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항체 검사결과 질문입니다
2021.10.27 01:19
안녕하세요.
42세 비증식기 보유자입니다.
약 먹은 적은 없고 자연혈청전환되었고, 지금까지 e항원 음성, e항체 양성, DNA 2,000 IU 기준 미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월 간격으로 서로 다른 병원에서 피검사를 받았는데요.
DNA 정량은 지난 7월 400 IU에서 이번 10월에는 28 IU로 감소했습니다.
그런데 "e항체" 결과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7월>
e항원: 0.26 (Negative) / 참고치: Negative < 1.00, S/CO
e항체: 0.01 (Positive) / 참고치: Negative > 1.00, S/CO
<10월>
e항원: Neg. (< 0.05) / 참고치: Negative < 1.00, Index
e항체: Pos. (> 4.50) / 참고치: Negative < 1.20, Index
위와 같이 결과가 나왔는데요.
결과값은 둘 다 "e항원 음성, e항체 양성"으로 나오긴 했는데, 10월 결과값 수치가 제가 알던 것과 달라서요...
기존 검사들에서는 e항체의 경우 1.00 미만이어야 양성으로 알고 있었는데, 10월 검사에는 참고치가 기존과 달라서 헷갈리네요. ㅠㅠ
1. 10월 검사의 경우 기존 검사와 방식이 다른 걸까요? 즉, "e항원 음성, e항체 양성"이 맞는 걸까요?
결과값도 특정 수치가 나온 게 아니라 "< 0.05", "> 4.50" 이런 식으로 나오는데, 새로운 검사 방식일까요?
2. 10월 검사의 결과값이나 참고치에 오류가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e항체의 경우 > 4.50이라면 음성인 걸까요??
3. 만약에 10월 검사에 오류가 있어 e항체가 음성인 거라면, 지금까지 쭉 유지되었던 e항체가 3개월 만에 없어질 수도 있는 걸까요(e항원은 계속 음성인 채로)?
그리고 e항체가 갑자기 양성->음성 전환되는 것이 간 상태에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e항체가 없어졌다는 것이, e항원이 다시 양성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걸 의미하는 것은 아니겠죠?
e항원/항체 검사를 다시 해봐야 하는 건지... 세부적인 내용까지 계속 신경을 쓰게 되네요. ㅠㅠ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항체는 e항원에 비해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다음번에 담당선생님께 여쭤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