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과 기업의 사례 모음


B형간염바이러스 보유자의 취업에 대하여 몇몇 기관에서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는 지 자료를 모았습니다. 회사나 기관 이름 다음에 있는 괄호 안은 자료를 마지막으로 고친 날입니다.
자료를 계속 모을 생각이지만 자료의 특성상 사실여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다는 점과 현재의 기준과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시어 참고 자료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부탁드립니다
이곳의 자료 대부분이 여러분이 보내주신 자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두 사람이 여러 기관과 기업의 사례를 알아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진 분께 부탁드립니다. 혹시 직접 알아보셨거나 B형간염바이러스 보유자라는 이유로 입사시험에서 불합격하셨으면 자료를 보내주십시오(입사에 성공한 사례도 환영합니다). 이곳에 자료를 올리겠습니다. 물론 자료를 보내주신 분의 신원(성명과 e-mail)은 비밀로 하겠습니다.

자료를 보내주실 때는 아래 내용을 꼭 포함시켜 주십시오.

1. 알아보시거나 입사하시려던 했던 기업(자세히)
2. 알아보시거나 경험하신 시기(0000년 00월)
3. 표면항원 양성여부
4. e항원양성여부
5. 간기능검사 이상 여부
6. 입사여부
7. 덧붙이는 글


보내주신 글에 대해서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감사 외의 다른 댓가는 없으며, 저작권은 저희에게 양도하신 것으로 생각하고 임의로 편집하겠습니다.


이용방법 1. 게시판에서 회사명 등으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2. 꼬리글로 의견을 적으실 수 있지만 꼬리글은 언제든지 관리자가 지우거나 본문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3. 자료를 취업등 묻고 답하기 게시판에 올려주시거나 관리자에게 e-mail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한화그룹(2013-01-20)

2005.12.02 01:19

윤구현 조회 수:2666

1. 알아보시거나 입사하시려던 했던 기업 : 한화그룹
2. 알아보시거나 경험하신 시기 : 2013년 07월
3. 표면항원 양성여부 : 양성
4. e항원양성여부 : 양성
5. 간기능검사 이상 여부 : 정상
6. 입사여부 : 입사
7. 덧붙이는 글

활동성이며 바라크루드 복용. 간수치 30 대 였습니다.

최종면접 전에 신검을 보았고 아무런 말 없어 최종 합격해서 지금 잘 다니고 있습니다.

누가 누가 떨어졌다. 어떤 사이트에서 누가 떨어졌다..

사실 부정적인 것들이 먼저 보이고.. 혼자 걱정도 많이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였고요.. 참 별에 별 생각을 다했던 것같습니다.

도전하세요! 불안해하고 걱정하는 시간에 차라리 더욱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다 됩니다. 제 경험이네요~! 화이팅하세요~





1. 경험시기 ; 2000-2
2. 덧붙이는 글 ; 다음은한화그룹 홈페이지에 질문하여 받은 답변입니다.

제목 [질문] B형간염바이러스 건강 보유자의 입사
작성자 한상율 조회수 46
E-mail handor@medikorea.net 작성일 2000/02/16
내용
혈액검사에서 B형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은 양성이고 간기능 검사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 B형간염바이러스 건강 보유자가 귀 그룹에 입사하는데 어떤 문제나 규정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입사하는 데 어떤 제약이 있습니까?

제목 [답장]:[질문] B형간염바이러스 건강 보유자의 입사
작성자 인사담당자 조회수 34
E-mail . 작성일 2000/02/24
내용
안녕하십니까?

병원에서 발행한 건강진단서의 종합 소견이 사무직으로 근무 가능하고, 전염성이 없다고 나왔을 경우 입사 가능합니다.

다만, 요양 또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소견의 경우에는 일정기간 경과 후 건강진단 재검 후 소견에 따라 입사여부를 결정합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다시 덧붙이는 글 ; 위의 답변에 대하여 좀더 자세한 것을 묻는 글을 올렸으나 답장이 없다가 거듭되는 재촉에 한화그룹 구조조정본부 인력관리팀의 최 부장님 전화번호(02-729-1125)를 가르쳐주면서 통화해보라고 하여 2000년 3월 21일에 통화하였습니다.

그분과의 통화내용을 요약하면 그룹에서 모두 통용되는 신체검사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고 계열사마다 지정신체검사기관이 있는데 지정신체검사기관의 판단에 따른다고 합니다. 신체검사결과 '사무직으로 근무가 가능하다.'고 나오면 별 문제가 없고 '요양이 필요하다'는 판정이 내려지면 채용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요양한 후에 다시 신체검사를 하여 근무가 가능하다고 나오면 채용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무직이라 하더라도 전염성이 높다고 나오면 다른 직원을 전염시킬 위험성 때문에 채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제 느낌은 다른 회사와 비슷하다는 것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