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
2020.04.22 09:17
간경변
간경변증은 간염 바이러스나 술등에 의한 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간세포가 파괴되어 섬유화가 진행되고 재생결절들이 생기면서 간의 기능저하를 초래하는 상태입니다.
1. 왜 간경변증이 오는 것인가요?
간경변증은 어떠한 원인에서라도 간에 만성적인 염증이 일어나는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간경변증 환자의 70~80%는 B형간염 바이러스로, 10~15%는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고, 나머지 10~15%는 알코올의 과다섭취와 그 외 여러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2.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면 어떤 일이 일어납니까?
간은 “인체의 화학 공장”, “제2의 심장”이라 할 만큼 단백질 합성, 각종 대사작용, 해독작용과 면역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간이 굳어져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많은 건강장애가 발생합니다. 간경변증의 초기에는 간의 보상능력이 좋아 정상 간기능을 유지하지만,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여러 합병증(복수, 정맥류, 간성혼수 등)이 발생하고, 결국 간부전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암이 발생할 위험도 높아집니다.
3. 간이 굳어지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간경변증은 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전신쇠약, 만성피로,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부 불쾌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얼굴이 거무스름해지는 수가 많고 어깨, 등, 가슴에 확장된 모세혈관이 보입니다. 이 모세혈관은 붉고 작은 반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거미처럼 보입니다. 손바닥은 정상인보다 유난히 붉어질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위와 식도 정맥류가 발생하고 간성뇌증(혼수)이 생길 수 있으며, 정맥류에서는 다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가 찰 수 있으며 하지부종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복수가 있으면 배가 불러지고 심하면 호흡이 곤란해 집니다. 남성은 유방이 여성 유방처럼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질 수 있으며, 여성은 월경이 불규칙해 지기도 합니다.
4.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어떤 합병증이 생기게 되나요?
1) 복수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피를 토하거나 검은 혈변을 볼 수 있습니다.
3) 정신이 혼미해지는 간성혼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저항력이 떨어져서 쉽게 감염됩니다.
5) 간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합병증이 발생되면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
초기 간경변증 환자는 10년 내에 정맥류에서 출혈할 확률이 약 25%이며, 복수가 발생될 확률은 약 50% 정도입니다. 일단 간경변증의 합병증이 발생하면 예후가 나빠서, 식도정맥류 출혈, 복수 및 간성혼수가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4년 생존율은 20~40% 정도입니다.
6. 간경변증은 치료가 되나요?
일단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으면 회복이 어려운가요?
일단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원래의 정상 간으로 회복이 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B형간염, C형간염에 대한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하여 간경변증을 호전시킬 수도 있으며 간경변증의 진행을 막아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