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9일 생로병사의 비밀에 간과 커피에 대해 방영합니다
2020.12.07 09:42
12월9일 KBS1 10시 "생로병사의 비밀" 에 간과 커피에 대해 방영합니다.
국내 의료진이 국민이 많이 마시는 커피 성분 중 하나가 간섬유화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밝혀냈다. 계명대 동산병원은 최근 원내 소화기내과 장병국 교수가 커피 성분인 '카와웰(Kahweol)'이 이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
장병국 교수는 아라비카 커피원두에 함유돼 있는 카와웰이 간세포와 간성상세포에서 결합조직성장인자(CTGF)의 발현을 억제, 간섬유화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장 교수는 간경변증의 쥐에게서 카와웰 성분이 STAT3, ERK, JNK와 같은 신호매개물질의 조절을 통해서 간섬유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세포실험에서도 카와웰이 조직의 섬유화를 촉진시키는 TGF-β에 의해 증가되는 콜라겐과 결합조직성장인자(CTGF)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장병국 교수는 "커피의 간섬유화 감소 효과는 기존에 알려져 있었지만 어떤 성분과 작용을 통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연구 결과가 없었다"며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카와웰이 간섬유화의 새로운 치료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위 발료 자료는 2017년에 계명대 장교수가 커피성분중 카와웰에 대한 발표한 자료 입니다
커피성분중에 항암작용이 있는 카와웰 아세트산염과 카페스톨 두가지가 있습니다
카페스톨은 우리 몸에서 여러 작용을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커피의 항염, 항암 효과도 이 덕분이다. 실제로 2013년 한국식품연구원 박재호 박사팀의 연구 결과 카페스톨이 당뇨병성 망막증, 암, 류마티스 관절염, 자궁내막증 등으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한다 |
이들 성분은 아라비카원두에 들어 있는 일종의 탄화수소 화합물 입니다.
그런데 이성분은 필터를 쓰면 걸러 집니다. 그래서 필터를 쓰지 말고 고온 고압압축으로
추출하는 커피가 좋습니다.
커피를 내려보면 위에 뜨는 크레머에 이성분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두성분은 아라비카원두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코로나 특집으로 12월23일 10시에 방송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