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만성B형 간염의 경구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비리어드정(성분명: tenofovir)으로 변경투여(14일) 후 부작용발생을 이유로 이전 약제의 재투여 인정여부

  ■ 청구내역 
○ 상병명 : 델타-병원체가 없는 만성 바이러스B형간염
○ 주요청구내역
[원외처방]
391 바라크루드정 0.5mg     1*1*28 

  ■ 진료내역
  ① HBV-DNA 4× 106 copies로 초치료로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10개월 투여 후 HBV DNA 상승(3.9× 106 copies)되어 레보비르(clevudine)로 변경함.
  ② 레보비르(clevudine) 7일 투여 중 두통 발생하여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로 변경함.
  ③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투여 중 손, 발등 가려움증 발생하여 3주만에 세비보(Telbivudine)로 변경하였고 세비보(Telbivudine) 2주간 투여함.
  ④ 약 6개월 휴약 후 HBV-DNA 상승(1.3× 107 copies) 되어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다시 투여함.
  ⑤ 이후 HBV DNA 감소(1.5× 103 copies → 4× 104 copies)됨.
  ⑥ 다시 HBV DNA 상승(5.3× 106 copies) 되어 비리어드(tenofovir)로 변경함. 
  ⑦ 비리어드(tenofovir) 투여 중 두통이 심해 2주만에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으로 변경함.
  ⑧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으로 변경 후 두통 없음.

  ■ 심의내용 
  ○ 동 건(여/63세)은 만성B형 간염으로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호전되지 않아  레보비르(clevudine)로 변경하였음. 
     이후, 두통과 손, 발등의 가려움증 등 부작용을 호소하여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3주, 세비보(telbivudine) 2주 투여하다가 자의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지 않았음. 

     약 6개월 휴약 후 HBV-DNA 1.3× 107 copies로 상승하여 다시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투여하였고 이후 HBV-DNA 1.5× 103 copies에서 4× 104 copies로 감소하였으나, 5.3× 106 copies로 증가소견 보여 비리어드(tenofovir)로 변경하였음.

     그러나, 비리어드(tenofovir)투여 2주 만에 심한 두통을 호소하여 이전에 투여했던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로 변경함에 따라,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재투여 인정여부에 대하여 논의함.

  ○ 진료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비리어드(tenofovir) 투여 후 발생한 심한 두통에 대한 증상치료나 경과관찰에 대한 기록이 없고, 환자 순응도(compliance) 확인 등 여러 요인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를 하지 않은 채 2주 만에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로 조기교체 투여하였으며, 과거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 투여 시 치료반응 부족과 부작용이 있어 다른 약제로 변경했던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동 건의 바라크루드(entecavir 0.5mg)의 재투여는 적절치 않아 인정하지 아니함.

  
  ■ 참고
○ Tenofovir 경구제(품명: 비리어드정) (고시 제2012-173호, '13.1.1시행)
○ Entecavir 경구제(품명: 바라크루드정 0.5mg, 시럽) (고시 제2012-173호, '13.1.1시행)
○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
○ 2011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2013.9.2. 진료심사평가위원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0 '만성간질환 치료의 보험급여 확대의 필요성'. 2009.2.25. [1] file 윤구현 2009.04.09 2205
249 생명, 손해보험표준약관 - 금융감독원 [1] file 윤구현 2006.04.21 2175
248 인터페론알파, 페그인터페론 보험기준, 가격(리바비린) [2] 윤구현 2006.03.13 2153
247 임상적으로 간경변을 진단내릴때 근거 [1] 양전호 2005.11.25 2138
246 Hepatitis B and breastfeeding [1] 윤구현 2003.01.24 2137
245 임신시 치료에 대한 정리 [1] 양전호 2009.03.30 2133
244 심평원심사사례-크레아티닌 청소율 (Creatinine clearance : Ccr) 결과 없이 투여된 레보비르캡슐 인정여부 2008.12.15. [1] 윤구현 2009.06.13 2107
243 B형 간염이 땀으로 전염된다는데 [1] 한상율 2007.06.30 2079
242 식약청발표-레보비르관련 의약품안전성속보 [1] file 윤구현 2009.04.22 2068
241 만성B형간염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교육 애니메이션 [1] file 윤구현 2009.08.31 2068
240 B형간염치료제의 보험급여 확대와 가격인하 [11] file 윤구현 2008.01.02 2034
239 바라크루드 보험기준 변경(2007년3월1일) [2] file 윤구현 2007.03.04 2023
238 B형간염보균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 국가인권위원회 2002 [1] file 한상율 2003.05.24 2002
237 B형간염불이익 방지 당부 보건복지부 장관 서신 [1] file 한상율 2003.06.04 1998
236 2016년1월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문 file 윤구현 2016.04.12 1986
235 생명보험사별 소송현황 (2009년 3월 기준) [3] file 윤구현 2009.10.28 1959
234 스탠포드대학 아시안 간센터에서 만든 브로셔 [1] file 윤구현 2009.01.28 1937
233 장애, 질병, 그리고 고용차별 : 대통령령 제16033호 '공무원채용신체검사규정'등으로 인한 기본권 침해 및 그 법적 구제 방안 검토 [1] file 윤구현 2003.07.14 1935
232 최근 B형간염 경구용제제의 치료성적 update [2] 양전호 2008.01.27 1933
231 2월1일부터 레보비르 보험적용, 제픽스/헵세라/바라크루드 1mg 보험기준 변경 [3] file 윤구현 2007.01.29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