외부 물질에 대해서 인간 내부를 보호해주는, 두터운 장벽입니다.
따라서, 아기를 포함한 상대방 인간의 피부에 상처가 있거나, 상대방 구강에 상처가 있을 경우에는
아무래도 감염자의 혈액이 거기에 닿았을 경우, 감염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할 필요는 있는거죠.
다만, 모유에는 혈액 보다 바이러스의 양이 적고
모유에 섞인 혈액도 대개는 적은 편이니깐
대체로 안전하다고 판단하기는 한데
모유로 인한 전염성에 대해서는
혈액이 섞였는지..아기 구강에 상처가 있었는지..를 일일히 확인해서 연구한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기본적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임산부들을 통해
모유 수유한 임산부와 그렇지 않은 임산부들의 영아들에게서
수직 감염 확률에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 모유 수유한 임신부들 사이에 모유 수유하면서,
피가 섞인 모유를 제공한 임신부도 있었을 것이고
아기 입에 상처가 있는 임신부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것을 일일히 확인해가면서 연구를 한 것은 아닐 것이기에
일단 총체적인 통계 결과만 갖고 판단하는 거죠
즉, 모유 수유로는 전염이 안 된다.
다만, 만일의 경우를 위해 적어도 아기의 입에 상처는 없는 것이 좋겠다.. 정도인 건데
아기나 부모가 일부러 아기 입에 상처를 내지 않는 이상,
아기 구강에 상처가 쉽게 나는 건 아니죠. 뭐, 딱딱하거나 뾰족한 음식 같은 것을 먹지는 않을테니까요.
그리고 상처부위 피는 멈추고 피딱지가 있는 상태에서 모르고 상처부위를 만지면 전염이 가능한가요?
안 된다고 봐야 하죠. 만지는 손에 상처가 없으면 더더욱...
피는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요?
전염성은 없다고 봐야죠.
피딱지가 생기는데 이런것들도 이불이나 옷등 아기한테 묻어도 괜찮은지요?
아기 피부에 묻는 것 정도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딱지이기에 더더욱 가능성은 거의 없을테고요.
피딱지가 생길때마다 대일밴드를 계속 붙여야 되나요?
피딱지 생기기 전, 즉, 피가 났을때 바로 밴드 붙이시고, 딱지가 생기면 밴드를 떼시되
일부러 딱지를 떼려고 하지..만 않으시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상처난 손으로 아기 분유타기랑 아기돌봐도 괜찮겠죠? 장갑끼지 않고요?
피..만 없다면 별 상관은 없지만
할 수 있으면, 상처에 밴드를 붙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