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과 간염
간염과 임신, 출산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과
수직감염예방-예방접종, 모유수유 등- 그리고 소아B형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한 글을
자유롭게 올리시면 됩니다.
이 게시판은 2013년 12월에 만들어졌으며 이 주제에 대한 과거 글 일부를 간염상담게시판과 자유게시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과거글은 이들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보통 아기 항체검사때 간염유무도 검사해주나요?
2017.09.05 22:36
항체가 있는지만 검사하나요.
간염이 감염되었는지도 알려주나요?
항체검사할때 감염여부해달라고 따로 말해야하나요?
간염이 감염되었는지도 알려주나요?
항체검사할때 감염여부해달라고 따로 말해야하나요?
항체검사할때 감염 여부 (확인) 해달라고 따로 말해야하나요?
(면역) 항체 (= HBsAb) 검사할 때
대개는 (표면) 항원 (= HBsAg) 을 마치 셋트처럼 같이 검사합니다.
HBsAg 가 양성 (= positive) 이냐 음성 (= negative) 이냐에 따라
감염 여부가 판단이 되는 겁니다.
드물게 HBsAb 만 하는 경우도 있을 수는 있지만
거의 없기 때문에
B형 간염 검사 원합니다...라고만 해도
대부분 HBsAg/HBsAb 를 해줄겁니다.
간염이 감염되었는지도 알려주나요?
간염 (= hepatitis) 이 감염 (= infection) 되는 것이 아니라,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겁니다.^^
간염은 "감염되었다" 가 아니라, "발병했다 (또는 생겼다)" 라고 하는 거죠.
감염 (= infection) 은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온 것을 말하는 거고
그 바이러스가 간염을 일으키는거죠.
그러므로, "간염이 감염되었는지" 를 물어보시는 게 아니라
"바이러스가 감염되었는지와 함께
(그 바이러스로) 간염이 생겼는지" 를 나눠서 물어보셔야죠.^^
왜냐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는, 항원 항체 검사로 확인하지만
간염이 생겼는지는, 간기능 검사 (소위, 간수치) 로 확인하는데
감염에만 촛점을 맞춰서 물어보시면
항원 항체 검사만 하실 수도 있거든요.
그러면 나중에 왜 간수치는 검사 안 했냐고 님께서 하소연하실 수도 있고,
괜히 나중에 피를 한 번 더 뽑아야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 소통을 위해, 정확한 표현을 쓰는게 중요하죠.
참고로,
영어로는 간염과 감염의 알파벳과 발음이 확연히 다르지만
(hepatitis vs infection)
한글 철자 및 발음 상에서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많은 환우들이 혼동을 하시곤 하죠.
간염과 감염은 다른 겁니다.
(감염은, 감기 바이러스나 다른 많은 미생물이 몸에 들어오는 것을 통칭하는 용어이고,
간염은, 간에 염증이 일어난 상태를 얘기하는 것이니까
의미가 많이 다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