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복용과 콩팥의 관계
2012.04.18 15:44
얼마전에 혈압약과 고지혈증약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데요, 혈압약을 오래동안 먹어면 콩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데 그럴 확률이 어느정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피검사로만 콩팥상태를 어느정도 알 수가 있는지요?
평생 혈압약 먹고도 콩팥에 문제가 없을 수도 있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5
-
황남철
2012.04.18 16:47
-
오라버니
2012.04.18 17:53
너무나 자세한 답변 갑사드립니다.
앞으로 관리 차원에서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
-
황남철
2012.04.18 19:25
밑에 한우식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도 맞습니다.
저는 주로 고혈압약을 오래 복용하면 콩팥에 문제가 되는지를 질문하셨기에
오해의 소지가 없기 위해서 한우식 선생님 설명 내용을 일부러 뺐습니다.
(한우식 선생님 말씀 내용은 그런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통상적으로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
東燁 한우식
2012.04.18 18:12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혈압약중에 ACE저해제나 ARB 제제는 쉽게말해 심장이나 콩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간혹 드물지만 콩팥으로가는 동맥이 좁아져 있는 분들에게서는 오히려 동맥의 협착을
악화시켜 콩팥기능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내용을 정리해보면 드물게 일부 혈압약이 특수한 상황하
에서는 신장의 급성악화를 초래할 수는 있습니다.
-
오라버니
2012.04.19 08:43
너무나 두분의 선생님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옵고 앞으로도 많은 정보 바랍니다. ^^
혈압약을 오래 동안 먹으면 콩팥에 문제가 생길 수 도 있다는데
누가 그런 얘기를 하시던가요? 의사 분들이 그렇게 얘기하셨을 리는 없을텐데요...
오히려 콩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복용하는 것이 더 올바른 설명 내지는 관점입니다.
고혈압이 오래 되면 콩팥이 나빠져서 만성콩팥병(CRF or ESRD etc) 이 될 수도 있습니다.
치료를 받더라도 100% 예방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마치 혈압약을 오래 먹어서 콩팥이 나빠지는 것처럼 오해 - 일반화의 오류 - 를 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혈압약을 복용한 사람과 복용하지 않는 사람을 비교하면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콩팥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아직 고혈압과 만성콩팥병과의 전후관계 - 고혈압 때문에 만성콩팥병이 오는지, 만성콩팥병이 있기 때문에 고혈압이 동반되는 지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이 있지만서도 ... 이 내용은 의학적으로 어려운 내용이고, 저도 다소 오래된(?) 지식이기에
그리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럴 확률이 어느 정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위의 설명에 의해서 확률을 논하는 것 자체의 무의미합니다.
피 검사로만 콩팥 상태를 어느 정도 알 수가 있는지요 ?
콩팥도 간과 유사하게 상당 부분 - 예를 들면, 90% 가까이 - 나빠져야
피 검사로 발견되곤 합니다.
즉, 예를 들면 80% 정도 망가져도, 콩팥의 주요 기능 - 노폐물 배출 - 은 어느 정도 가능하기 떄문에
피 검사만으로는 콩팥의 상태를 전부 다 알 수는 없습니다.
단,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남은 기능이 얼마인지 알기 위해, 추가적으로 콩팥 기능을 더 검사하지는 - 통상적으로 - 않습니다.
평생 혈압약 먹고도 콩팥에 문제가 없을 수도 있나요 ?
예
간(사랑) 동우회에 콩팥을 여쭤보시는 분이 계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