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예전 간질환 뉴스는 구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소발디의 저력, 급여 2개월만에 100억원 돌파8월부터 급여 확대…처방량 확대에 순풍


2016.07.25


 
▲ 길리어드 소발디, 하보니

길리어드의 C형간염치료제 소발디가 올해 상반기 처방액 100억원을 돌파했다.

급여가 시작된 5월부터 6월까지 단 2개월만에 이뤄낸 성과다.

245일 의약품 처방데이터 유비스트에 따르면 C형간염약 소발디와 하보니는 각각 101억원, 24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했다.

2개 품목은 모두 길리어드가 보유한 제품으로 C형간염을 거의 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효능을 가졌지만, 국내 출시는 늦은 감이 있다.

BMS가 보유한 다클린자와 순베프라는 정부와 약가협상에서 낮은 가격을 제시해 급여가 빨리 이뤄졌으나, 소발디와 하보니는 높은 가격 때문에 시장 진입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 5월 1일부터 소발디와 하보니에 대해 제한적인 급여가 이뤄졌다.급여 적용범위는 소발디는 C형간염 유전자형 1a형과 2형, 하보니는 C형간염 유전자형 1a형이었다.

다클린자와 순베프라의 경우 1b형과 2a형에 급여가 적용되는데, 국내 C형 간염환자의 95% 이상은 1b형과 2a형이다.

지난 5월 이후 소발디와 하보니를 사용할 수 있는 환자는 국내 C형간염 환자 중 5% 미만의 환자였던 셈이다.

이 기간동안 소발디와 하보니는 합계 125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하며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하지만 두 제품은 하반기가 더 기대되고 있다. 오는 8월 또 한번 급여 확대가 예고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소발디와 하보니는 유전자형 1b형 환자 중 다클린자와 순베프라를 병용 투여할 수 없는 경우 급여를 적용받는다.

또 소발디는 1b형을 제외한 1형 만성 C형간염 환자와 성인의 유전자형 3, 4형 환자까지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유전자형 2형 중 간경변이 있는 환자에게는 소발디 투여 기간을 현재 12주에서 16주까지 늘어난다.

이와 함께 소발디와 하보니는 약가까지 인하된다. 소발디는 27만656원에서 25만7,123원, 하보니는 35만7,142원에서 29만7,620원으로 각각 5%, 16% 인하된다.

소발디와 하보니는 늦은 시장 진입에 따라 고전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틈새 시장을 공략에 성공했다.

오는 8월 또 한번의 급여 확대로 소발디와 하보니의 시장 입지는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3 간염과 원자탄, 일본 군국주의 박지욱의 메디시네마(38) 간장선생 [1] 윤구현 2016.07.29 198
662 A형간염 1년새 3배 급증…왜 올해 유독 기승? 윤구현 2016.07.29 107
661 '바라크루드 제네릭' 출시 10개월…"6개 상위권 싸움" 윤구현 2016.07.29 77
» 소발디의 저력, 급여 2개월만에 100억원 돌파 8월부터 급여 확대…처방량 확대에 순풍 윤구현 2016.07.25 91
659 스티렌 약가 31% 인하 C형 간염치료제 하보니도 16% 인하 윤구현 2016.07.25 100
658 국내제약과 사뭇 다른 행보, 길리어드의 시사점은? 항바이러스제 집중, 포트폴리오 강화 위한 인수합병 윤구현 2016.07.25 100
657 길리어드, 비리어드·소발디·하보니 이어 4연타석 홈런? 미·유럽 등 잇따라 '엡클루사' 승인…특허만료방어·포트폴리오 구비까지 윤구현 2016.07.25 276
656 꾸준한 인기 ‘리피토’, 떠오르는 ‘비리어드’, 의문의 1패 ‘바라크루드’-올 상반기 원외처방 실적 1위는 리피토…바라크루드 처방 늘었지만 약가인하로 매출은 감소 윤구현 2016.07.25 104
655 독일 NGO, "북한 결핵·간염환자 위한 온실사업 진행" 윤구현 2016.07.21 80
654 양산부산대병원, 국내 최단기간 간이식 300건 달성 윤구현 2016.07.21 167
653 탈많던 C형간염 치료제 급여기준, 대폭 개선 대상 환자 및 기간 확대…그간 보험급여 소외된 환자도 적용돼 윤구현 2016.07.20 221
652 "20년 뒤 당뇨·뇌혈관질환 사망 줄고, 암·심장질환 늘 것" 윤구현 2016.07.20 222
651 ‘A형 간염’ 3배 급증…젊은층 해외여행 주의! 윤구현 2016.07.20 129
650 'B형 간염 체험' 기록영화 상영…제약사 길리어드 제작 '행동하세요' 윤구현 2016.07.20 182
649 美 NGO, "북한 간염환자 9월부터 본격 치료" 윤구현 2016.07.20 85
648 한양대병원 장성호 전공의, 간학회 ‘최우수 구연학술상’ 수상 말기 간질환 환자 실질적 도움 줄 수 있는 연구 더 진행 포부 윤구현 2016.07.20 194
647 명지병원, 생체이식 포함 간이식 4연속 성공 몽골인 생체 이식 성공으로 해외 이식환자 유치 청신호 윤구현 2016.07.20 97
646 길리어드 "日정부 부작용발표 별거아냐" 윤구현 2016.07.20 204
645 "피 한 방울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가려낸다" 윤구현 2016.07.20 79
644 간경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파란불’ 순항 윤구현 2016.07.20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