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관용기때 생기는 간암
2019.12.26 18:02
면역관용기때도 간암이 올수 있다 이런정보를 가끔 보는데요, got, gpt도 정상, 간섬유화도 없는 깨끗한 상태의 면역관용기에서 생기는 간암은 어떤경우에 가능한가요 좋은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댓글 5
-
Dr.황남철
2019.12.26 18:20
-
lim111111
2019.12.27 11:37
황남철선생님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실제관용기가 아닌데도 관용기라고 판단되어지는 경우들이 있다고 하셨는데요 이 말씀은
1. 실제관용기는 : 간세포에 염증이 전혀 없는 상태(got,gpt 정상상태)로 dna수치는 높은상태로 이해해고,
2. 실제관용기가 아닌 경우는 : 간세포에 이미 염증이 진행된,조금 있는( got,gpt 조금높은)상태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이 상태에서는 실제관용기 상태보다 간암의 확률이 높다고 이해하면 되는지요
-
Dr.황남철
2019.12.27 14:29
1. 실제관용기는: 간세포에 염증이 전혀 없는 상태 (GOT, GPT 정상상태)로 dna수치는 높은상태로 이해해고,
2. 실제관용기가 아닌 경우는: 간세포에 이미 염증이 진행된, 조금 있는 (GOT, GPT 조금 높은) 상태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대략은 맞지만, 정확하게는 아닙니다.
간에 염증이 있어도 간수치는 정상일 수 있으니까요...
이 상태에서는 실제 관용기 상태보다 간암의 확률이 높다고 이해하면 되는지요.
예
-
lim111111
2019.12.27 11:46
그리고, 정말로 관용기..라는 과정 하에 설명하자면
이론적으로는 HBV 유전자와 인간의 유전자가 통합 (integration) 되면서
직접적인 바이러스 관련 기전에 의해 간세포암이 발생한다..고 가설이 하셨는데요
보유자가 이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답변하시기 좀 곤란하시겠지만 정확지는 않지만 100사람이면 몇 사람정도 간세포암이 올수 있는지요
정말관용기 상태는 간섬유화 조금도 없고 간세포에 염증도 없다고 봤을때 이런 깨끗한 간에서 간세포암만 뻑하고 이론적으로 생길수 있는지요 어디 자료에 보면 간세포암은 정상적인 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대부분 만성염증 간섬유화 같은 기저질환에서 발생한다 어느정보가 맞는 말인지 온통 햇갈려서 말씀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Dr.황남철
2019.12.27 14:35
보유자가 이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답변하시기 좀 곤란하시겠지만 정확지는 않지만 100사람이면 몇 사람정도 간세포암이 올 수 있는지요.
그건 잘 모릅니다. 정확한 정의/개념/통계 등이 모두 없거나 부족한지라..
더군다나, 대충이라도, 그런 확률이나 가능성은... 함부로 말할 성질의 것이 못 됩니다.
환우나 보호자들로 하여금, 잘못된 판단/오해/착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라
구체적 숫자 같은 건, 함부로 얘기해선 안 되죠. 실제 구체적 숫자를 언급할 자료도 없고요...
정말관용기 상태는 간섬유화 조금도 없고 간세포에 염증도 없다고 봤을때
이런 깨끗한 간에서 간세포암만 뻑하고 이론적으로 생길수 있는지요
예,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다만, 흔하진 않죠.
간세포암은 정상적인 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대부분 만성염증 간섬유화 같은 기저질환에서 발생한다
맞는 말입니다.
"대부분" 에 촛점을 맞추셔야 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정상적인 간에서 "절대" 안 생기는 건 아니건 아니고
( <- 사실, "정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실제 임상에서 정말 정상인지 아닌지...가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고
원론적으로는 간세포암이 안 생긴다..는 전제/가정을 하니깐,
그런 간을 정상이라고 역으로 판단하는... 그런 원론/개념을 갖는 거죠.)
드물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식으로 얘기하는거죠.
어느 정보가 맞는 말인지 온통 햇갈려서 말씀드립니다.
간세포암은 간염과 간경화가 발생한 이후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만
( <- 이미 아시겠지만, 그렇다고 간염/간경화 있는 환자들 대부분에서 간세포암이 생긴다는 뜻은 아닙니다.)
"드물게" 보유자 (내지는 보유자라고 추정되지만, 실제론 보유자가 아닐 수도 있는 환자) 에게서 생길 수 있는 셈이죠.
일단, 관용기인지 아닌지...부터 명확해야 하는데
지금껏 관용기라고 알고 있던 환자들 중에는
실제 관용기가 아닌데도 관용기라고 판단되어지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걸 일단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정말로 관용기..라는 과정 하에 설명하자면
이론적으로는 HBV 유전자와 인간의 유전자가 통합 (integration) 되면서
직접적인 바이러스 관련 기전에 의해 간세포암이 발생한다..고 가설이 세워져 있습니다.
보통 대부분의 B형 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암은
면역 반응에 의한 만성 염증 및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들이 축적되는...
즉, 간접적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설이 세워져 있죠.
물론, 두가지 기전에 혼합되어 상승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고,
특정 환자에게서 한 가지 기전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