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 뉴스

간질환에 대한 뉴스를 소개합니다.
예전 간질환 뉴스는 구 간질환 뉴스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C형간염 집단감염 서울현대의원 처벌 '사각지대'


2016/08/25


서울현대의원(현재 JS의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의료진 자격정지 소멸시효 5년…2011년 위법행위는 처벌 못해 
개정된 의료법 '적용 불가' 자격정지 1개월 처분만 가능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C형간염 집단감염 위험이 확인된 서울 동작구 서울현대의원의 의료인이 어떤 처벌을 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지만 실제 위법행위가 밝혀져도 처벌은 솜방망이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다나의원 사태와 달리 문제가 뒤늦게 알려져 행정처분 소멸시효가 얼마 남지 않았고, 역학조사 과정에서 중대한 위법행위의 증거를 찾더라도 자격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만 내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해당 의원을 방문한 내원자 1만1천306명을 대상으로 C형 간염 및 혈액매개감염 검사를 시행해 전파 요인을 파악할 예정이다.

역학조사 대상 기간인 2011∼2012년 사이에 서울현대의원은 원장이 3번이나 바뀌었다. 당시 원장이었던 의사 가운데 1명은 현재 JS의원으로 이름이 변경된 이 병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역학조사를 통해 서울현대의원의 감염 관리가 허술했다는 자료를 확보해도 2011년의 행위는 행정처분 소멸시효가 지난 상태다.

의료법 제 66조에 따르면 의료인의 자격정지 처분은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이 지나면 하지 못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1년에 발생한 위법행위는 이미 소멸시효가 지났고 2012년에 해당 의료기관 의료진이 비도덕적 행위를 한 것으로만 행정처분이 가능한데 이마저도 소멸시효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라고 25일 전했다.

C형 간염 검사

보건 당국이 역학조사 과정에서 집단감염의 원인으로 보이는 물증을 확보하고, 보건소가 이를 바탕으로 복지부에 행정처분을 의뢰해도 강력한 처벌을 받기는 힘들다.

지난 5월 비도덕적 의료행위를 한 의료인에 대해서는 최대 면허 취소까지 할 수 있다는 의료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소급적용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개정된 의료법은 보건위생상 중대한 위해를 입힌 의료인에 대해 면허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최대 1년간 의사면허 자격정지를 할 수 있게 했지만, 서울현대의원 사례는 이전 의료법을 적용해 최대 1개월의 자격정지 처분만 가능하다.

복지부는 지난 3월 위법한 의료행위에 관한 재판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의사면허 자격을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자격정지명령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제도 시행 전이라 서울현대의원 의료진의 면허를 일시적으로 정지할 방법도 없는 상태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초 C형간염 집단감염이 의심돼 동작구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건보공단, 심평원 직원이 서울현대의원을 방문조사했지만 주사제 혼합액을 여러 환자에게 나눠서 쓴 사실 정도만 발견했다"며 "일회용 주사기와 같은 심각한 비도덕적 의료행위는 발견하지 못해 시정 명령만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 처분은 정확한 증거가 필요한데 역학조사가 늦어지거나 관련 증거가 불충분하면 처분을 내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전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3 한 의료기관 내원자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중(보건복지부 보도자료) file 윤구현 2016.01.05 25
822 성남 아동 3,637명 A형 간염 예방 무료 접종 윤구현 2015.08.04 29
821 C형간염약 시장 '닥순' 요법이 왕…첫해 100억 돌파 소발디·하보니 합류 전 시장진입 효과 톡톡 윤구현 2016.04.19 30
820 원주 C형간염 감염자 100여명 늘어…총 217명 '양성' 윤구현 2016.05.08 30
819 다나의원 피해보상 소송전 시작?…환자 10명 소장 제출 윤구현 2016.04.19 31
818 경찰, C형간염 감염사태 관련 질본 관계자 소환조사 윤구현 2016.05.16 32
817 '집단 C형간염' 사태, 미리 막을 수 없었나? 윤구현 2016.01.06 34
816 [안기종의 환자샤우팅] 다나의원 C형간염 피해자도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윤구현 2016.05.23 34
815 '다나의원(양천구 소재)'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 경과 (3일차) file 윤구현 2016.01.05 37
814 '다나의원(양천구 소재)'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 경과 (7일차) file 윤구현 2016.01.05 37
813 다나의원 C형 감염자, 치료비 마련에 집단 행동 움직임 윤구현 2016.04.12 37
812 순항하는 '닥순'…HCV 시장서 신바람 일으킬까? 다클린자+순베프라, C형간염 시장서 탄력 윤구현 2016.04.12 37
811 애브비, 1일 1회 투여하는 범유전자형 C형 간염 치료제의 글로벌 제3상 임상연구 6개의 환자 등록 개시 윤구현 2016.04.19 37
810 원주 C형간염 감염자 95명…아직 검사율 10% 윤구현 2016.05.08 38
809 1300명 이상 간염과 HIV 검사 받아야 시애틀 노스웨스트 병원 이용 환자들에 당부 윤구현 2016.05.16 38
808 C형간염 집단 감염사태 역학조사 왜 늦어지나 봤더니 윤구현 2016.05.16 38
807 간염 치료제 페가시스 저용량(90mcg) 허가 만성 C형 간염 소아와 청소년에게 사용 가능 윤구현 2015.08.03 39
806 '다나의원(양천구 소재)'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 경과 (9일차) file 윤구현 2016.01.05 39
805 CFK, 북한서 B형간염 예방사업 확대 윤구현 2016.04.12 39
804 검사거부·연락두절…다나의원 간염감염자 '골머리' 윤구현 2016.04.12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