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과 간염
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1. 지금 단계에서 s항원이 소실될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s항원 소실 가능성은 특정 단계와 관련은 없습니다.
게다가 올려주신 정보만으로는 더더욱 s항원 소실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고요.
2. 임신 계획 중인데 약은 계속 복용해야 될 것 같은데 애기가 b형간염에 감염될 가능성이 몇프로인가요?
예정된 예방 조치 (임신 중 항바이러스제 복용, 출산 직후 면역글로불린 주사, 출산 후 정해진 백신 접종 완료) 를 하면
수직 감염될 확률은 대체로 1% 미만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감염되지 않게 노력할 수 있는 것이 어떤게 있을까요?
본인이 특별히 할 수 있는 노력은 없습니다.
약 잘 먹고, 출산 후 아이에게 면역글로불린 주사 및 백신 접종 잘 맞추는 것 이외에는 딱히 할 건 없습니다.
3. 모유수유 해도 되나요?
해도 됩니다.
하면 감염되나요?
아뇨.
4. 비리어드 부작용이 있나요?
부작용이 없는 약들이란.. 없습니다.
다만, 비리어드 부작용은... 흔히 유명한 것으로, 신장 문제와 뼈 문제 (골다공증 발생 가능성) 정도만 있는데
그리 흔한 편은 아닙니다.
초음파상 간이 거칠어졌다고 하는데, 약을 오랜기간 먹어서 그럴 수 있다고 하네요.
정확히는 약을 오래 먹어서..라기 보다..는
간염이 오랜 기간 있어왔기 때문이라고 얘기하는 것이 더 맞을 겁니다.
그런 간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약을 통해 진행을 늦추거나 막아 오신 것이고요...
그리고 소변검사에서
1년정도 소변에 잠혈이 있다고 하는데 전 전혀 불편한 증상이 없는데
신장, 빌루리빈 수치도 정상입니다. 비리어드 부작용일수도 있다는데 그런 연구결과가 있나요?
최근에는 공부를 게을리해서 잘 모르겠지만 (즉, 그런 연구 결과가 최근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론 요잠혈을 비리어드 부작용이라고 대하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