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예전 간질환 뉴스는 구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예전 간질환 뉴스는 구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현대의원 C형 집단간염, 보건당국 늑장대응으로 원인 못 밝혀”
2016.09.05 14:49
“서울현대의원 C형 집단간염, 보건당국 늑장대응으로 원인 못 밝혀”
2016-08-28
양천구 다나의원은 신고 다음날 바로 현장조사
서울현대의원은 한달 넘어서야 주삿바늘 등 수거
정춘숙 의원실 “물증 사라져 피해 배상 어려워져”
서울현대의원은 한달 넘어서야 주삿바늘 등 수거
정춘숙 의원실 “물증 사라져 피해 배상 어려워져”
서울 동작구 서울현대의원에서 발생한 집단 C형 간염 사태의 원인을 신속하게 찾지 못한 데에는 보건당국의 초기 대처가 미숙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의원에서 주사기를 재사용하는 것으로 의심된다는 민원 신고를 받고도 한 달 넘게 지나서야 주삿바늘 등을 수거해 검사함으로써 물증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28일 정춘숙(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보건당국은 주사기 재사용에 대한 민원이 접수된 뒤 약 35일이 지난 뒤에야 서울현대의원의 감염원인을 규명하고자 환경검체를 수거했다. 우선 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월 19일 주사기 재사용 의심 신고가 들어오자 2월 19일부터 24일까지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복지부에 보고했다. 복지부는 이를 바탕으로 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2월 25일부터 29일까지 이 의원을 현장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이 의원에서 주사제를 나눠서 여러 번 쓰거나, 주사기를 미리 개봉해 사용한 문제 등을 밝혀냈다. 하지만 이 현장 조사에는 감염병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질병관리본부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집단감염의 원인을 밝힐 환경검체도 수거하지 않았다.
복지부는 이후 3월 16일에 질병관리본부에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일회용 주사기 등을 재사용한 의심기관에 대한 현장조사에 따른 역학조사 요청’공문을 발송했고, 질병관리본부는 일주일이 지난 23일에야 서울시와 서울 동작구보건소에 ‘일회용 주사기 등 재사용 의심기관 역학조사 요청’ 공문을 보냈다. 결국 질병관리본부와 서울 동작구보건소는 신고 접수일을 기준으로 35일이나 지난 뒤인 3월 24일 서울현대의원을 현장 조사했다. 하지만 주사 바늘이나 주사기에 담긴 수액제 등의 환경검체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를 확인하지 못했다.
보건당국의 이런 대응은 지난해 11월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의 집단 C형 간염 사고 이후 지난 2월 18일 복지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1회용 주사기 등 재사용 의심의료기관을 신고하면, 신고접수 즉각 현장대응을 하겠다”는 공언을 무색하게 하는 것이다. 신고 시스템을 만든 뒤 곧바로 다음 날인 19일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신고가 접수됐는데, 환경검체 수거를 비롯한 현장조사는 오히려 다나의원 때보다 한 달 이상 늦게 실시된 셈이다. 다나의원의 경우 2015년 11월 19일 서울 양천구보건소는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신고를 접수하고 당일 바로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현장조사에 나서 환경검체를 수거했으며, 혼합주사액, 주사침 등을 보관하는 곳 등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정춘숙 의원은 “다나의원 때만도 못한 보건당국의 뒤늦은 대응과 일 처리로 서울현대의원의 C형 간염 바이러스 물증은 사라졌고, 피해자들의 배상은 더욱 어려워졌다”며 “결국 이번 사태는 복지부의 신고 대응시스템이 만들어 낸 참사로 그 책임은 복지부에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