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과 간염
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dna수치문의드립니다
2016.09.08 11:59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28주 임신중입니다
제가작년에 dna수치가 억대로 나왔었는데 간기능수치가 정상이어서 약물치료는 하지않았었습니다
간사랑 동우회를 통해 dna수치가 천만카피이상은 28주~30주 사이에 비리어드복용으로 수직감염을 예방할수있다는 내용을 숙지하고 28주에 내원해서 혈액검사를 했습니다
결과를 들으니 간기능수치 정상에 dna수치 128만으로 현상태로는 약복용을 안해도된다고 말씀주셨는데 혹시몰라 30주에 다시한번 바이러스 수치검사를 해보기로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이렇게 바이러스 수치가 약을쓰지않아도 내려갈수있는가' 와 '30주이후에 바이러스수치가 상승되는경우도 있는지' , '혹시 상승되는경우가 있다면 그때 약을 먹어도 수직감염이 예방될 수있는지' 입니다
정말 수직감염만은 막고싶은데.. 현재 바이러스수치가 낮다는 안도감보다 다시 상승될수도 있다면 약복용이 늦어져 수직감염예방을 못하면어쩌나 하는 걱정이 앞섭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28주 임신중입니다
제가작년에 dna수치가 억대로 나왔었는데 간기능수치가 정상이어서 약물치료는 하지않았었습니다
간사랑 동우회를 통해 dna수치가 천만카피이상은 28주~30주 사이에 비리어드복용으로 수직감염을 예방할수있다는 내용을 숙지하고 28주에 내원해서 혈액검사를 했습니다
결과를 들으니 간기능수치 정상에 dna수치 128만으로 현상태로는 약복용을 안해도된다고 말씀주셨는데 혹시몰라 30주에 다시한번 바이러스 수치검사를 해보기로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이렇게 바이러스 수치가 약을쓰지않아도 내려갈수있는가' 와 '30주이후에 바이러스수치가 상승되는경우도 있는지' , '혹시 상승되는경우가 있다면 그때 약을 먹어도 수직감염이 예방될 수있는지' 입니다
정말 수직감염만은 막고싶은데.. 현재 바이러스수치가 낮다는 안도감보다 다시 상승될수도 있다면 약복용이 늦어져 수직감염예방을 못하면어쩌나 하는 걱정이 앞섭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이렇게 바이러스 수치가 약을 쓰지 않아도 내려갈 수 있는가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수치 (HBV DNA) 는 수시로 변동을 하니까요.
대개는 그 변동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범위 내에서 왔다갔다하는 정도인데
- 예를 들면, 억대를 넘게 나오는 분들은 다시 검사해도
대개는 계속 억대를 넘게 나오지만
어떤 때는 1억, 어떤 때는 2억 .. 이런 식인 것이죠. -
그 정도라는 것을 벗어나서 뚜렷히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도 있죠.
대개 보유자 분들 중에서 억대가 나오는 분들이 더 상승해봤자, 별 의미도 없으니 신경도 쓰지 않지만
님처럼 HBV DNA 수치가 감소가 되면
약을 써야할지 말아야 할지 살짝 고민이 될 수는 있죠.
30주 이후에 바이러스 수치가 상승되는 경우도 있는지
원론적으로는 가능은 하죠.
다만, 대개 수치가 어느 한쪽으로 방향을 틀면,
대개는 그 방향대로 가거나 그 선에서 잘 유지되는 경우가 상당수입니다.
혹시 상승되는 경우가 있다면 그때 약을 먹어도 수직감염이 예방될 수 있는지
예방이 가능할 수는 있습니다...만
중요한 것은 출산 직전의 HBV DNA 수치입니다.
즉, 얼마나 상승되어 있고,
출산 직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얼마나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