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D형간염 이야기

2021.03.07 13:11

fmsound 조회 수:138

최근 B형간염보유자가 D형간염을 동시에 감염되었을때 빠르게 진행이 되어서 이것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의

D형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의 한 종류인 D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D virus, HDV)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간염이다. D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있어야만 D형 간염이 발병할 수 있다.

원인

D형 간염 바이러스는 불완전한 RNA 바이러스이며, 식물 바이러스에서만 발견되는 원형의 RNA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바이러스이다. D형 간염 바이러스는 RNA 유전자와 D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으로 구성된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를 가지고 있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으로 이루어진 외피가 이 뉴클레오캡시드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D형 간염 바이러스 단독으로는 질환을 일으키지 않으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있어야만 간염을 일으킬 수 있다.

급성 D형 간염은 D형 간염 바이러스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또는 기존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보유자에서 D형 간염 바이러스의 중복감염이 일어난 경우에 발병하게 된다.

증상

D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증상은 무증상에서 전격성 간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B형 간염 바이러스와 D형 간염 바이러스의 동시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급성 B형 간염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보인다. 초기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피로감, 관절통, 근육통, 두통, 감기와 몸살 기운 등이 있다. 소변이 콜라 색깔과 같이 진해지고 회색빛 대변을 보기도 한다. 1∼2주 후에는 황달이 나타나고, 체중감소, 복부 불쾌감과 함께 간의 크기가 커지며 드물게는 비장이 커지기도 한다.

기존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서 D형 간염의 중복감염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심한 급성 간염이 발생하며, 기존에 만성 간염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병이 더욱 악화되어 동시감염이 일어난 경우보다 증상이 훨씬 심하게 나타나고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도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진단/검사

급성 간염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나타나고 B형 간염 표면항원(HBs Ag)이 양성인 경우 D형 간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항D형 간염 바이러스(anti-HDV: anti- hepatitis D virus) 항체 검사를 통해 D형 간염을 진단할 수 있는데, IgM anti-HDV 항체 검사나 IgM과 IgG 항체를 포함한 총 anti-HDV 항체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쉽고 비교적 신뢰할 만한 검사법이다. 다만 다른 간염과 달리 IgM anti-HDV 항체가 급성 간염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D형 간염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일 수 있다. 또 IgM anti-HDV 항체의 양은 D형 바이러스의 복제 상태나 간 손상의 심각성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

아직까지 D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법으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은 경우는 없다. 일반적으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된 치료이며, 중복감염일 경우 알파 인터페론(alpha-interferon)이 유일하게 승인을 받은 치료법이지만 아직 그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많지 않아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경과/합병증

D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에 따라 질병의 경과와 치료 결과가 달라지는데, 경과 및 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1형의 경우 서양에서 흔하고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간경변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극동아시아에서 주로 나타나는 2형 유전자는 비교적 간질환의 진행이 빠르지 않으며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만성 B형 간염 보유자에서 D형 간염 바이러스의 중복감염이 일어난 경우에는 기존의 B형 간염의 경과를 악화시켜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70%에 이르며, 간세포암의 발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방방법

D형 간염의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B형 간염을 예방하는 것이다. D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절대 감염되지 않으므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여 B형 간염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D형 간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감염될 수 있지만, 특히 성적 접촉이나 정맥주사 남용의 경우 유병률이 높아지므로 건전한 성관계와 더불어 바른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D형 간염에 감염된 경우 고단백식이가 도움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D형 간염 [hepatitis D]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0 간섬유화수치 해석부탁드려요 ㅠㅠ [1] 건강사랑 2021.04.21 764
319 간염환자의 코로나 백신접종 [1] 아흥 2021.04.20 830
318 간염환자의 코로나 백신접종 [1] 아흥 2021.04.20 481
317 실비 보험 청구 문의 [2] 도토리짬보 2021.04.16 685
316 병원 차트에 뜨나요? [2] sori486 2021.04.14 434
315 간경화 환자의 코로나 백신 접종.. [1] Diaz 2021.04.14 951
314 아보민플러스 먹어도 될까요? [1] 맑음 2021.04.14 102
313 코로나백신 [2] 2021.04.14 426
312 건강에 좋은 커피는 어떤 것인가? [1] fmsound 2021.04.02 702
311 B형간염 환우의 건강불안증 [13] 미르 2021.03.31 1218
310 【민경윤 건강수기】 간수치 ALT 가 낮아야 좋은 이유 fmsound 2021.03.22 548
309 분지아미노산(BCAA) 건강보험 적용에 관심과 도움 부탁드립니다. [1] 휴레브 2021.03.12 171
308 벌써 바라쿠르드 9년차복용이네요 내년이면 10년차네요 [1] 희망과절망사이 2021.03.10 993
307 bcaa 보충제 질문이요 [1] 그리부이 2021.03.07 785
306 만성B형간염 면역비활동기(면역조절기)로 착각하는 경우 [1] fmsound 2021.03.07 556
305 베믈리디복용시 참고 바랍니다 fmsound 2021.03.07 637
304 B형간염 면역관용기로 착각하는 경우는? fmsound 2021.03.07 275
» D형간염 이야기 fmsound 2021.03.07 138
302 【민경윤 건강수기】 간수치 정상이어도 안심하지 마세요 fmsound 2021.03.07 577
301 【민경윤 건강수기】 B형 간염 치료제 진화과정 fmsound 2021.02.22 844
300 똑똑한투병 간을 살린다 책을 썼어요 fmsound 2021.02.15 259
299 "B형간염 보유자, 간수치 정상이어도 안심하지 마세요" fmsound 2021.02.06 946
298 진료거부 [3] 투영맘 2021.02.01 663
297 엄마께서 간 조직 검사를 받는데 [1] 오히 2021.01.31 377
296 지방간수치 문의 [1] 간사랑gue 2021.01.25 323
295 천재 개 등장입니다 화금박쥐ss 2021.01.24 131
294 B형간염 완치 치료제 질문드려요 자기장 2021.01.24 1246
293 문의드립니다 [1] 간사랑gue 2021.01.20 397
292 간염환자들의 잘못 된 식이요법 fmsound 2021.01.19 746
291 B형간염 자연경과중 재양전 또는 반복과 면역관용기 구별방법 fmsound 2021.01.19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